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빙에 대한 인식과 행동조사(대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첨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웰빙에 대한 인식과 행동조사(대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첨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장 - 연구의 필요성

- 시장상황 - 웰빙관련 보험시장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기사글
※자료분석

- 보고서 구성

본론
2장 - 웰빙이용실태 1)동아일보 헬쓰팀이 조사한 웰빙족실태조사
※자료분석

- 이론적 배경 1)웰빙에 대해....
2)웰빙의 장단점

- 문헌연구

(※2장에서의 자료출처는 글마다 첨부하였음)

3장 <방법론>
- 변수의 설정, 속성/요인 <표1-1>
- 변수의 조작적 정의

4장 - 연구질문
- 조사설계
- 표본추출(샘플링)
- 자료수집방법
※에피소드

5장 - 설문지 양식
- 통계분석(SPSS 프로그램 이용)

결론
6장 - 요약
- 연구자의 제언
- 한계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문과 방송에서도 연일 웰빙족의 생활을 집중 조명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 새로운 문화 코드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한편에서는 개발과 속도 위주의 논리에서 벗어나 윤택한 삶을 추구하는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칭찬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상업주의가 만들어낸 허구일 뿐 아니라 오히려 각자 추구하던 건강한 삶의 양식을 ‘웰빙족’이란 틀 안에 가둬 획일적으로 만들고 있다고 비난한다. 이에 동아일보 헬스팀은 논쟁의 폭풍 안으로 뛰어 들어가기로 했다. 과연 우리는 웰빙족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으며 문제점은 없는지, 올바른 웰빙 문화는 어떤 것인지 등을 집중 조명한다.
그렇다면 실제 일반인들도 웰빙족을 이렇게 느끼고 있을까. 동아일보 헬스팀은 지난해 12월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고려대병원, 한양대병원, 세브란스병원, 강남성모병원, 경희대병원, 서울대병원 등 국내 8대 주요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 이용객 774명을 대상으로 대규모의 웰빙족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방식은 일대일 면접과 설문지 작성을 병행했다. 총 850여장의 답변서를 수거해 이 중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774명(남성 322명, 여성 452명)의 답변서를 분석했다.
▽웰빙족은 소수=“건강을 위해 기꺼이 헬스클럽에서 비지땀을 흘린다.”, “평소의 삶은 여유로우면서 자연스럽다.”, “천연 유기농 식품을 사 먹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웰빙족에 주로 이런 이미지를 떠올렸다.
명품이나 사치스러운 생활을 추구하거나 반대로 소박한 생활을 하는 사람은 모두 웰빙족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웰빙족은 자신에 대한 투자에 과감하되 외형보다는 실속을 챙기는 부류라는 것.
이번 조사에서 흥미를 끄는 대목이 있다. 온 나라가 웰빙 신드롬으로 떠들썩한데도 정작 웰빙족은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이다. 전체의 14%만이 ‘나는 웰빙족이다’고 대답했다. 심지어 웰빙족의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거나 단어 자체를 처음 들어봤다고 대답한 사람도 45%나 됐다.
전문가들은 웰빙 문화가 건강에 특히 관심이 큰 일부 계층에 국한돼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이번 조사 대상자들이 평소 건강 문제에 관심이 높은 계층임을 감안하면 웰빙 열풍이 다소 과장됐다는 분석까지 가능하다.
젊은 층이 새로운 문화를 가장 잘 받아들이는 특성은 웰빙 문화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번 조사에서 자신을 웰빙족이라고 믿는 응답자의 40%가 20대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가 35%로 나타나 20, 30대가 전체의 75%를 차지했다. 40대는 20%, 50대는 4%였으며 20대 이하의 경우 전체에서 차지한 비중은 2%에 불과했다.
직종별로 봤을 때 웰빙족과 가장 거리가 먼 부류는 주부로 여성 웰빙족의 9%에 그쳤다. 전체적으로 전문직 종사자가 웰빙족의 20%를 차지해 가장 비중이 높았으며 18%를 차지한 공직 종사자가 2위로 집계됐다. 학생도 11%를 차지했다.
▽웰빙에는 돈이 든다=웰빙족은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얼마나 투자를 하고 있을까. 월간 웰빙 투자비용을 물었다. 웰빙족 두 명 중 한명 꼴인 47%가 매달 10만50만원을 투자한다고 대답했다. 이어 40%가 10만원 이하를 투자한다고 응답했다. 투자비용이 50만100만원, 100만200만원이라고 응답한 웰빙족은 각각 5% 정도. 200만원 이상 쓰는 경우는 2%에 불과했다.
웰빙족이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은 ‘경제력’이었다. 웰빙족의 걸림돌을 묻는 질문에 42%가 “돈이 많이 드는 게 어렵다”고 대답했다. 2위는 시간적 여유를 내기 힘들다는 것으로 36%를 차지했다. 이어 “마땅한 시설이 없다”는 응답이 18%, “주변의 시선이 따갑다”는 응답이 3%를 차지했다.
응답자의 86%에 해당하는 ‘비웰빙족’이 웰빙족 대열에 합류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 최근 경제난을 반영한 탓인지 30%가 “경제적인 여유가 없어서”라고 대답했다. 2위는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로 26%를 기록했다. 웰빙족이 자신의 상태를 유지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이 여기서도 똑같이 작용하는 것. 이어 “관심이 없어서”가 23%, “정서적으로 맞지 않기 때문”이 14%로 나타났다
한편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6%가 웰빙족이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대답했다.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 사람은 전체의 16%에 불과했다.
※자료분석
위의 조사결과는 동아일보의 건강관련기사를 담당하는 헬쓰팀이 조사한 웰빙인식 실태조사이다. 내용을 살펴보면 조사대상들이 말하는 웰빙은 요컨대 웰빙족은 자신에 대한 투자에 과감하되 외형보다는 실속을 챙기는 부류라는 것으로써 경제적으로 뒷받쳐줘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사치를 부리는 것이 아니라 실속을 챙기는 것이라고 응답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흥미로운 결과는 ‘온 나라가 웰빙 신드롬으로 떠들썩한데도 정작 웰빙족은 그리 많지 않다’라고 조사되었다는 것이다. 젊은 층이 새로운 문화를 가장 잘 받아들이는 특성이 있는데 웰빙에서의 경우 또한 마찬가지라고 서술되어 있다. 이러한 점들은 본 연구가 실시하는 점들과 내용면에서 유사한 것들이어서 유익했다.
본 연구에서는 젊은층을 조사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는데 이러한 점에서의 인식이 잘 나타난 이 자료는 유익한 정보를 주었다.
위의 조사결과 중에는 웰빙족이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은 ‘경제력’이었다고 나타나고 있고 웰빙족의 걸림돌을 묻는 질문에 42%가 “돈이 많이 드는 게 어렵다”고 대답한 결과를 볼 수 있다. 이 또한 본 연구의 취지와 맞물려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었다.
☆☆이론적 배경☆☆
1)웰빙에 대해....
①웰빙의 사전적정의
→웰빙(well-being)이란?
사전적 의미는 행복이나 안녕, 최근에는 바쁜 일상과 인스턴트 식품에서 벗어나 건강한 육체와 정신을 추구하는 라이프 스타일이나 문화 코드로 새롭게 해석되고 있다.
*웰빙족 : 몸과 마음이 모두 건강한 삶을 중시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
*웰빙푸드 : 유기농쌀, 유기농야채, 허브차, 생식
2)웰빙의 장단점
①웰빙의 장점
1. 웰빙붐으로 일반인들이 건강의 신체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신사회적인 측면까지 관심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 가격2,800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07.10.08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9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