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상담의 이론과 실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집단 상담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집단 상담이란?
1. 집단 상담의 정의
2. 집단 상담의 목적
3. 집단 상담의 영역
4. 집단 상담의 가치와 제한점
5. 집단 상담의 이론적 모형

Ⅱ. 아동집단상담이란?
1. 아동 집단 상담의 개념
2. 아동 집단 상담의 목표
3. 집단의 형태

Ⅲ. 집단 상담의 과정
1. 집단 상담의 과정
2. 집단 상담의 방법

Ⅳ. 아동집단 상담의 과정
1. 아동집단상담의 준비 및 구성
2. 아동집단상담의 과정
3. 아동집단상담의 방법

Ⅴ. 집단상담가(지도자)의 자질
1. 집단지도자의 역할
2. 집단과정 발달단계별 지도자의 역할
3. 집단지도 기술
4. 집단지도자의 사람됨이
  5. 집단원의 역할행동

Ⅵ. 아동 집단 상담 프로그램의 실례

Ⅶ. 집단 상담의 실제.
*부록- 집단상담 실제 부분(기관에서 제공한 자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도자는 응집성을 높인 다음 행동변화를 위한 작업단계로 이끌어야 한다.
(4) 집단상담에서 문제해결은 어떻게 하는가?
집단상담의 궁극적 목적은 참여자의 행동변화를 촉진시키는데 있다. 집단상담의 효과는 참여자의 행동변화에 의하여 측정되어야 한다. 행동변화는 집단 장면에서는 물론이려니와 집단 밖의 일상생활에서도 가시적으로 나타나야 한다. 이렇게 볼 때 작업단계의 주된 과업은 집단원 상호간에 도움을 주고받음으로써 행동변화를 촉진시키는 일이다.
이에 지도자는 참여자들로하여금 각자의 문제를 노출하고 탐색하며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을 통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패턴을 버리고 보다 생산적인 대안행동을 학습하도록 도와야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자기노출과 감정의 정화. 한 집단원이 사적으로 의미 있는 문제를 노출하면, 집단은 공감과 자기노출 기법을 활용하여 그 문제와 관련된 여러 가지 감정적 응어리를 토로하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한 집단원이 아버지와의 관계를 노출하면서 눈물을 머금거나 분노의 모습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지도자는 그로부터 동의를 얻은 다음 그 문제를 보다 깊게 다루어 아버지에 대한 감정이 충분히 표현되어 해소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부정적 감정의 응어리를 정화하는 것은 그 자체로서 치료적이다. 부정적 감정의 해소는 그 사람으로하여금 그만큼 자유를 느끼게 한다. 부정적 감정의 응어리를 지니고 있는 한 자신이나 타인 또는 환경에 대하여 객관적인 지각이나 통찰을 얻을 수 없다.
②비효율적인 행동패턴의 취급. 당면 문제와 관련된 감정의 응어리가 충분히 정화되어 집단원이 심적으로 여유를 가지게 되었으면, 자신의 비효율적인 행동패턴을 탐색-이해-수용하도록 돕는 작업을 시작한다. 예를 들면, 대인관계에서 문제를 지닌 집단원의 경우 상대방이 가지에게 특정반응을 하도록 만든 자신의 자극행동에 관하여 탐색-이해-수용하도록 돕는다. 이를 위해 지도자는 집단으로하여금 그 집단원의 행동패턴에 대하여 솔직한 피드백을 하거나 직면하게 하여 자기탐색-이해-수용하도록 도울 수 있다.
③바람직한 대안행동의 취급. 집단원은 자기의 비효율적인 행동패턴을 깨닫고 인정한 다음에는 바람직한 대안행동을 탐색-선택-학습의 작업에 들어간다. 자기의 비효율적인 행동패턴을 이해하고 수용하게 되었다면, 자연히 그 행동의 대안행동을 찾고자 할 것이다. 이 때 집단은 합심하여 그의 문제해경에 도움될 바람직한 대안행동을 탐색하기 시작한다. 지도자는 브레인스토밍을 활용하여 집단원들로하여금 자유롭게 대안을 제시하고, 다각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을 논의하여 바람직한 대안행동을 선정하도록 돕는다. 대안행동이 선정되었으면, 역할놀이 등으로 반복적인 연습과 효율성 검증을 통해 학습하도록 돕는다.
