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왕>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희곡과 비극 그리고 그리스 비극《오이디푸스 왕》

2. 《오이디푸스 왕》의 줄거리 와 구성

3. 《오이디푸스 왕》의 주제

4. 《오이디푸스 왕》의 인물

5. 《오이디푸스 왕》의 갈등

6. 《오이디푸스 왕》 무대, 효과 의상

7. 현대사회 속《오이디푸스 왕》

8.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 서양에서 남녀가 속옷과 겉옷을 겸했던 옷이다.
(2) 가면(mask) : 린넨, 코르크 나무로 만들어 진 가면이 일반적이었다. 현대 연극에서는 마스크 없이 상연되거나, 마스크가 금속 형태를 띄고 있으며, 고대처럼 린넨 마스크, 코르크로 만들어 진 가면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3) 코트류누스(cothurunus) : 비극 배우들이 신은 무대장화. 배우들이 실제 크기보다 더 커 보이기 위해서 굽 높은 무대용 신발을 신었다.
<치톤 과 가면 등 의상 설명용 사진>
7. 현대사회 속《오이디푸스 왕》
1) 월간 디지털콘텐츠 2005년 1월호
영화 <올드보이>의 신화적 분석《오이디푸스 왕》
(1)《오이디푸스 왕》과 <올드보이>의 스토리구조의 유사성
(원인 모를 불행)-->(불행의 원인에 대한 복수의 다짐)-->(원인의 추적)
-->(자아 내부에서 불행의 근원 발견)-->(금기위반의 진실)-->(자기 징벌)
《오이디푸스 왕》과 영화 <올드보이>는 “불행 앞에서 그 불행의 원인을 찾아 복수할 마음을 먹는 주인공이 진실을 파헤치는데 그 불행의 출발점이 자기 자신이었으며 자신은 인간이 범해서는 안될 금기를 범했음을 깨닫고 스스로에게 징벌을 가한다\"는 전체적인 스토리라인이 거의 동일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올드보이>를 이해한다면, 이우진은 전지전능한 신(神)적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그는 가장 높은 곳(펜트하우스)에서 살면서 모든 일을 꿰뚫어보고 있다. 오대수에게 닥친 모든 불행은 이우진에 의해 만들어지고 짜여진 각본이며, 오대수가 해 나가는 복수와 사랑의 수순마저도 ‘후최면’이라는 장치에 의해 조종된 것이다. 그는 때때로 오대수에게 과거의 편린에 대해 말해주고, 현재 상태를 풀어나갈 중요한 정보를 흘리며, 앞으로 해야 할 일에 대해 명령한다. 그리하여 오대수의 운명은 이우진의 손에 의해 좌지우지되게 된 것이다.
http://www.cine21.com/Article/article_view.php?mm=005001001&article_id=46924
또한 <올드보이>의 오대수가 원하는 것 역시 단지 범인이 누구인가 하는 사실이 아니라 나를 감금한 이유(진실)가 무엇인가 하는 점이었다. 오대수는 타자에게서 진실을 찾았지만, 그 진실은 바로 자신에게 있었다. 근친상간적 설정이 오이디푸스 신화와 <올드보이>의 표면적 유사성이긴 하지만, 재앙의 원인이 타자가 아닌 바로 자기 자신에 있음을 발견하는 내러티브적 궤적은 이 두 이야기가 만나는 가장 중요한 접점일 것이다. 특히 자신의 삶을 몰락시킬 진실 앞에서 이 두 사람이 스스로에게 내리는 처벌은 너무도 닮아 있다. 오이디푸스가 모든 것을 안다(see)는 오만함에 빠져들도록 했던 눈을 찌름으로써 자신의 ‘죄-진실’에 책임을 졌던 것처럼, 오대수 역시 밝혀진 죄의 원인인 혀를 절단함으로써 스스로 단죄한다.
(2) 운명에 대한 그들의 자세
인간은 누구나 행복해지기를 원한다. 그러므로 자신의 행복을 빼앗아간 자에게는 그에 응당한 보복을 하고 싶어한다. 그러나 그 행복을 빼앗아 간 것이 특정 인간이 아니라 운명일 때, 인간은 새로운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된다. 비극적 운명에 죽음으로 저항할 것인가, 아니면 비극적 운명을 모르는 척 받아들일 것인가. 이우진은 “우리는 다 알면서도 사랑했어요. 너희도 그럴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남기고 자살함으로써 전자의 길을 택했다. 오대수는 “내가 아무리 짐승만도 못한 놈이어도 살 권리는 있는 거 아닌가요?”라며 자신의 기억을 지워버림으로써 후자의 길을 택했다. 이러한 결말은 운명에 순응했던 <오이디푸스왕>과는 달리 현대인의 시각에서 숙명에 현실적인 태도를 잘 반영한다고 할 수 있겠다.
2)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Oedipus complex)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란 정신분석학의 창시자 프로이트가 정신분석학에서 처음 쓴 용어이다. 쉽게 말하면 남자 아이가 어머니를 사랑하고 아버지를 연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프로이트는 성 발달이론을 구순기 → 항문기 → 남근기로 나누었는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남근기 (3~5세)에서 나타난다. 남성은 이 시기에 1차 남자로써의 성장을 하게 되며, 이 시기를 잘 넘기지 못하면 성 정체성에 혼란을 불러올 수도 있다고 한다. 이때의 아이들은 성인이 되었을 때 자신의 역할을 상상하고 한쪽 부모에게 경쟁관계를 느낀다. 어머니는 아이에게 무조건 적인 사랑을 베풀고, 아이는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어머니에게 집착하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아버지처럼 어머니를 사랑하고 싶다는 원망은 아버지와 같이 되고 싶다는 원망으로 변하여 부친과 자신을 \'동일시\' 하기에 이르고, 결국에는 아버지에게 이길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오이디푸스 증후군은 해소되고, 아버지가 내면화되어 초자아를 형성하는 것이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는 소극적 형태와 적극적 형태가 있다. 소극적 형태는 대부분의 유아에게 나타나는 것인데 아버지에게 이길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아버지와 자신을 동일시하고 아버지에게 복종하는 것이고, 적극적 형태는 아버지와 투쟁하여 어머니를 가지겠다는 형태이다. 프로이트는 유아들은 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극복하고 나서야 비소로 성인의 정상적인 성애가 발전하는 것이지만, 이를 이상적으로 극복한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라고 하였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어떤 남자에게나 잠들어 있는 것이다. 다만 그것이 강하게 드러나는 사람이 있고, 전혀 나타나지 않는 사람도 있다. 강하게 나타나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참 고 문 헌>
-「서양 연극사 이야기」밀리S. 베린저 평민사 2001
-「희곡 분석의 방법」C. R. 리스크 한울아카데미 1999
-「그리스 희곡의 이해」곽복록외 현암사 2007
-「희곡의 이해」이명우 박이정 1999
-「그리스 신화의 이해」이진성 아카넷 2004
-「오이디푸스」정장진 옮김, 이룸, 2003
-「그리스비극의 이해」천병희, 문예출판사, 2002
-「그리스 신화의 이해」이진성, 아카넷
-「벌핀치의 그리스 로마 신화」이윤기 편역, 창해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조현준, 한국학술정보
- 네이버(Naver) 백과사전 서비스
- 월간 디지털콘텐츠 2005년 1월호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7.09.30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97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