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심근경색증(MI) 케이스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심근경색증(MI)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간 호 사 정
1) 일반적 사정(정보, 신체검진)
2) 대상자의 건강력(현병력, 질병력, 약물, 진단검사)
Ⅱ_1. 간 호 진 단
1) 심근허혈과 관련된 안위변화
2) 입원환경과 관련된 정서적 불안
3) 심근경색증의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Ⅲ_1. 간 호 계 획
Ⅳ_1. 간 호 수 행
Ⅴ_1. 간 호 평 가
Ⅱ_2. 간 호 진 단
Ⅲ_2. 간 호 계 획
Ⅳ_2. 간 호 수 행
Ⅴ_2. 간 호 평 가
Ⅱ_3. 간 호 진 단
Ⅲ_3. 간 호 계 획
Ⅳ_3. 간 호 수 행
Ⅴ_3. 간 호 평 가

본문내용

는 채혈후 30분이내에 검사해야 한다. 만약 불가능할 경 우에는 혈청 분리만이라도 즉시 실시해야 한다. 장시간 방치하면 혈청성분의 변화,혈 구내외의 물질이동이 일어난다.
Ⅱ_1. 간 호 진 단
문제
번호
발생날짜
간 호 진 단
해결
날짜
서명
#1
4월 18일
심근허혈과 관련된 안위변화(저혈압)
4월 24일
SN
방선혜
▶과학적 근거
일반적으로 심장으로부터의 펌프압이 낮아지거나 말초혈관의 저항성(수축력)이 약해지면 혈액을 보내는 힘이 약해지거나 혈관이 축 쳐져 부픈 상태가 되므로 혈액은 천천히 흐르게 되어 저혈압으로 발전하게 된다.
여기서 문제는 동맥 속에 흐르는 혈액은 전신 혈액량의 20%밖에 되지 않고 대부분의 혈액은 정맥속이나 모세혈관 속에 있는데 정맥은 동맥과 달리 혈액이 천천히 흐르고 게다가 동맥의 흐름과 근육의 운동력에 의해 다시 말하면 심장의 펌프압과는 전혀 상관없이 스스로 심장으로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말초혈관의 수축력이 약해지면 정맥혈이 원활하게 돌아갈 수 없으며 이 경우 아무리 심장과 동맥이 정상이었다 하더라도 혈액이 부족하여 혈압이 낮아지게 된다.
▶합리적 근거
① 주관적
- 대상자는 어지럽다는 호소를 한다.
② 객관적
- 평균 혈압이 70/50 정도로 정상에 비해 낮게 체크되는 양상을 보인다.
- 대상자의 사지에서는 냉감이 느껴진다.
- 대상자에게는 저혈압을 중재하기 위해 dopamine 및 dobutamine이 투여되고 있다.
- 4/18 BP 55/40 check 되어 더 이상의 호전이 없어서 norepinephrine을 투여하였다.
Ⅲ_1. 간 호 계 획
진단
번호
날 짜
간 호 계 획
#1
4월 18일
◎ 목표 ◎
- 대상자의 혈압은 정상적인 양상(120/80mmHg)을 보일 것이다.
- 대상자와 대상자의 보호자는 저혈압 관리와 기립성 저혈압의 대처방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v/s를 2시간마다 측정한다.
② 저혈압의 증상(손발 냉증, 어지러움, 두통 등)을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① dopamine을 투여한다.
② 머리는 낮추고, 다리를 올려주는 체위를 취해준다.
▶교육적 계획
① 일상생활에서의 규칙적인 생활 습관에 대하여 교육한다.
② 기립성 저혈압에 대한 설명 및 그에 따른 외상 예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③ 고단백, 고칼로리 등 영양가 풍부한 음식의 섭취에 대해 교육한다.
