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목차
1. 수와 연산
2. 도형
3. 측정
4. 확률과 통계
5. 문자와 식
6. 규칙성과 함수
2. 도형
3. 측정
4. 확률과 통계
5. 문자와 식
6. 규칙성과 함수
본문내용
⑦ 재미있는 놀이, 문제 해결, 심화 과정
⑥ 잘 공부했는지 알아보기, 다시 알아보기, 좀더 알아보기
⑤ 두 수의 크기 비교
④ 50 이하의 수에 대한 순서 알기
③ 50개 이하의 개수를 세기
② 몇십과 몇십 몇의 약속, 쓰기, 읽기
① 10에서 19까지 수의 약속, 쓰기, 읽기
9까지의 수의 9까지 수의 9까지 수의
약속, 쓰기, 읽기 순서 크기 비교
(3) 왜 가르치는가?
① 10은 십진기수법 체계를 가지고 있는 자연수의 기본이 되는 둘째의 단위수(첫째의 단위수는 1)이다.
② 10을 활용하여 모든 자연수는 십진기수법으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③ 10의 보수는 덧셈과 뺄셈의 기초가 된다.
④ 몇십과 몇십 몇의 구성 방법은 모든 자연수의 구성 방법과 동일하기 때문에 50까지 수의 구성 방법을 이해하는 것은 모든 자연수의 구성 방법을 이해하는 기초가 된다.
⑤ 두 수의 크기 비교는 자연수를 이용하고 있는 생활에서 물질들의 양을 비교할 때 활용되는 기초로서 중요하다.
Ⅰ-나
1. 100까지의 수
(1) 단원의 목표
① 10개씩 묶음의 수와 낱개의 수를 이용하여 99까지의 수를 나타내며, 쓰고 읽을 수 있다.
② 물건의 개수가 99이하인 물건들을 셀 수 있다.
③ 99까지 수의 순서와 계열을 이해한다.
④ 99 다음의 수가 100임을 알고, 쓰고 읽을 수 있다.
⑤ 두 자리 수의 대소 관계를 부등호를 써서 나타낼 수 있다.
⑥ 수 배열표에서 규칙성을 찾아보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학습의 흐름도
세 자리 수의 이해
⑧ 재미있는 놀이, 문제 해결
⑦ 잘 공부했는지 알아보기, 다시 알아보기, 좀더 알아보기
⑥ 규칙찾기
⑤ 두 수의 크기 비교
④ 100까지 수의 순서 알기
③ 99개 이하의 개수 세기
② 몇십 몇의 약속, 쓰기, 읽기
① 몇 십의 약속, 쓰기, 읽기
10의 도입과 50까지의 이해 대소 비교
읽기, 쓰기
(3) 왜 가르치는가?
50까지의 수를 읽고 쓰는 방법은 배웠지만 두 자리 수를 모두 십진기수법으로 나타내려면 51에서 99까지의 수가 더 필요하다.
3. 10을 가르기와 모으기
(1) 단원의 목표
① 10개의 구체물을 두 묶음으로 가를 수 있다.
② 10을 두 수로 가를 수 있다.
③ 10개가 되게 두 묶음을 모을 수 있다.
④ 10이 되는 두 수를 모을 수 있다.
(2) 학습의 흐름도
10이 되는 더하기와 10에서 빼기
재미있는 놀이, 문제 해결
잘 공부했는지 알아보기, 다시 알아보기, 좀더 알아보기
10을 두 수로 가르기 10이 되게 두 수를 모으기
10개를 두 묶음으로 가르기 10개가 되게 두 묶음을 모으기
합이 9이하인 두 수의 빼기 합이 9이하인 두 수의 더하기
2~9까지의 수를 두 수로 가르기 합이 9이하인 두 수를 모으기
(3) 왜 가르치는가?
10을 두 수로 가르고 모으는 것은 10의 보수 관계를 충분히 익혀 덧셈과 뺄셈을 하는 기초 조작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4. 10이 되는 더하기와 10에서 빼기
(1) 단원의 목표
① 10이 되는 더하기를 하고 덧셈식을 쓸 수 있다.
