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막하출혈[SAH]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지주막하출혈: 뇌동맥류
1. 원인과 위험인자
2. 발생빈도 및 자연경과
3. 해부학
4. 병태생리
5. 발생기전
6. 증상
7. 진단
8. 치료
9. 뇌동맥류 수술방법
Ⅳ. 간호과정
(1) 개인력
(2) 건강력
(3)신체검진
(4) 진단을 위한 검사
(5) 치료 및 경과
(6) 간호과정

본문내용

심 정맥관(+) CVP :6~9㎝H2O유지, EKG moniter(+),
pulse oxymeter(+) SPO2 92~96%
- 호흡기계: Keep airway with O2 5ℓ/min, 구강간호 (+)
- 비뇨기계: Foley keep , 회음부간호 (+),
- 피부: 의식수준 사정으로 인해 멍든 곳이 많다.
chest PT(+), ROM(+), 침상목욕(+),
- 활동과 안정: 절대안정(+), head elevation(+), 보조난간, 억제대(+)
- 영양: soft diet
(4) 진단을 위한 검사
◎ B - CT ( 3월 24일)
CT상 diffuse & thick한 SAH.
IVH소견 보이며, Ventricle size도 다소증가.
Imp. R/o rebleeding
R/o hydrocephalus
plan) 3D CT angio
◎ 3D CT angio ( 3월 24일 )
3D CT angio상 Rt. p-com site에 broad neck을 가지고 ,
aneurysmal saccular 보임.
plan) Operation
◎ 혈액, 생화학 응급검사
명칭
3월 28일
3월 29일
정상치
Sign
W.B.C
8.4 × 10 /mm3
-
4.1 ~ 10.2
-
R.B.C
2.85 × 10 /mm3
-
4.31 ~ 5.47

Platelet
79 × 10 /mm3
-
158 ~ 332

Hemoglobin
9.6g/dL
-
12 ~ 16

Hematocrit
27.6%
-
35.5 ~ 45

M.C.V
96.8%
-
81.8 ~ 99
-
M.C.H.C
34.7%
-
32.2 ~ 34.7
-
R.D.W
14%
-
11.2 ~ 14.2
-
Eosinophil
0.0%
-
0 ~ 6
-
Basophil
0.2%
-
0 ~ 2
-
Lymphocyte
9.8%
-
21 ~ 51

Monocyte
3.8%
-
3 ~ 9
-
Na
147 mmol/L
-
135 ~ 148
-
K
3.0 mmol/L
-
3.5 ~ 5.5

Cl
110 mmol/L
-
98 ~ 110
-
urine osmolality
592
-
750~1200

BUN
16mg/dL
-
8 ~ 23
-
creatinine
0.9mg/dL
-
0.6 ~ 1.2
-
CRP
0.9
-
5 ↓
-
ESR
0002
-
0 ~ 20
-
(5) 치료 및 경과
※ 수술
Rt. P- com clipping 시행.
clipping후 clip 미끄러지는 소견 있어 다시 clipping 시행.
Rt. point에서 EVD.
Post OP 으로 환자 Lt. Hemiparesis, Gr ( 2, 이상굴곡반응 )
- Lt. Hemiparesis는 op 1일 후 Gr 5 로 회복.
EVD 27일에 remove.
약명
용량
투여방법
약리작용
부작용
kalikrein
1T bid
P.O
말초순환장애, 뇌순환장애,갱년기장애에 의한여러증상 개선.
과민증,심계항진,구역구토,식욕부진,두통,졸음,권태감
* 약물투여
mydrin
1T Tid
P.O
혈관성두통(편두통),긴장성두통
일시적인 현기, 피부발진,과민증
excegran
200㎎ bid
P.O
부분발작, 강직간대경련,
비 정형결신발작,
혼합벌작
피부점막안증후군,재생불량성빈혈,과민증,무기력,의욕저하,식욕부진,구토,위통
magmil
2T bid
P.O
위십이지장궤양,위염,위산과다,변비증
설사,대사이상(고마그네슘혈증)
cerosteril
250㎎ qid
I.V
뇌수종
요잠혈반응,혈색소뇨혈뇨,두통,구역,구갈
methysol
125㎎ Tid
I.V
내분비기능이상,류마티스장애,교원성질환,알러지성질환,안과질환,위장관계,호흡기계,혈액질환,신경계질환
체액전해질,근무력증,어지러움,두통,피부,신경계,혈액(백혈구증가,혈전증),
mucosten
1amp bid
I.V
객담배출곤란,급만성기관지염,기관지확장증,인후두염부비강염
소화기계(구역,구토,구내염,가슴쓰림,설사),과민증
(6) 간호과정
간호진단 및 자료
목표
계획 및 수행
평가
#1. 뇌압상승과 관련된 잠재성 조직관류 장애
- 대상자의 뇌조직관류가 향상될것이다.
- 두통이 없고, 의식수준이 감소되지 않으며, GCS점수의 안정이나 향상될것이다.
1. 환자의 정신상태와 의식수준을 사정한다.
2.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3. 두개내압 상승의 증상을 측정한다. (의식저하, 두통, 구토, 경련, 서맥, 유두부종, 동공의 변화 등)
4. 침대머리를 30℃정도 올려준다.
5. 머리의 굴곡, 신전 또는 회전을 피하고 자연스런 자세를 유지한다.
6. 지나친 고관절 굴곡을 피한다.
7. Valsalva maneuver를 금하고, 배변습관을 조정한다. (변비예방을 위해 고섬유식이와 제한된 범위내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8.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대상자는GCS점수가 안정적이며, 두통을 호소하지 않는다.
#2. 국소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O: 대상자의 피부가 홍조를 띄며, 체온이 37.9℃ 측정됨.
대상자는 신경학적 결손이 진행되지 않고 체온이 정상범위이다.
1.체온을한시간마다 측정한다
2.환자의 신체부의를 노출시키며, 미온수로닦아준다.
3.발한후 환의나 린넨을 교환한다.
4.탈수예방을 위하여 제한된 범위내에서 수분섭취 증가시킨다.
5.필요시 저체온 담요를 이용한다. (사용시 피부압박이나 동상에 대해 자주사정하며 오한은 피한다.)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범위이다.
#3. 장기적 부동과 관련된 변비
O: 대상자의 복부가 팽만되어 있으며 , 5일째 배변 못함.
대상자는 분변매복의 징후 없이 규칙적인 배변을 할수있다.
1.대상자의 복부 팽만감, 덩어리를 촉진하여, 장폐색이 있는지 조사한다.
2.가능한 범위내에서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3.섬유질이 많은 식이를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4.배변시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대상자의 배변횟수가 규칙적이다.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이광우외 (2001) 임상신경학, 범문사
대한신경외과학회 (1994) 신경외과학
서문자외(2004) 성인간호학 下(Ⅲ), 수문사
서울대학교 병원(1994)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www. kimsonline. co. kr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10.06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5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