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정의,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
Ⅱ. 본 론
1.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1) Patient Profile
2) Nursing History
3) 현재의 병력 사정
4) 과거 건강력 사정
5) 신체검진
6) 검사소견
7) 약물요법
2. Problem list
3. 간호과정 적용
[문헌고찰]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정의,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
Ⅱ. 본 론
1.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1) Patient Profile
2) Nursing History
3) 현재의 병력 사정
4) 과거 건강력 사정
5) 신체검진
6) 검사소견
7) 약물요법
2. Problem list
3. 간호과정 적용
[문헌고찰]
본문내용
을 경우에는 심한 어지럼증을 흔히 호소한다.
이러한 증상의 정도는 뇌졸중의 병변의 크기, 위치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정도로 나타나며, 어떤 때는 약간 이상하다고 느껴질 정도로 약하게 나타나거나 심지어 본인도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심한 경우에는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만큼 마비나 감각이상이 나타나며, 발병 당시부터 생명이 위험한 상황에 빠지기도 한다.
5) Cerebral infarction(뇌경색)의 진단검사
뇌혈류 도플러 초음파검사(Doppler Ultrasonography) : 도플러 초음파는 Transducer에서 주사된 Ultrasound beam이 혈관 내 적혈구에 부딪혀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transducer에서 인지하여 혈류 속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뇌전산화 단층촬영(CT) : 뇌는 머리뼈 속에 들어있는 구조물로 일반 X-선 검사로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뇌에 이상이 강력하게 의심되는 경우 가장 먼저 시행하게 되는 검사이다. CT는 원하는 부위를 잘라서 단면을 보게 되는 방법으로 신체의 거의 어느 부위나 검사가 가능하다. 신경외과에서는 주로 뇌와 척추의 병변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며 아직까지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사 방법이다. 두부외상 환자의 진단, 뇌졸중이 의심되는 경우, 뇌종양 및 그 외 뇌의 이상이 의심되는 증상의 진단을 위해서 사용된다.
뇌핵자리공명촬영(MRI) : 비용은 고가이지만 CT에 비해 공간 해상력과 대조도가 뛰어나 이미지가 선명하고 병변을 여러 각도에서 자유자재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는 거의 모든 중추신경계 질환의 영상진단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뇌혈관촬영(Angiography) : 뇌혈관에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로 주로 뇌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병 및 뇌동맥류, 뇌동정맥기형 등의 진단에 이용된다. 검사는 환자를 똑바로 눕힌 상태에서 서혜부 안쪽 부위에서 박동하는 혈관(대퇴동맥)을 촉진하여 확인한 후 그 부위 피부를 국소 마취하고 약 3~5mm정도 피부를 절개하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주사기와 볼펜심 두께 정도 되는 도관을 이용하여 X-선 투시기를 보면서 이 도관을 서혜부위에 삽입하여 서서히 밀어넣어 배 뒤쪽과 심장옆 및 목부위를 지나 뇌의 바닥부위까지 도달 시킨 후 조영제를 쏘면서 X-산 사진을 여러 각도에서 찍어 뇌혈관의 굵기, 방향, 분지 각도 및 이상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검사는 숙련된 신경방사선과 전문의의 주도로 이루어지며 검사 전에 필요한 제반 검사 등을 하기 때문에 많이 위험하지는 않다.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ET) : 생체내에 양전자를 방출하는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방사성 의약품을 투여한 후, 양전자와 물질간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소멸방사선을 체외에서 검출하여 전산화단층촬영과 유사한 방법으로 각기 다른 각도에서 측정되는 방사능의 분포를 재구성하여 시간과 공간의 함수관계로 검사하고자 하는 구조물이나 장기에서의 분포를 평가하는 것이다.
6) Cerebral infarction(뇌경색)의 치료
① 내과적 치료
급성기에는 환자를 안정시키고, 호흡유지 및 순환관리를 하면서 약물요법을 실시하게 된다. 뇌부종을 줄이기 위한 약물의 투여와 혈전용해제, 뇌대사개선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허혈성 뇌졸중의 발병 초기에 혈전용해제의 투여가 환자를 극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뇌출혈 등의 아주 무서운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연령, 상태, 검사소견 등을 종합하여 신중히 시행하여야 한다.
- 약물요법
항응고제 : warfarin sodium(coumadin), heparin sodium
항고혈압제 : diazoxide(hyperstat)
이뇨제 : mannitol, furosemide(lasix)
corticosteroid : dexamethasone(decadron)
항혈소판제 : aspirin, dipyridamole(persantine)
혈관이완제 : paraverine hydrochloride
② 외과적 치료
- 감압적 개두술 : 뇌경색이 심하고 뇌부종으로 숨골압박으로 생명에 위험이 큰 경우에 생명을 위하여 두개제거 및 뇌엽제거술을 실시할 수 있다.
