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8. DDST의 검사 결과 판독 결과해석에서 비정상발달이나 의심스런 발달에 해당하는 경우는 역 2~3주 후에 다시 검사를 하며, 만약 재검사에서도 여전히 비정상이나 의심스러운 결과 가 나오면, 검사시 어린이의 행위가 보통 때와 같았는가를 의사와 상의해서 발달을 저하시 키는 원인 질병에 대해 정밀검사를 받도록 합니다.(대개 이런 정밀검사는 소아과 전문의 와 상담후 대학병원에서 받는 것이 좋습니다.)
검사 결과 판독
비정상(Abnormal)발달: 검사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는 비정상발달로 해석합니다.
1. 4영역중 2영역에서 2개 이상의 실패항목이 있는 경우
2. 4영역중 1영역에서 2개 이상의 실패항목이 있고, 또 다른 1영역에서 1개의 실패항목이 있으면서 그 영역의 연령 선에 걸쳐진 항목 중에 통과된 항목이 하나도 없는 경우
의심스런(Questionable)발달: 검사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는 일단 발달이 의심스러운 상 태에 있음으로 해석합니다.
1. 4영역중 1영역에서 2개 이상의 실패항목이 있는 경우
2. 4영역중 1개 이상의 영역에서 1개의 실패항목이 있고, 그 영역의 연령 선에 걸쳐진 항목 중에 통과된 항목이 하나도 없는 경우
정상(Normal)발달: 검사결과가 비정상이거나 의심스러운 것이 아닌 경우는 정상 발달로 판정합니다.
개인성. 사회성발달 영역
통과 결정
R 얼굴을 쳐다본다
아기를 똑바로 눕혀 놓고 30cm정도 떨어진 거리에서 아기의 얼굴을 볼 때 아기의 눈이 엄마 얼굴의 움직임을 따라 가면 통과
R 반응으로 웃는다
만지거나 건드리지는 않고 아기에게 웃거나 이야기하고 손을 흔들어서 아기가 따라서 웃으면 통과
R 먼저 웃는다
주위에서 자극이 없이도 아기가 혼자 웃으면 통과
장난감을 뺏으면 저항을 한다
아기에게 장난감을 쥐어주고 잠시 가지고 놀 게 한 후 살며시 뺏으려고 잡아당겨 아기가 뺏기지 않으려고 저항하면 통과
멀리 있는 장난감을 잡으려한다
아기가 장난감을 잡으려고 애쓰는 동작을 보이면 통과. 잡지는 못해도 잡으려고 손을 뻗치거나 몸을 그쪽으로 향하여 움직여도 통과
R 혼자 과자를 먹는다
아기가 과자나 빵을 주면 혼자 먹을 수 있으면 통과
까꿍을 한다
얼굴을 덮을 만한 종이 중앙에 아기를 몰래 쳐다볼 수 있는 구멍을 내고, 아기가 엄마를 보고 있을 때 종이로 얼굴을 가렸다가 \"까-꿍\"을 합니다. 두 번 반복한 다음 종이로 얼굴을 가린 채 종이의 구멍으로 아기의 행동을 관찰합니다. 이가가 엄마의 숨은 얼굴을 보려고 숨은 쪽을 살피면 통과
R 낯선 사람에게 부끄럼 탄다
모르는 사람을 처음 보았을 때 얼굴 표정이 굳어지거나 두려워하는 표정, 혹은 행동이 굳어지는 등 부자유스러워하면 통과
R 짝자궁을 한다
\"짝짜궁\"이나 \"빠이빠이\"를 아기에게 해보라 했을 때 혼자 하면 통과. 그 자리에서 직접 하는 방법을 부모가 흉내내주면 안됩니다.
