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헌고찰
간호과정
간호과정
본문내용
이 울렁거리기도 한다. 종종 전간발작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치료는 수술을 통해 종양을 제거하며, 재발한 경우에는 방사선요법을 함께 시행한다.
역행성 성상세포종은 양성 성상세포종과 다형성 아교모세포종의 중간단계의 악성 종양으로 성인의 경우에는 대뇌반구,소아의 경우에는 뇌간에 가장 많이 나타난다. 수술로써 치료하며, 수술 후 생존기간은 18~24개월 정도이다. 수술 외에도 방사선요법과 항암화학요법을 병행한다.
다형성 아교모세포종은 매우 빨리 자라서 주위 뇌조직으로 빠르게 전이된다. 증세는 일반 뇌종양과 비슷하여 두통,구토, 신경학적 이상, 발작, 인지기능장애, 기억력장애, 언어장애등이 나타난다. 치료는 수술, 방사선요법. 화학요법 등을 복합적으로 시행한다. 평균 생존기간은 1년 정도이다.
㉡ 상의세포종 - 일반적으로 성인층에서는 드물며 어린시절에 호발한다.
㉢ 회돌기교종 - 전체 뇌종양의 5%를 차지하며 성인에게 흔히 발생한다
㉣ 수모세포종 - 예전부터 잘 알려진 소아의 종양으로 거의 예외없이 어린이의 소 뇌에서 발생한다.(악성종양)
② 수막종
뇌조직 자체에서 생기는 종양은 아니지만 한정된 두 개강 내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숙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뇌종양과 큰 차이가 없으며 발생빈도가 비교적 높다.
대부분의 수막종은 양성이지만, 주위의 뇌조직 속으로의 광범위한 침윤성 성장, 종양세포의 다형성이나 유사 분열상 등의 현저한 증가, 뇌척수약 파종, 기타 장기로의 전이 등을 일으키는 악성수막종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는 대단히 악성도가 높다.
③ Developmental tumors
㉠ hemangioblatoma
현기증, 일측성 운동실조증, 뇌압 상승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수술로 완전제거가 가능.
㉡ Craniophynioma
태생기 Rathke\'s pouch에서 발생하는 하수체 전엽의 형성과정 중 남아있던 조 직에서 sphenoid-approach를 시행하며 수술후 RT를 시행하는데 완전히 제거 되지 않을경우에는 대부분 재발된다.
㉢ Epidermoid & DERmoid cyst
선천적이고 두개골이나 뇌에 위치하며 수술로 완전제거 가능하다
④ 뇌하수체선종
뇌하수체 전엽에서 주로 발생하여 위로 커져 주위 조직(특히 시신경 교차)을 압박하여 증상을 일으키거나 종양 세포 자체의 기능항진으로 각종 내분비 기능항진, 혹은 파괴 현상을 나타낸다. 증상은 시력감퇴, 안근 쇠약, 전두엽 두통등 이 있다.
(3) 임상증상
- 종양세포의 종류, 성장속도, 부위뿐만 아니라 뇌압상승에 따른 반응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임상증상의 발생기전 : 두 개강 내압 상승 증상 , 뇌의 자극 증상 , 국소 마비 증상, 뇌실질의 전위)
뇌종양시 두개내압상승의 원인은 뇌종양 자체의 용적, 뇌종양에 합병된 뇌부종, 뇌척수액의 통과장애 , 뇌에서 유출하는 정맥계의 차단 ,수액의 흡수 기전의 폐쇄등이 있다.
① 전반적인 증상
: 부종과 ICP상승으로 인한 뇌기능의 변화에 의해 두통, 구토, 유두부종이 나타난다.
♠ 두통-간헐적으로 발생하며, 통증기간이 증가되고, 자세의 변화나 긴장에 의해 강도가 증가한다. 심한 두통의 발생 또는 아침두통의 재발은 두 개내 종양을 의미할수 있으므로 자세한 사정이 요구된다.
♠ 오심과 구토- 연수의 구토중추에 의해 초래되며 종양이 진행된 후에 나타난다. 구토는 음식물의 섭취와는 관계가 없으며 오심은 심할 수 있다.
♠ 유두부종- 시신경은 종양에 의해 압박되거나 일차부위의 종양으로 영향을 받는다. 유두부종의 병리적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고 있으나 정맥귀환의 폐쇄로 인한 중심정맥귀환의 폐쇄로 인한 중심정맥내압의 상승으로 인하여 초래된다. 초기의 유두부종은 시력을 변화시키지 않으나 지속적인 유두부종은 시신경의 위축으로 인하여 시력상실을 초래한다.
♠ 발작- 대뇌반구의 종양을 가진 환자에게서 발작은 국소적이거나 전신적으로 나타난다. 발작은 때로는 명백한 원인이 없는 환자에게서 두 개내 종양의 첫 징후로서 확인되기도 한다.
