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무의식 환자 간호
▣ 두개내압상승(IICP) 환자 간호
▣ 두개내압상승(IICP) 환자 간호
본문내용
중뇌 압력증가 : 과도환기
·과도환기는 뇌혈관을 수축시키고 뇌혈량을 감소시켜 두개내압 감소시킴
(이 때 동맥혈 탄산가스 분압은 25-30mmHg유지시킴)
③ 뇌간의 하부(뇌교, 연수) 압력증가: 호흡 불규칙, 호흡정지
3) 기도청결 유지: 기도의 개존유무 사정
① 분비물의 기도폐쇄 주의 깊게 흡인(일시적 두개내압 상승예방, 흡인 전후 산소공급)
② 산소공급부족으로 인한 저산소증은 뇌관류를 악화한다.
③ 기침과 긴장 또한 ICP를 높일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④ 폐 부위는 적어도 8시간마다 청진하여 파열음이나 울혈부위를 확인한다.
⑤ 침상머리 부위를 높여 뇌정맥 배액을 돕고 분비물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4) 수분균형유지: 다양한 탈수제제를 투여
① Corticosteroid투여하여 뇌부종을 줄이며 수분섭취 제한한다. 탈수위험
(탈수사정: 피부긴장도, 점막상태, 요 삼투압 모니터)
② 주입속도 조절장치사용 : 수액 정맥 주입 시 빨리 주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③ Mannitol : 이뇨작용(세포 내에서 혈관 내로 수분을 이동시키므로 순환 혈액량 증가 울혈성 심부전, 폐 부종 관찰)
④ 탈수요법 환자: 세심한 구강간호
5) 정상적인 배변, 배뇨유지: 소변의 비중와 요당을 측정한다.
① Steroid합병증 : 고혈당
② 삼투요법 받는 대상자 : 체액상태와 신기능 사정 위해 정체도뇨관 삽입
③ 배변 시 힘주는 것 피하게 한다.
6) 감염예방
① 뇌실 내 도관 삽입환자 : 주의 깊게 관찰
(건조한 드레싱 유지, 무균법, 배액 기구의 연결, 뇌막염의 증상, 증후(열, 오한, 경부 경직, 두통)
7) Barbiturate 혼수 요법
① 다른 치료로 조절되지 않고 응급 상황일 때 barbiturate를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혼수상 태를 유도하는 방법
② sodium pentobarbital(Nembutal) IV barbiturate를 2.5 - 4mg/dl 유지 1-3일 동 안 정상을 유지할 때까지 혼수상태로 유지시키다가 pentobarbital 용량을 서서히 감소시 킨다.
③ barbiturate가 심장기능을 억압하므로 혈액역동 변화를 세심히 모니터하고, Dopamine 을 정맥으로 투여하여 혈압을 최소한 90mmHg로 유지하고 심장수축을 돕는다.
8) 외과적 조절(두개수술)
① 종양이나 혈종의 제거
② 감압을 위해 측두엽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두개골의 일부를 제거하여 죄가 확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③ 배액 튜브를 삽입하여 막혀있는 뇌척수액을 두 개 되의 혈관계, 복막강, 심장 안으로 유도해 낸다.
④ 두개골 절제
5. 체액·전해질 Monitor
① check I/O, 전해질
② CVP
③ 뇨배설량, 뇨비중
④ Hyperglycimia : 다량의 스테로이드와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됨.
⑤ Hypervolemia, hypotension : diuretics와 fluid restriction에 의해 야기됨
⑥ Hypernatremia : 이뇨제, Na 대체요법, 당뇨, hypothalamic disorder, 고단백질 tube feeding - celluar dehydration, neurologic deterioration
⑦ hyponatremia : SIADH, 이뇨제, GI loss에 의해 야기 뇌부종
· 관리 : indwelling catheter, intermittent cath.
6 . 간호문제 및 간호중재
1) 간호문제
① 두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뇌 조직 관류변화
② 신경계 기능장애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③ 반사수준 저하로 인한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④ 탈수와 관련된 체액부족위험성
⑤ 투약, 정체도뇨관, 수분섭취 감소와 관련된 배뇨장애
⑥ 두개내압 모니터 장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⑦ 구강호흡, 인두반사 소실, 수분 섭취불능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⑧ 위기 상황과 관련된 가족기능장애
⑨ 각막반사 손상과 혹은 소실과 관련된 조직손상
⑩ 부동, 두개내압 모니터 설치로 인한 압박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2) 간호중재
① 기도를 청결히 하고 호흡과 순환을 유지시킨다.
② 삼투성 이뇨제를 투여한다.
③ 스테로이드제를 투여한다.
④ 인공호흡기를 이용한 과다호흡을 유도한다.
⑤ 이뇨제를 사용하여 갑작스런 두개강 내압 상승을 예방한다.
⑥ 발열은 뇌혈류량을 증가시키므로 급속히 치료해야 한다.
⑦ 지속적인 ICP상승이 있을 경우 ICP monitoring을 한다.
⑧ ICP 상승을 초래할 수 있는 고개돌리기, 복위, 경부굴절을 피한다.
·과도환기는 뇌혈관을 수축시키고 뇌혈량을 감소시켜 두개내압 감소시킴
(이 때 동맥혈 탄산가스 분압은 25-30mmHg유지시킴)
③ 뇌간의 하부(뇌교, 연수) 압력증가: 호흡 불규칙, 호흡정지
3) 기도청결 유지: 기도의 개존유무 사정
① 분비물의 기도폐쇄 주의 깊게 흡인(일시적 두개내압 상승예방, 흡인 전후 산소공급)
② 산소공급부족으로 인한 저산소증은 뇌관류를 악화한다.
