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창시자
2. 파룬궁의 역사
3. 파룬궁의 교세
4.수련법
5. 파룬궁의 발전 요인
1) 환경적 요인
2) 내부적 요인
3) 외부적 요인
6. 파룬궁 탄압 실태
7. 중국 정부의 탄압 원인
1) 표면적 이유
2) 내부적 이유
3) 역사적 이유
2. 파룬궁의 역사
3. 파룬궁의 교세
4.수련법
5. 파룬궁의 발전 요인
1) 환경적 요인
2) 내부적 요인
3) 외부적 요인
6. 파룬궁 탄압 실태
7. 중국 정부의 탄압 원인
1) 표면적 이유
2) 내부적 이유
3) 역사적 이유
본문내용
없다고 일축하지만, 정부는 그와 반대의 발언을 하고 있다. 파룬궁측과 중국 정부측의 이야기가 상반되어 어떤 것이 진실인지 알수 없는 가운데, 이홍지는 파룬궁측과 중국측의 사태를 통해 세계적인 인물로 부상하고 있다.
2. 파룬궁의 역사
1951년 5월 13일- 이홍지 출생.
1992년- 이홍지 중국에 파룬궁 소개. 최초의 교재 <중국법륜공>출간.
파룬궁, 중국기공연구협회 등록
1992년5월~ 1994년 12월- 이홍지 50주에 걸쳐 파룬궁 전국 순회 강연
1994년- 이홍지 두 번째 교재 <전법륜> 출간.
1995년- 법륜대법연구회 해산.
1996년- 이홍지 미국으로 이민.
1999년 4월 11일- 청소년 잡지<텐진>에 파룬궁에 관한 비난성 기사 등장.
1999년 7월 22일- 중국 정부 파룬궁을 ‘사교’로 규정하고 공식적으로 금지
파룬궁측에서는 자신들이 탄압을 받게 된 것이 중국기공협회를 나오면서 생긴 갈등으로부터 시작됐다고 한다. 그 협회의 사람들이 이홍지와 동업에 실패하자 개별적으로 파룬궁을 공격하기 시작하였으며, 정부 측에 로비하여 이홍지의 진실성을 손상시킴으로 일어난 중앙 정부의 잘못된 인식에서 불거진 일이라고 한다. 대니 셰처, 파룬궁, 중국의 충격-심신수련인가, 신흥 종교인가?, 김은정 역 (서울: 영림카디널, 2001) 90
-정부측 주장-
중국기공연구협회의 로비로 인해 파룬궁이 정부의 공격을 받기 시작했다고 하는데, 그 로비와 상관 없이 이미 1995년과 1996년 즈음부터 파룬궁의 존재에 대한 그 위험성을 느끼기 시작했고, 공안부 내부 문서를 통해 사이비교로 지정하였다고 한다. 또한 1996년에 파룬궁의 경전인 ‘전법륜’등을 위법출판물로 지정하여 단속을 시작했고, 동년 11월 28일 중국기공과학연구회가 파룬궁과 이홍지의 회원자격을 취소했다. 그로부터 약 1년 후 이홍지는 미국으로 이주, 뉴욕을 중심으로 해외에서 포교활동을 시작했다고 말한다. 막방부, “공산당보다 큰 세력: 중국의 기공집단.: 극동문제 (1999.9)
이러한 견해의 신빙성을 어느 정도 뒷받침하고 있는 증거로써 1998년에 西藏人民出版社에서 발행한 “當代中國邪敎”라는 책에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파룬궁을 중국 제1의 邪敎로써 소개하고 있다.
‘이홍지는 1992년 초부터 파룬궁을 전하였으며, 1993년 8월 중국기공과학연구회 直系功派에 속하게 되었다. 하지만 수련자가 점점 많아지자 그의 책 전법륜을 통해 자신을 신격화, 신비화 종교화 했고, 결국 1996년 12월 중국기공과학연구회 직계공파에서 제명당하였다.’