- 혈관내수술을 통한 혈전 및 색전용해술 : 뇌혈관조영술을 실시하여 뇌혈관이 막힌 곳에 미세도관을 위치시키고 직접 혈전용해제를 투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동맥경화성이나 혈관연축성 협착부위에 직접혈관형성술을 실시하기도 한다.
- 혈행재건술 : 경동맥혈전내막박리술(carotid endarter-
ectomy)을 통해 경동맥의 막힌 부위를 직접 제거하거나, 두개밖(두피내)의 혈관을 두개내 혈관과 연결시켜주는 두개외-두개내혈관문합술이 행해지고 있다.
Ⅱ. 본 론
1.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1) Patient Profile
성명 : 정xx 입원실 : 709호
연령 : 59세 성별 : F
정보 제공자 : 자녀 진단명 : cerebral infarction
입원날자 : 2006. 11. 17 면담날자 : 2006. 11. 21
교육정도 : 중졸 퇴원날자 :
직업 : 무직 생활수준 : 양호
결혼상태 : 기혼[배우자사망] 자녀 : 2남 1녀
2) Nursing History
① Health Perception-Health Management Pattern (건강지각-건강조절 양상)
a. 평소의 건강 상태는? 좋다 ( √ ) 보통이다 ( ) 나쁘다 ( )
b. 현재의 건강 상태는? 좋다 ( ) 보통이다 ( ) 나쁘다 ( √ )
c. 질병예방 및 건강유지를 위해 시도해 온 내용은?
* 자신을 위해 : 적절한 영향 체중조절
자기검사(유방, 고환) 검사(부인과, 치과)
운동 예방접종
* 가족을 위해 : 적절한 영향 체중조절
자기검사(유방, 고환) 검사(부인과, 치과)
운동 예방접종
d. 입원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뇌손상으로 인해 입원한 것이다.
e. 그 질병의 발생시기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자고 일어나던 중 쓰러진 것으로 본다.
f. 그 질병의 발생시기는 언제라고 생각하나? 어제부터 그랬다.
g. 입원을 통한 앞으로의 환자의 기대는?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회복
이러한 증상의 정도는 뇌졸중의 병변의 크기, 위치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정도로 나타나며, 어떤 때는 약간 이상하다고 느껴질 정도로 약하게 나타나거나 심지어 본인도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심한 경우에는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만큼 마비나 감각이상이 나타나며, 발병 당시부터 생명이 위험한 상황에 빠지기도 한다.
5) Cerebral infarction(뇌경색)의 진단검사
뇌혈류 도플러 초음파검사(Doppler Ultrasonography) : 도플러 초음파는 Transducer에서 주사된 Ultrasound beam이 혈관 내 적혈구에 부딪혀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transducer에서 인지하여 혈류 속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뇌전산화 단층촬영(CT) : 뇌는 머리뼈 속에 들어있는 구조물로 일반 X-선 검사로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뇌에 이상이 강력하게 의심되는 경우 가장 먼저 시행하게 되는 검사이다. CT는 원하는 부위를 잘라서 단면을 보게 되는 방법으로 신체의 거의 어느 부위나 검사가 가능하다. 신경외과에서는 주로 뇌와 척추의 병변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며 아직까지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사 방법이다. 두부외상 환자의 진단, 뇌졸중이 의심되는 경우, 뇌종양 및 그 외 뇌의 이상이 의심되는 증상의 진단을 위해서 사용된다.
뇌핵자리공명촬영(MRI) : 비용은 고가이지만 CT에 비해 공간 해상력과 대조도가 뛰어나 이미지가 선명하고 병변을 여러 각도에서 자유자재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는 거의 모든 중추신경계 질환의 영상진단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뇌혈관촬영(Angiography) : 뇌혈관에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로 주로 뇌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병 및 뇌동맥류, 뇌동정맥기형 등의 진단에 이용된다. 검사는 환자를 똑바로 눕힌 상태에서 서혜부 안쪽 부위에서 박동하는 혈관(대퇴동맥)을 촉진하여 확인한 후 그 부위 피부를 국소 마취하고 약 3~5mm정도 피부를 절개하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주사기와 볼펜심 두께 정도 되는 도관을 이용하여 X-선 투시기를 보면서 이 도관을 서혜부위에 삽입하여 서서히 밀어넣어 배 뒤쪽과 심장옆 및 목부위를 지나 뇌의 바닥부위까지 도달 시킨 후 조영제를 쏘면서 X-산 사진을 여러 각도에서 찍어 뇌혈관의 굵기, 방향, 분지 각도 및 이상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검사는 숙련된 신경방사선과 전문의의 주도로 이루어지며 검사 전에 필요한 제반 검사 등을 하기 때문에 많이 위험하지는 않다.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ET) : 생체내에 양전자를 방출하는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방사성 의약품을 투여한 후, 양전자와 물질간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소멸방사선을 체외에서 검출하여 전산화단층촬영과 유사한 방법으로 각기 다른 각도에서 측정되는 방사능의 분포를 재구성하여 시간과 공간의 함수관계로 검사하고자 하는 구조물이나 장기에서의 분포를 평가하는 것이다.