② 몇에 몇을 더하고 덧셈식을 쓸 수 있다.
③ 10에서 몇을 빼고 뺄셈식을 쓸 수 있다.
④ 10에서 몇을 빼면 몇이 남는 빼기를 하고 뺄셈실을 쓸 수 있다.
(2) 학습의 흐름도
덧셈과 뺄셈
재미있는 놀이, 문제 해결
잘 공부했는지 알아보기, 다시 알아보기, 좀더 알아보기
10에서 몇을 빼면 얼마가 되는 빼기
10에서 몇을 빼는 빼기
몇에 몇을 더하여 10이 되는 더하기
10이 되는 더하기
9까지의 수 더하기와 빼기
(3) 왜 가르치는가?
덧셈의 네 가지 경우는 합이 9이하인 덧셈, 합이 10인 덧셈, 합이 18이하인 덧셈, 합이 19이상인 덧셈이다. 이렇게 합이 10인 덧셈은 덧셈의 기초가 된다. 또 10이 되는 더하기는 받아올림이 있는 덧셈의 기초가 된다.
뺄셈도 9에서 빼는 뺄셈, 10에서 빼는 뺄셈, 18이하에서의 뺄셈, 큰 수에서의 뺄셈으로 나뉘는데 역시 10에서의 뺄셈은 뺄셈의 기초가 된다. 또 10에서 빼기는 받아내림이 있는 뺄셈의 기초가 된다.
6. 더하기와 빼기(1)
(1) 단원의 목표
① 한 자리 수의 연가산, 한 자리 수의 연감산, 가감 혼합산의 원리를 이해하고 계산할 수 있다.
② 받아올림이나 받아내림이 없는 두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의 원리를 이해하고 능숙하게 계산할 수 있다.
③ 덧셈식과 뺄셈식의 관계를 익힐 수 있다.
④ 어림셈의 기초 기능을 익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어림셈할 수 있다.
(2) 학습의 흐름도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이 있는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이 있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합과 차를 구하기
재미있는 놀이, 문제 해결
더하기와 빼기의 관계 알아보기
(몇십) + (몇십), (몇십 몇) + (몇십 몇)
(몇십 몇) + (몇) (몇십) - (몇십), (몇십 몇) - (몇십 몇)
(몇십) + (몇) (몇십 몇) - (몇)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이 없는 세 수의 더하기와 빼기
간단한 수의 더하기와 빼기 합이 10이 되는 더하기 10에서 빼기
(3) 왜 가르치는가?
받아올림이 없는 덧셈은 다음에 학습하게 되는 받아올림이 있는 덧셈의 기초가 된다. 마찬가지로 받아내림이 없는 뺄셈은 받아내림이 있는 뺄셈의 기초가 된다. 즉, 받아올림이나 받아내림이 있는 덧셈과 뺄셈의 학습을 준비하는 과정이다.
7. 더하기와 빼기(2)
(1) 단원의 목표
① 세 수의 덧셈을 할 수 있다.
② 일의 자리의 수를 합하여 10이 되면 받아올리는 덧셈을 할 수 있다.
③ 10의 자리 1을 낱개 10개로 받아내리는 뺄셈을 할 수 있다.
④ 세 수의 계산을 할 수 있다.
⑤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계산을 할 수 있다.
(2) 학습의 흐름도
받아올림이 있는 받아내림이 있는
두 자리 수의 덧셈 두 자리 수의 뺄셈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계산
재미있는 놀이, 문제 해결
잘 공부했는지 알아보기, 다시 알아보기, 좀더 알아보기
세 수의 계산
일의 자리를 합하여 10을
⑥ 잘 공부했는지 알아보기, 다시 알아보기, 좀더 알아보기
⑤ 두 수의 크기 비교
④ 50 이하의 수에 대한 순서 알기
③ 50개 이하의 개수를 세기
② 몇십과 몇십 몇의 약속, 쓰기, 읽기
① 10에서 19까지 수의 약속, 쓰기, 읽기
9까지의 수의 9까지 수의 9까지 수의
약속, 쓰기, 읽기 순서 크기 비교
(3) 왜 가르치는가?