R 공놀이를 한다
엄마가 아기에게 공을 굴려 보내고 엄마에게 도로 공을 굴려 보내라고 하거나 다시 달라고 했을 때 아기가 공을 다시 굴리거나 던져 주면 통과(손에 쥐어 주는 것은 실패)
R 원하는 것을 가르킨다
아기가 원하는 것을 울지 않고 손으로 가르키거나 잡아당기고 말로 표현하면 통과
R 컵으로 마신다
컵이나 그릇의 물을 많이 흘리지 않고 마실 수 있으면 통과
R 집안일을 흉내낸다
걸레질, 비질 등 어떤 집안 일이든 따라하면 통과
R 숟가락질을 한다
음식을 먹을 때 많이 흘리지 않고 숟가락이나 포크를 사용하여 먹으면 통과
R 옷을 벗는다
모자나 기저귀를 제외한 양말, 구두, 내의, 저고리 등의 겉옷을 혼자 벗으면 통과
R 손을 씻고 수건에 닦는다
세수물을 떠주는 것은 관계 없이 손에 비누가 없이 깨끗이 씻고 수건에 닦을 수 있으면 통과
R 놀이를 한다(술래잡기)
숨바꼭질, 술래잡기, 순경놀이 등을 하면 통과, 싸움을 하는 것, 다른 아이들이 놀고 있는 곳에서 혼자 소꼽놀이를 하는 것은 실패
R 옷을 입는다
자기 내의, 양말, 운동화, 구두 등을 혼자 입으면 통과, 운동화의 끈을 못 매고 짝이 틀리게 신어도 통과, 하지만 어른 옷을 입어 보는 것은 안 된다.
R 단추를 끼운다
옷을 입고 단추를 채울 수 있으면 통과(꼭 제구멍에 맞게 채우지 않아도 됩니다.
R 옷을 입는다(말로도)
옷을 입을 때 어느 정도의 도움이 필요한지를 보는 검사항목입니다. 혼자 옷을 입고 벗을 수 있으며 옷의 앞뒤를 알고 단추를 채우는데 도움이 필요 없으면 통과, 구두나 운동화의 끈을 매거나 단추를 제구멍에 안 끼워도 됩니다. 부모가 말로 도와 주는 것도 무방합니다. 단추를 못 채우면 실패.
구두끈 매는 것과 등쪽의 단추 채우는 것은 제외
R 혼자 옷을 입는다
아무 도움 없이 혼자서 옷을 전부 정확히 입으면 통과. 구두끈을 못 매는 것은 관계없고 여자아이의 옷뒤의 지퍼나 단추는 못 채워도 됩니다.
R 엄마에게서 쉽게 떨어진다
아이 앞에서 부모와 함께 이야기했던 사람이 부모가 다른 곳에 가 있는 동안 아이와 같이 있자고 했을 때 어린이의 변화를 볼 수 없고 그 사람이 함께 가자고 했을 때 따라가면 통과
(R 표시: 부모는 자녀가 전에 할 수 있었으면 검사를 하지 않고 합격시킬 수 있다는 표시입니다.)
미세운동. 적응발달 영역
통과 결정
정중선까지 쫓아본다
아기를 똑바로 눕힌 후 얼굴에서 15cm에서 떨어진 거리에서 빨간 털실뭉치를 잘 볼 수 있도록 흔들어 보인 후 털실뭉치를 천천히 아기의 정면을 지나 오른쪽이나 왼쪽 한쪽 끝으로 반원을 그리며 움직입니다. 아기의 눈이 털실뭉치를 따라가는지를 관찰하여 잘 보지 못하면 아기의 주의를 끌기 위해 털실뭉치 움직이는 것을 잠시 멈추었다가 다시 반원을 그려도 됩니다. 3번 반복하면서 아기의 머리와 눈의 움직임을 살펴봅니다. 이때 아기의 눈이 털실뭉치를 따라 반원의 가운데 지점(90 °)까지 따라가거나 눈과 머리가 털실뭉치를 따라가면서 움직이면 통과. 아기가 털실을 보고 있는 것은 확실한데 움직이는 대로 따라가지 않으면 실패
양쪽 팔다리를 모두 움직인다
아기의 팔과 다리가 양측 성으로 같이 움직이면 통과. 한쪽 다리나 팔이 반대쪽과 같이 움직이지 않으면 실패
정중선을 지나서 쫓아본다
정중선까지
8. DDST의 검사 결과 판독 결과해석에서 비정상발달이나 의심스런 발달에 해당하는 경우는 역 2~3주 후에 다시 검사를 하며, 만약 재검사에서도 여전히 비정상이나 의심스러운 결과 가 나오면, 검사시 어린이의 행위가 보통 때와 같았는가를 의사와 상의해서 발달을 저하시 키는 원인 질병에 대해 정밀검사를 받도록 합니다.(대개 이런 정밀검사는 소아과 전문의 와 상담후 대학병원에서 받는 것이 좋습니다.)