6) Cerebral infarction(뇌경색)의 치료
① 내과적 치료
급성기에는 환자를 안정시키고, 호흡유지 및 순환관리를 하면서 약물요법을 실시하게 된다. 뇌부종을 줄이기 위한 약물의 투여와 혈전용해제, 뇌대사개선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허혈성 뇌졸중의 발병 초기에 혈전용해제의 투여가 환자를 극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뇌출혈 등의 아주 무서운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연령, 상태, 검사소견 등을 종합하여 신중히 시행하여야 한다.
- 약물요법
항응고제 : warfarin sodium(coumadin), heparin sodium
항고혈압제 : diazoxide(hyperstat)
이뇨제 : mannitol, furosemide(lasix)
corticosteroid : dexamethasone(decadron)
항혈소판제 : aspirin, dipyridamole(persantine)
혈관이완제 : paraverine hydrochloride
② 외과적 치료
- 감압적 개두술 : 뇌경색이 심하고 뇌부종으로 숨골압박으로 생명에 위험이 큰 경우에 생명을 위하여 두개제거 및 뇌엽제거술을 실시할 수 있다.
- 혈관내수술을 통한 혈전 및 색전용해술 : 뇌혈관조영술을 실시하여 뇌혈관이 막힌 곳에 미세도관을 위치시키고 직접 혈전용해제를 투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동맥경화성이나 혈관연축성 협착부위에 직접혈관형성술을 실시하기도 한다.
- 혈행재건술 : 경동맥혈전내막박리술(carotid endarter-
ectomy)을 통해 경동맥의 막힌 부위를 직접 제거하거나, 두개밖(두피내)의 혈관을 두개내 혈관과 연결시켜주는 두개외-두개내혈관문합술이 행해지고 있다.
Ⅱ. 본 론
1.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1) Patient Profile
성명 : 정xx 입원실 : 709호
연령 : 59세 성별 : F
정보 제공자 : 자녀 진단명 : cerebral infarction
입원날자 : 2006. 11. 17 면담날자 : 2006. 11. 21
교육정도 : 중졸 퇴원날자 :
직업 : 무직 생활수준 : 양호
결혼상태 : 기혼[배우자사망] 자녀 : 2남 1녀
2) Nursing History
① Health Perception-Health Management Pattern (건강지각-건강조절 양상)
a. 평소의 건강 상태는? 좋다 ( √ ) 보통이다 ( ) 나쁘다 ( )
b. 현재의 건강 상태는? 좋다 ( ) 보통이다 ( ) 나쁘다 ( √ )
c. 질병예방 및 건강유지를 위해 시도해 온 내용은?
* 자신을 위해 : 적절한 영향 체중조절
자기검사(유방, 고환) 검사(부인과, 치과)
운동 예방접종
* 가족을 위해 : 적절한 영향 체중조절
자기검사(유방, 고환) 검사(부인과, 치과)
운동 예방접종
d. 입원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뇌손상으로 인해 입원한 것이다.
e. 그 질병의 발생시기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자고 일어나던 중 쓰러진 것으로 본다.
f. 그 질병의 발생시기는 언제라고 생각하나? 어제부터 그랬다.
g. 입원을 통한 앞으로의 환자의 기대는?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회복
키워드
추천자료
뇌출혈 케이스 스터디
[간호학]중환자실케이스-뇌출혈
ICH케이스(두개뇌출혈) 케이스 스터디
ICH뇌출혈케이스(진단에는 주관적,객관적이랑 진단명뿐)
케이스 스터디-심근경색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심근경색 (MI ; myocardial infarction)
[케이스스터디][세기관지염][만성신부전]세기관지염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만성신부전 케...
NSICU(신경외과중환자실) S-ICH on Lt B.G Spontaneous IntraCellural hemorrhage on Lt. Bas...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MI) 케이스 스터디
성인 간호 심근경색증 케이스 스터디
뇌출혈 케이스, ICH 케이스
흡인성 폐렴 케이스 (현병력 뇌출혈) , 흡인성 폐렴 케이스, 폐렴 케이스, 폐렴 간호과정, ...
응급실 심근경색 케이스스터디 A+
케이스 -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STEMI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