① 10은 십진기수법 체계를 가지고 있는 자연수의 기본이 되는 둘째의 단위수(첫째의 단위수는 1)이다.
② 10을 활용하여 모든 자연수는 십진기수법으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③ 10의 보수는 덧셈과 뺄셈의 기초가 된다.
④ 몇십과 몇십 몇의 구성 방법은 모든 자연수의 구성 방법과 동일하기 때문에 50까지 수의 구성 방법을 이해하는 것은 모든 자연수의 구성 방법을 이해하는 기초가 된다.
⑤ 두 수의 크기 비교는 자연수를 이용하고 있는 생활에서 물질들의 양을 비교할 때 활용되는 기초로서 중요하다.
Ⅰ-나
1. 100까지의 수
(1) 단원의 목표
① 10개씩 묶음의 수와 낱개의 수를 이용하여 99까지의 수를 나타내며, 쓰고 읽을 수 있다.
② 물건의 개수가 99이하인 물건들을 셀 수 있다.
③ 99까지 수의 순서와 계열을 이해한다.
④ 99 다음의 수가 100임을 알고, 쓰고 읽을 수 있다.
⑤ 두 자리 수의 대소 관계를 부등호를 써서 나타낼 수 있다.
⑥ 수 배열표에서 규칙성을 찾아보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학습의 흐름도
세 자리 수의 이해
⑧ 재미있는 놀이, 문제 해결
⑦ 잘 공부했는지 알아보기, 다시 알아보기, 좀더 알아보기
⑥ 규칙찾기
⑤ 두 수의 크기 비교
④ 100까지 수의 순서 알기
③ 99개 이하의 개수 세기
② 몇십 몇의 약속, 쓰기, 읽기
① 몇 십의 약속, 쓰기, 읽기
10의 도입과 50까지의 이해 대소 비교
읽기, 쓰기
(3) 왜 가르치는가?
50까지의 수를 읽고 쓰는 방법은 배웠지만 두 자리 수를 모두 십진기수법으로 나타내려면 51에서 99까지의 수가 더 필요하다.
3. 10을 가르기와 모으기
(1) 단원의 목표
① 10개의 구체물을 두 묶음으로 가를 수 있다.
② 10을 두 수로 가를 수 있다.
③ 10개가 되게 두 묶음을 모을 수 있다.
④ 10이 되는 두 수를 모을 수 있다.
(2) 학습의 흐름도
10이 되는 더하기와 10에서 빼기
재미있는 놀이, 문제 해결
잘 공부했는지 알아보기, 다시 알아보기, 좀더 알아보기
10을 두 수로 가르기 10이 되게 두 수를 모으기
10개를 두 묶음으로 가르기 10개가 되게 두 묶음을 모으기
합이 9이하인 두 수의 빼기 합이 9이하인 두 수의 더하기
2~9까지의 수를 두 수로 가르기 합이 9이하인 두 수를 모으기
(3) 왜 가르치는가?
10을 두 수로 가르고 모으는 것은 10의 보수 관계를 충분히 익혀 덧셈과 뺄셈을 하는 기초 조작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4. 10이 되는 더하기와 10에서 빼기
(1) 단원의 목표
① 10이 되는 더하기를 하고 덧셈식을 쓸 수 있다.
② 몇에 몇을 더하고 덧셈식을 쓸 수 있다.
③ 10에서 몇을 빼고 뺄셈식을 쓸 수 있다.
④ 10에서 몇을 빼면 몇이 남는 빼기를 하고 뺄셈실을 쓸 수 있다.
(2) 학습의 흐름도
덧셈과 뺄셈
재미있는 놀이, 문제 해결
잘 공부했는지 알아보기, 다시 알아보기, 좀더 알아보기
10에서 몇을 빼면 얼마가 되는 빼기
10에서 몇을 빼는 빼기
몇에 몇을 더하여 10이 되는 더하기
10이 되는 더하기
9까지의 수 더하기와 빼기
(3) 왜 가르치는가?
덧셈의 네 가지 경우는 합이 9이하인 덧셈, 합이 10인 덧셈, 합이 18이하인 덧셈, 합이 19이상인 덧셈이다. 이렇게 합이 10인 덧셈은 덧셈의 기초가 된다. 또 10이 되는 더하기는 받아올림이 있는 덧셈의 기초가 된다.