③ 기침과 긴장 또한 ICP를 높일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④ 폐 부위는 적어도 8시간마다 청진하여 파열음이나 울혈부위를 확인한다.
⑤ 침상머리 부위를 높여 뇌정맥 배액을 돕고 분비물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4) 수분균형유지: 다양한 탈수제제를 투여
① Corticosteroid투여하여 뇌부종을 줄이며 수분섭취 제한한다. 탈수위험
(탈수사정: 피부긴장도, 점막상태, 요 삼투압 모니터)
② 주입속도 조절장치사용 : 수액 정맥 주입 시 빨리 주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③ Mannitol : 이뇨작용(세포 내에서 혈관 내로 수분을 이동시키므로 순환 혈액량 증가 울혈성 심부전, 폐 부종 관찰)
④ 탈수요법 환자: 세심한 구강간호
5) 정상적인 배변, 배뇨유지: 소변의 비중와 요당을 측정한다.
① Steroid합병증 : 고혈당
② 삼투요법 받는 대상자 : 체액상태와 신기능 사정 위해 정체도뇨관 삽입
③ 배변 시 힘주는 것 피하게 한다.
6) 감염예방
① 뇌실 내 도관 삽입환자 : 주의 깊게 관찰
(건조한 드레싱 유지, 무균법, 배액 기구의 연결, 뇌막염의 증상, 증후(열, 오한, 경부 경직, 두통)
7) Barbiturate 혼수 요법
① 다른 치료로 조절되지 않고 응급 상황일 때 barbiturate를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혼수상 태를 유도하는 방법
② sodium pentobarbital(Nembutal) IV barbiturate를 2.5 - 4mg/dl 유지 1-3일 동 안 정상을 유지할 때까지 혼수상태로 유지시키다가 pentobarbital 용량을 서서히 감소시 킨다.
③ barbiturate가 심장기능을 억압하므로 혈액역동 변화를 세심히 모니터하고, Dopamine 을 정맥으로 투여하여 혈압을 최소한 90mmHg로 유지하고 심장수축을 돕는다.
8) 외과적 조절(두개수술)
① 종양이나 혈종의 제거
② 감압을 위해 측두엽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두개골의 일부를 제거하여 죄가 확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③ 배액 튜브를 삽입하여 막혀있는 뇌척수액을 두 개 되의 혈관계, 복막강, 심장 안으로 유도해 낸다.
④ 두개골 절제
5. 체액·전해질 Monitor
① check I/O, 전해질
② CVP
③ 뇨배설량, 뇨비중
④ Hyperglycimia : 다량의 스테로이드와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됨.
⑤ Hypervolemia, hypotension : diuretics와 fluid restriction에 의해 야기됨
⑥ Hypernatremia : 이뇨제, Na 대체요법, 당뇨, hypothalamic disorder, 고단백질 tube feeding - celluar dehydration, neurologic deterioration
⑦ hyponatremia : SIADH, 이뇨제, GI loss에 의해 야기 뇌부종
· 관리 : indwelling catheter, intermittent cath.
6 . 간호문제 및 간호중재
1) 간호문제
① 두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뇌 조직 관류변화
② 신경계 기능장애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③ 반사수준 저하로 인한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④ 탈수와 관련된 체액부족위험성
⑤ 투약, 정체도뇨관, 수분섭취 감소와 관련된 배뇨장애
⑥ 두개내압 모니터 장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⑦ 구강호흡, 인두반사 소실, 수분 섭취불능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⑧ 위기 상황과 관련된 가족기능장애
⑨ 각막반사 손상과 혹은 소실과 관련된 조직손상
⑩ 부동, 두개내압 모니터 설치로 인한 압박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2) 간호중재
① 기도를 청결히 하고 호흡과 순환을 유지시킨다.
② 삼투성 이뇨제를 투여한다.
③ 스테로이드제를 투여한다.
④ 인공호흡기를 이용한 과다호흡을 유도한다.
⑤ 이뇨제를 사용하여 갑작스런 두개강 내압 상승을 예방한다.
⑥ 발열은 뇌혈류량을 증가시키므로 급속히 치료해야 한다.
⑦ 지속적인 ICP상승이 있을 경우 ICP monitoring을 한다.
⑧ ICP 상승을 초래할 수 있는 고개돌리기, 복위, 경부굴절을 피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신경계 구조와 기능
학교에서 일어날 수 있는 손상에 대한 응급처치
CAVH(continuous arterio venous hemofiltration) 환자간호
협심증환자간호
cast와 traction 환자간호
뇌동맥류환자간호관리
호스피스위암말기환자간호수행양식
뇌졸중 환자간호(뇌출혈, 뇌경색, 당뇨환자, 고혈압 환자등)
흉관_삽관_환자_간호
Chemotherapy의 원리와 환자간호
성인간호학-두개내압 정리
심전도(Electrocardiogram) EKG(중환자간호) 정의, 원리, 심전도 기록, 심전도 리듬의 분석, ...
중환자실 실습 컨퍼런스 레포트
뇌졸중 케이스, 중환자실 케이스, 중환자실 간호과정 A++ case 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