검사 결과 판독
비정상(Abnormal)발달: 검사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는 비정상발달로 해석합니다.
1. 4영역중 2영역에서 2개 이상의 실패항목이 있는 경우
2. 4영역중 1영역에서 2개 이상의 실패항목이 있고, 또 다른 1영역에서 1개의 실패항목이 있으면서 그 영역의 연령 선에 걸쳐진 항목 중에 통과된 항목이 하나도 없는 경우
의심스런(Questionable)발달: 검사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는 일단 발달이 의심스러운 상 태에 있음으로 해석합니다.
1. 4영역중 1영역에서 2개 이상의 실패항목이 있는 경우
2. 4영역중 1개 이상의 영역에서 1개의 실패항목이 있고, 그 영역의 연령 선에 걸쳐진 항목 중에 통과된 항목이 하나도 없는 경우
정상(Normal)발달: 검사결과가 비정상이거나 의심스러운 것이 아닌 경우는 정상 발달로 판정합니다.
개인성. 사회성발달 영역
통과 결정
R 얼굴을 쳐다본다
아기를 똑바로 눕혀 놓고 30cm정도 떨어진 거리에서 아기의 얼굴을 볼 때 아기의 눈이 엄마 얼굴의 움직임을 따라 가면 통과
R 반응으로 웃는다
만지거나 건드리지는 않고 아기에게 웃거나 이야기하고 손을 흔들어서 아기가 따라서 웃으면 통과
R 먼저 웃는다
주위에서 자극이 없이도 아기가 혼자 웃으면 통과
장난감을 뺏으면 저항을 한다
아기에게 장난감을 쥐어주고 잠시 가지고 놀 게 한 후 살며시 뺏으려고 잡아당겨 아기가 뺏기지 않으려고 저항하면 통과
멀리 있는 장난감을 잡으려한다
아기가 장난감을 잡으려고 애쓰는 동작을 보이면 통과. 잡지는 못해도 잡으려고 손을 뻗치거나 몸을 그쪽으로 향하여 움직여도 통과
R 혼자 과자를 먹는다
아기가 과자나 빵을 주면 혼자 먹을 수 있으면 통과
까꿍을 한다
얼굴을 덮을 만한 종이 중앙에 아기를 몰래 쳐다볼 수 있는 구멍을 내고, 아기가 엄마를 보고 있을 때 종이로 얼굴을 가렸다가 \"까-꿍\"을 합니다. 두 번 반복한 다음 종이로 얼굴을 가린 채 종이의 구멍으로 아기의 행동을 관찰합니다. 이가가 엄마의 숨은 얼굴을 보려고 숨은 쪽을 살피면 통과
R 낯선 사람에게 부끄럼 탄다
모르는 사람을 처음 보았을 때 얼굴 표정이 굳어지거나 두려워하는 표정, 혹은 행동이 굳어지는 등 부자유스러워하면 통과
R 짝자궁을 한다
\"짝짜궁\"이나 \"빠이빠이\"를 아기에게 해보라 했을 때 혼자 하면 통과. 그 자리에서 직접 하는 방법을 부모가 흉내내주면 안됩니다.
R 공놀이를 한다
엄마가 아기에게 공을 굴려 보내고 엄마에게 도로 공을 굴려 보내라고 하거나 다시 달라고 했을 때 아기가 공을 다시 굴리거나 던져 주면 통과(손에 쥐어 주는 것은 실패)
R 원하는 것을 가르킨다
아기가 원하는 것을 울지 않고 손으로 가르키거나 잡아당기고 말로 표현하면 통과
R 컵으로 마신다
컵이나 그릇의 물을 많이 흘리지 않고 마실 수 있으면 통과
R 집안일을 흉내낸다
걸레질, 비질 등 어떤 집안 일이든 따라하면 통과
R 숟가락질을 한다
음식을 먹을 때 많이 흘리지 않고 숟가락이나 포크를 사용하여 먹으면 통과
R 옷을 벗는다
모자나 기저귀를 제외한 양말, 구두, 내의, 저고리 등의 겉옷을 혼자 벗으면 통과
R 손을 씻고 수건에 닦는다
세수물을 떠주는 것은 관계 없이 손에 비누가 없이 깨끗이 씻고 수건에 닦을 수 있으면 통과
R 놀이를 한다(술래잡기)
숨바꼭질, 술래잡기, 순경놀이 등을 하면 통과, 싸움을 하는 것, 다른 아이들이 놀고 있는 곳에서 혼자 소꼽놀이를 하는 것은 실패
R 옷을 입는다
자기 내의, 양말, 운동화, 구두 등을 혼자 입으면 통과, 운동화의 끈을 못 매고 짝이 틀리게 신어도 통과, 하지만 어른 옷을 입어 보는 것은 안 된다.