3. 파룬궁의 교세
파룬궁이 세상에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아 탄압이 시작되었고, 짧은 역사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파룬궁은 놀랄 만한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신도: 1억 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 (대다수가 도시민, 공산당원도 섞여 있음)
지사: 베이징에 연구회를 두고 있으며 중국 전역에 39개의 총본부,
1900여개의 지부, 2만8000여개의 수도장이 있다.
해외에서의 파룬궁: 미국 보스턴 텔레비전은 주1회 1시간동안
2. 파룬궁의 역사
1951년 5월 13일- 이홍지 출생.
1992년- 이홍지 중국에 파룬궁 소개. 최초의 교재 <중국법륜공>출간.
파룬궁, 중국기공연구협회 등록
1992년5월~ 1994년 12월- 이홍지 50주에 걸쳐 파룬궁 전국 순회 강연
1994년- 이홍지 두 번째 교재 <전법륜> 출간.
1995년- 법륜대법연구회 해산.
1996년- 이홍지 미국으로 이민.
1999년 4월 11일- 청소년 잡지<텐진>에 파룬궁에 관한 비난성 기사 등장.
1999년 7월 22일- 중국 정부 파룬궁을 ‘사교’로 규정하고 공식적으로 금지
파룬궁측에서는 자신들이 탄압을 받게 된 것이 중국기공협회를 나오면서 생긴 갈등으로부터 시작됐다고 한다. 그 협회의 사람들이 이홍지와 동업에 실패하자 개별적으로 파룬궁을 공격하기 시작하였으며, 정부 측에 로비하여 이홍지의 진실성을 손상시킴으로 일어난 중앙 정부의 잘못된 인식에서 불거진 일이라고 한다. 대니 셰처, 파룬궁, 중국의 충격-심신수련인가, 신흥 종교인가?, 김은정 역 (서울: 영림카디널, 2001) 90
-정부측 주장-
중국기공연구협회의 로비로 인해 파룬궁이 정부의 공격을 받기 시작했다고 하는데, 그 로비와 상관 없이 이미 1995년과 1996년 즈음부터 파룬궁의 존재에 대한 그 위험성을 느끼기 시작했고, 공안부 내부 문서를 통해 사이비교로 지정하였다고 한다. 또한 1996년에 파룬궁의 경전인 ‘전법륜’등을 위법출판물로 지정하여 단속을 시작했고, 동년 11월 28일 중국기공과학연구회가 파룬궁과 이홍지의 회원자격을 취소했다. 그로부터 약 1년 후 이홍지는 미국으로 이주, 뉴욕을 중심으로 해외에서 포교활동을 시작했다고 말한다. 막방부, “공산당보다 큰 세력: 중국의 기공집단.: 극동문제 (1999.9)
이러한 견해의 신빙성을 어느 정도 뒷받침하고 있는 증거로써 1998년에 西藏人民出版社에서 발행한 “當代中國邪敎”라는 책에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파룬궁을 중국 제1의 邪敎로써 소개하고 있다.
‘이홍지는 1992년 초부터 파룬궁을 전하였으며, 1993년 8월 중국기공과학연구회 直系功派에 속하게 되었다. 하지만 수련자가 점점 많아지자 그의 책 전법륜을 통해 자신을 신격화, 신비화 종교화 했고, 결국 1996년 12월 중국기공과학연구회 직계공파에서 제명당하였다.’
3. 파룬궁의 교세
파룬궁이 세상에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아 탄압이 시작되었고, 짧은 역사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파룬궁은 놀랄 만한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신도: 1억 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 (대다수가 도시민, 공산당원도 섞여 있음)
지사: 베이징에 연구회를 두고 있으며 중국 전역에 39개의 총본부,
1900여개의 지부, 2만8000여개의 수도장이 있다.
해외에서의 파룬궁: 미국 보스턴 텔레비전은 주1회 1시간동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