Ⅳ_1. 간 호 수 행
진단
번호
날 짜
간 호 수 행
#1
4/18
~ 4/24
날짜
시간
BP
P
BT
날짜
시간
BP
P
BT
4/18
am8
55/40
113
36.7
4/20
am8
80/50
120
36.3
am10
60/45
110
36.1
am10
100/75
107
36.0
pm12
60/40
124
36.0
pm12
105/75
109
36.6
pm2
75/55
121
36.4
pm2
100/80
110
36.5
4/19
am8
65/40
108
36.3
4/21
am8
90/65
112
36.4
am10
90/50
113
36.3
am10
90/60
117
36.6
pm12
85/60
111
36.4
pm12
105/80
116
36.1
pm2
100/70
118
36.0
pm2
110/80
106
36.2
① 대상자의 혈압을 2시간마다 측정했다.
4/24
am8
105/70
114
36.6
am10
110/80
115
36.2
pm12
110/75
109
36.2
pm2
100/75
103
36.0
- 5일 동안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해본 결과이다. 4/18 최저혈압 55/40이 측정되어 노어에피네프린이 처방되어 투여되면서 점차 혈압 수치가 정상에 가까워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그에 대한 부 작용으로 HR이 124회까지 올라간 양상을 볼 수 있었다.
4/21, 4/24 양일에 걸쳐 수축기압 100 이상으로 잘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 2시간마다 활력징후 측정은, 자주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여 앞으 로 수행할 간호나 중재를 교정하거나 그대로 유지시키는 것을 도와 준다.
② 저혈압의 증상(손발 냉증, 어지러움, 두통 등)을 사정했다.
- 활력징후 중 혈압이 낮게 측정될 때마다 사지의 온도감을 느껴보고 어지럽진 않은지, 두통이 있진 않은지 대상자에게 질문하였다. 손발은 대체로 차가운 편이였으나 대상자는 특별한 불편감을 느끼고 있진 않는다고 했다. 어지러움증은 때때로 호소하였다.
→ 심근의 허혈로 인한 저혈압은 온몸에 효과적인 혈액공급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사지가 차가워지고, 어지러움증, 두통, 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③ dopamine을 투여했다.
→ dopamine의 효능: 신부전으로 인한 shock, 울혈성 심부전에 의 한 만성 심기능 대상 부전증,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저혈압 및 기 타 순환장애
진단
번호
날짜
간 호 수 행
#1
4/18
~ 4/24
④ 머리는 낮추고, 다리를 올려주는 체위를 취해주었다.
- 머리는 낮추고, 다리를 올려 정맥혈의 귀환을 도와 낮은 혈압이 개 선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⑤ 일상생활에서의 규칙적인 생활 습관에 대하여 교육했다.
- 대상자는 mild하게 dementia sign이 있어 보호자도 함께 참석한 가 운데 교육을 했다. ‘합병증에 의한 저혈압 치료에는 기본적으로 규칙 적 생활로 심신의 균형 및 안정을 유지해야 하며 적당한 운동과 충분 한 휴식으로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소화 흡수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그 러나 대상자는 저혈압보다는 심근경색의 위험성이 크므로 저혈압의 치료를 위해 무리한 운동은 절대 삼가야한다.’라고 교육 했다.
⑥ 기립성 저혈압에 대한 설명 및 그에 따른 외상 예방법에 대해 설명했다.
- ‘장시간 누워있다가 일어나게 되면 갑작스러운 어지러움증으로 환자 가 침대에서 떨어져 큰 위험이 생길 수 있으니 누워있다가 바로 침상 밑으로 내려가는 것은 금물이며 한동안 침상가에 앉아 다리를 내리고 있은 후 보행을 해야 한다.’ 라고 교육했다. 보호자는 이 부분의 교육 에서 자신도 그런 경험이 있다며 깊은 공감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⑦ 고단백, 고칼로리 등 영양가 풍부한 음식의 섭취에 대해 교육했다.
- 대상자에게 단백질이 풍부하고 영양가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7.10.01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99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