(5) 집단상담에서 종결은 어떻게 다루는가?
집단원들이 자기의 행동목표들을 성취하거나 대안행동의 학습이 달성되었을 때, 집단은 종결단계에 접어든다. 이 단계에 도달하면 집단원들은 자기노출이 줄어들고 분리의 아쉬움을 경험하게 된다. 이때 지도자는 집단원들로하여금 학습한 결과를 정리하고 이를 실천하겠다는 의지와 희망을 갖는 동시에 집단상담에 대해 긍정적 시각을 가지고 떠나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도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를 다룰 필요가 있다:
①집단 경험의 개관과 요약
②집단원들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사정
③이별감정 및 미진 사항의 취급
④피드백 주고받기
⑤최종 마무리와 작별인사
3. 집단지도 기술
(1) 관심기울이기
화자에게 전적으로 관심을 표명하면서 그가 전하고자하는 메시지에 대하여 경청하는 능력이다. 사람들은 관심을 표명해 줄 때 이야기를 계속할 의욕이 생기고, 그렇지 못할 때는 하고 싶은 말도 하지 못하고 한 인간으로서 무시당하고 있는 느낌을 갖게 된다. 관심기울이기는 특히 집단지도자의 기초적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기술의 중심적 요소는
①말할 때 시선을 부드럽게 마주치는 것,
②몸짓과 표정을 통해 “나는 너의 이야기에 관심이 있어. 나는 주의 깊게 듣고 있고, 또 그 참뜻을 이해하고 싶어”라는 메시지,
③간단한 말이나 동작으로 즉각적 반응(예, 고개 꺼덕이기, 으응, 그래, 느낌 반영 등)을 보이는 것.
(2) 경청하기
경청하기는 말의 내용은 물론 화자의 몸짓 표정 음성에서 이면에 깔려있는 느낌이나 감정을 짐작하는 능력을 내포한다. 지도자는 집단에서 경청하기의 저해요인을 찾아 해소할 수 있어야 한다. 저해요인은
①화자의 말을 경청할 의사가 없는 것,
②화자에게 주의를 집중하기보다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생각하는 것,
③자기의 말이나 행동이 다른 집단원들에게 어떻게 보이는지 지나치게 신경 쓰는 것,
④공감하는 태도 없이 상대의 말을 평가하고 판단하는 것.
(3) 반영하기
집단원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본질을 스스로 볼 수 있게 반사 혹은 반영해 주는 기술이다. 예를 들면, 한 집단원이 “나는 오늘 집단에 오고 싶지 않았다. 지금도 무척 지루하다. 지난 몇 주간 아무런 진전이 없는 것 같다.”라고 말했을 때, “당신은 이 집단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가 없고, 또 기대한 것만큼 얻지 못할 것 같아 그만두고 싶은 느낌이군요?”라고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지도자는 반영의 기술을 통해 집단원으로하여금 말 이면에 숨어 있는 감정이나 느낌을 볼 수 있도록 도전할 수 있다.
(4) 명료화하기
이 기술은 어떤 중요한 문제의 밑바닥에 깔려있는 혼란스럽고 갈등적인 느낌을 가려내어 분명히 해 준다. 예를 들면, 한 집단원이 “나는 아버지가 밉다. 아버지는 너무 내 마음을 상하게 하기 때문에 이제 보기도 싫다. 그러나 나는 이런 느낌일 때 동시에 죄책감을 느낀다. 왜냐하면 나는 아버지를 사랑하고 있으며, 아버지가 나를 좋아하기를 바라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면, 지도자는 “당신은 아버지에 대해 미움과 사랑 두 가지 감정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이런 두 가지 감정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을 적절치 않다고 생각하고 있군요.”라고 명료화시킬 수 있다.
(5) 요약하기
집단이 방향을 잃고 우왕좌왕할 때 지도자는 잠시 집단활동을 중지시키고 집단

추천자료

  • 가격2,900
  • 페이지수78페이지
  • 등록일2007.10.26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37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