♠ 현기증과 현훈- 두 개내 순환의 손상과 뇌신경의 압박에 의해 초래된다.
♠ 정신상태의 변화 - 두 개내 종양은 기면, 졸음, 혼돈, 지남력 상실, 인성의 변화와 같은 정신 및 정서적 상태의 변화를 초래한다.
② 국소적 증상
: 두 개내 종양에 의해 압박되거나 침윤되는 부위의 기능장애가 나타난다.
♠ 운동장애(조정력장애)
Paracentral lobe 침범시 : 요실금을 보여 척수 병변을 의심하게 한다
소뇌 종양 : 근육의 긴장도 감소, 협동 운동 실조증
♠ Ataxia : 대개 소뇌의 기능 부전으로 초래된다
소뇌 중부(Vermis) : 체간 실조증 - truncal ataxia
소뇌 반구 : 상지의 운동 실조증
♠ 실어증, 실행증, 실인증
♠ Diabetes Insipidus & abnormal growth
♠ 뇌신경 마비
두 개강내 종양 환자의 약 20%가 외안근의 마비, 75%가 제6뇌신경의 마비, 20%가 제 3뇌신경 마비, 5%가 제4신경 마비이다.
③ 종양부위에 따른 임상증상
전두엽
- 인격장애(미묘한 정도에서 명백한 정신행동변화)
부적절한 감정
운동기능 이상
실어증(운동성)
경련
후두엽
- 시각장애, 두통, 경련
측두엽
- 환각(후각, 시각 또는 미각), 복합부분발작, 실어증(감각성)
두정엽
- 좌.우 판별감의 상실, 경련, 지각이상, 감각.인지결손
(4) 진단검사
신체검진으로 두 개내 종양이 의심되면 CT, MRI, X선 활영과 같은 비침습서어 검사로 환인한다. EEG , 방사선 동위원소검사, 혈관조영술, 요추천자에 의해 다른질병과 감별진단한다.
① CT
: 병변의 밀도, 크기, 수량 그리고 2차적인 뇌부종의 범위등을 알 수 있다. 또한 뇌실에 관한 정보도 제공된다.
② MRI
작은 병변도 찾아낼 수 있으며 특히 CT촬영에서 뼈에 의해 가려지는 부위인 뇌간과 뇌하수체의 종양을 찾아내는데 도움을 준다.
③ 생검
: 컴퓨터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며 입체적(3차원적인) 생검을 실시하므로써 깊게 자리잡은 뇌종양의 진단에 유용하며, 치료방법과 예후에 대한 근거를 제공한다ㅣ.
④ 뇌혈관조영술
: 뇌혈관을 관찰하여 대부
역행성 성상세포종은 양성 성상세포종과 다형성 아교모세포종의 중간단계의 악성 종양으로 성인의 경우에는 대뇌반구,소아의 경우에는 뇌간에 가장 많이 나타난다. 수술로써 치료하며, 수술 후 생존기간은 18~24개월 정도이다. 수술 외에도 방사선요법과 항암화학요법을 병행한다.
다형성 아교모세포종은 매우 빨리 자라서 주위 뇌조직으로 빠르게 전이된다. 증세는 일반 뇌종양과 비슷하여 두통,구토, 신경학적 이상, 발작, 인지기능장애, 기억력장애, 언어장애등이 나타난다. 치료는 수술, 방사선요법. 화학요법 등을 복합적으로 시행한다. 평균 생존기간은 1년 정도이다.
㉡ 상의세포종 - 일반적으로 성인층에서는 드물며 어린시절에 호발한다.
㉢ 회돌기교종 - 전체 뇌종양의 5%를 차지하며 성인에게 흔히 발생한다
㉣ 수모세포종 - 예전부터 잘 알려진 소아의 종양으로 거의 예외없이 어린이의 소 뇌에서 발생한다.(악성종양)
② 수막종
뇌조직 자체에서 생기는 종양은 아니지만 한정된 두 개강 내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숙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뇌종양과 큰 차이가 없으며 발생빈도가 비교적 높다.
대부분의 수막종은 양성이지만, 주위의 뇌조직 속으로의 광범위한 침윤성 성장, 종양세포의 다형성이나 유사 분열상 등의 현저한 증가, 뇌척수약 파종, 기타 장기로의 전이 등을 일으키는 악성수막종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는 대단히 악성도가 높다.
③ Developmental tumors
㉠ hemangioblatoma
현기증, 일측성 운동실조증, 뇌압 상승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수술로 완전제거가 가능.
㉡ Craniophynioma
태생기 Rathke\'s pouch에서 발생하는 하수체 전엽의 형성과정 중 남아있던 조 직에서 sphenoid-approach를 시행하며 수술후 RT를 시행하는데 완전히 제거 되지 않을경우에는 대부분 재발된다.