R 단추를 끼운다
옷을 입고 단추를 채울 수 있으면 통과(꼭 제구멍에 맞게 채우지 않아도 됩니다.
R 옷을 입는다(말로도)
옷을 입을 때 어느 정도의 도움이 필요한지를 보는 검사항목입니다. 혼자 옷을 입고 벗을 수 있으며 옷의 앞뒤를 알고 단추를 채우는데 도움이 필요 없으면 통과, 구두나 운동화의 끈을 매거나 단추를 제구멍에 안 끼워도 됩니다. 부모가 말로 도와 주는 것도 무방합니다. 단추를 못 채우면 실패.
구두끈 매는 것과 등쪽의 단추 채우는 것은 제외
R 혼자 옷을 입는다
아무 도움 없이 혼자서 옷을 전부 정확히 입으면 통과. 구두끈을 못 매는 것은 관계없고 여자아이의 옷뒤의 지퍼나 단추는 못 채워도 됩니다.
R 엄마에게서 쉽게 떨어진다
아이 앞에서 부모와 함께 이야기했던 사람이 부모가 다른 곳에 가 있는 동안 아이와 같이 있자고 했을 때 어린이의 변화를 볼 수 없고 그 사람이 함께 가자고 했을 때 따라가면 통과
(R 표시: 부모는 자녀가 전에 할 수 있었으면 검사를 하지 않고 합격시킬 수 있다는 표시입니다.)
미세운동. 적응발달 영역
통과 결정
정중선까지 쫓아본다
아기를 똑바로 눕힌 후 얼굴에서 15cm에서 떨어진 거리에서 빨간 털실뭉치를 잘 볼 수 있도록 흔들어 보인 후 털실뭉치를 천천히 아기의 정면을 지나 오른쪽이나 왼쪽 한쪽 끝으로 반원을 그리며 움직입니다. 아기의 눈이 털실뭉치를 따라가는지를 관찰하여 잘 보지 못하면 아기의 주의를 끌기 위해 털실뭉치 움직이는 것을 잠시 멈추었다가 다시 반원을 그려도 됩니다. 3번 반복하면서 아기의 머리와 눈의 움직임을 살펴봅니다. 이때 아기의 눈이 털실뭉치를 따라 반원의 가운데 지점(90 °)까지 따라가거나 눈과 머리가 털실뭉치를 따라가면서 움직이면 통과. 아기가 털실을 보고 있는 것은 확실한데 움직이는 대로 따라가지 않으면 실패
양쪽 팔다리를 모두 움직인다
아기의 팔과 다리가 양측 성으로 같이 움직이면 통과. 한쪽 다리나 팔이 반대쪽과 같이 움직이지 않으면 실패
정중선을 지나서 쫓아본다
정중선까지
추천자료
세기관지염 broncholitis 케이스(아동간호학)
기관지염 열성경련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영아의 건강문제 (아동간호학)
창신-아동간호학-아동정신건강의 개념 및 미치는 요인(리포트)
[09-1_정규]_아동간호학_기말고사_예상문제
[아동간호학] 뇌수막염 (Meningitis)
[아동간호학] 폐렴 간호과정 (Pneumonia case study)
아동간호학 - 아동 심장 질환에 관해서[선천성 심질환, 후천성 심질환]
아동간호학 실습 과제 02 (신생아·아동의 심폐소생술, 아동의 활력징후 측정, 아동의 경구투...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뇌성마비(cerebral palsy) 아동의 특징과 관리(뇌성마비 아동의 정...
아동간호학- 발달장애(자폐증) 아동에 대한 교육 및 진로 ( 자폐의 개념 및 증상, 자폐증 아...
<아동간호학>아동학대 레포트
아동간호학 실습 - 아동 약물 계산법
아동간호학) 학령전기아동의 성장발달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