뺄셈도 9에서 빼는 뺄셈, 10에서 빼는 뺄셈, 18이하에서의 뺄셈, 큰 수에서의 뺄셈으로 나뉘는데 역시 10에서의 뺄셈은 뺄셈의 기초가 된다. 또 10에서 빼기는 받아내림이 있는 뺄셈의 기초가 된다.
6. 더하기와 빼기(1)
(1) 단원의 목표
① 한 자리 수의 연가산, 한 자리 수의 연감산, 가감 혼합산의 원리를 이해하고 계산할 수 있다.
② 받아올림이나 받아내림이 없는 두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의 원리를 이해하고 능숙하게 계산할 수 있다.
③ 덧셈식과 뺄셈식의 관계를 익힐 수 있다.
④ 어림셈의 기초 기능을 익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어림셈할 수 있다.
(2) 학습의 흐름도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이 있는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이 있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합과 차를 구하기
재미있는 놀이, 문제 해결
더하기와 빼기의 관계 알아보기
(몇십) + (몇십), (몇십 몇) + (몇십 몇)
(몇십 몇) + (몇) (몇십) - (몇십), (몇십 몇) - (몇십 몇)
(몇십) + (몇) (몇십 몇) - (몇)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이 없는 세 수의 더하기와 빼기
간단한 수의 더하기와 빼기 합이 10이 되는 더하기 10에서 빼기
(3) 왜 가르치는가?
받아올림이 없는 덧셈은 다음에 학습하게 되는 받아올림이 있는 덧셈의 기초가 된다. 마찬가지로 받아내림이 없는 뺄셈은 받아내림이 있는 뺄셈의 기초가 된다. 즉, 받아올림이나 받아내림이 있는 덧셈과 뺄셈의 학습을 준비하는 과정이다.
7. 더하기와 빼기(2)
(1) 단원의 목표
① 세 수의 덧셈을 할 수 있다.
② 일의 자리의 수를 합하여 10이 되면 받아올리는 덧셈을 할 수 있다.
③ 10의 자리 1을 낱개 10개로 받아내리는 뺄셈을 할 수 있다.
④ 세 수의 계산을 할 수 있다.
⑤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계산을 할 수 있다.
(2) 학습의 흐름도
받아올림이 있는 받아내림이 있는
두 자리 수의 덧셈 두 자리 수의 뺄셈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계산
재미있는 놀이, 문제 해결
잘 공부했는지 알아보기, 다시 알아보기, 좀더 알아보기
세 수의 계산
일의 자리를 합하여 10을
추천자료
수준별교육과정 단계별 설명
학습자의 개인차(지능,창의성,인지양식 등)
[기초기본학력부진아지도]기초기본학력부진아의 개념, 기초기본학력부진아의 요인과 기초기본...
초등학교 1학년 우리들은1학년과 바른생활 교과 교육, 초등학교 1학년 슬기로운생활과 즐거운...
초등학교 3학년 수학과(수학교육) 목표, 초등학교 3학년 수학과(수학교육) 실태와 내용, 초등...
초등학교 3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도덕과(도덕교육), 사회과(사회과교육), 초등학교 3학년 ...
[초등수학]초등학교 2학년 수학과(수학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초등학교 2학년 수학과(수학교...
[초등수학교육[수학과][수학교육]초등학교 4학년 수학과(수학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초등학...
초등학교5학년 교육과정 편제와 시간운영, 초등학교5학년 국어과교육, 초등학교5학년 영어과...
초등학교 5학년 수학과(수학교육)의 목표와 내용체계, 초등학교 5학년 수학과(수학교육) 지도...
초등학교 2학년 국어교과(국어교육), 초등학교 2학년 수학교과(수학교육), 초등학교 2학년 바...
초등학교 6학년 교육목표와 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와 영어과 교육과정, 초등...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수학교육)의 목표와 교육중점,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수학교육)의 운...
수학과교육과정의 특성, 수학과교육과정의 목표, 수학과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수학과교육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