㉢ Epidermoid & DERmoid cyst
선천적이고 두개골이나 뇌에 위치하며 수술로 완전제거 가능하다
④ 뇌하수체선종
뇌하수체 전엽에서 주로 발생하여 위로 커져 주위 조직(특히 시신경 교차)을 압박하여 증상을 일으키거나 종양 세포 자체의 기능항진으로 각종 내분비 기능항진, 혹은 파괴 현상을 나타낸다. 증상은 시력감퇴, 안근 쇠약, 전두엽 두통등 이 있다.
(3) 임상증상
- 종양세포의 종류, 성장속도, 부위뿐만 아니라 뇌압상승에 따른 반응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임상증상의 발생기전 : 두 개강 내압 상승 증상 , 뇌의 자극 증상 , 국소 마비 증상, 뇌실질의 전위)
뇌종양시 두개내압상승의 원인은 뇌종양 자체의 용적, 뇌종양에 합병된 뇌부종, 뇌척수액의 통과장애 , 뇌에서 유출하는 정맥계의 차단 ,수액의 흡수 기전의 폐쇄등이 있다.
① 전반적인 증상
: 부종과 ICP상승으로 인한 뇌기능의 변화에 의해 두통, 구토, 유두부종이 나타난다.
♠ 두통-간헐적으로 발생하며, 통증기간이 증가되고, 자세의 변화나 긴장에 의해 강도가 증가한다. 심한 두통의 발생 또는 아침두통의 재발은 두 개내 종양을 의미할수 있으므로 자세한 사정이 요구된다.
♠ 오심과 구토- 연수의 구토중추에 의해 초래되며 종양이 진행된 후에 나타난다. 구토는 음식물의 섭취와는 관계가 없으며 오심은 심할 수 있다.
♠ 유두부종- 시신경은 종양에 의해 압박되거나 일차부위의 종양으로 영향을 받는다. 유두부종의 병리적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고 있으나 정맥귀환의 폐쇄로 인한 중심정맥귀환의 폐쇄로 인한 중심정맥내압의 상승으로 인하여 초래된다. 초기의 유두부종은 시력을 변화시키지 않으나 지속적인 유두부종은 시신경의 위축으로 인하여 시력상실을 초래한다.
♠ 발작- 대뇌반구의 종양을 가진 환자에게서 발작은 국소적이거나 전신적으로 나타난다. 발작은 때로는 명백한 원인이 없는 환자에게서 두 개내 종양의 첫 징후로서 확인되기도 한다.
♠ 현기증과 현훈- 두 개내 순환의 손상과 뇌신경의 압박에 의해 초래된다.
♠ 정신상태의 변화 - 두 개내 종양은 기면, 졸음, 혼돈, 지남력 상실, 인성의 변화와 같은 정신 및 정서적 상태의 변화를 초래한다.
② 국소적 증상
: 두 개내 종양에 의해 압박되거나 침윤되는 부위의 기능장애가 나타난다.
♠ 운동장애(조정력장애)
Paracentral lobe 침범시 : 요실금을 보여 척수 병변을 의심하게 한다
소뇌 종양 : 근육의 긴장도 감소, 협동 운동 실조증
♠ Ataxia : 대개 소뇌의 기능 부전으로 초래된다
소뇌 중부(Vermis) : 체간 실조증 - truncal ataxia
소뇌 반구 : 상지의 운동 실조증
♠ 실어증, 실행증, 실인증
♠ Diabetes Insipidus & abnormal growth
♠ 뇌신경 마비
두 개강내 종양 환자의 약 20%가 외안근의 마비, 75%가 제6뇌신경의 마비, 20%가 제 3뇌신경 마비, 5%가 제4신경 마비이다.
③ 종양부위에 따른 임상증상
전두엽
- 인격장애(미묘한 정도에서 명백한 정신행동변화)
부적절한 감정
운동기능 이상
실어증(운동성)
경련
후두엽
- 시각장애, 두통, 경련
측두엽
- 환각(후각, 시각 또는 미각), 복합부분발작, 실어증(감각성)
두정엽
- 좌.우 판별감의 상실, 경련, 지각이상, 감각.인지결손
(4) 진단검사
신체검진으로 두 개내 종양이 의심되면 CT, MRI, X선 활영과 같은 비침습서어 검사로 환인한다. EEG , 방사선 동위원소검사, 혈관조영술, 요추천자에 의해 다른질병과 감별진단한다.
① CT
: 병변의 밀도, 크기, 수량 그리고 2차적인 뇌부종의 범위등을 알 수 있다. 또한 뇌실에 관한 정보도 제공된다.
② MRI
작은 병변도 찾아낼 수 있으며 특히 CT촬영에서 뼈에 의해 가려지는 부위인 뇌간과 뇌하수체의 종양을 찾아내는데 도움을 준다.
③ 생검
: 컴퓨터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며 입체적(3차원적인) 생검을 실시하므로써 깊게 자리잡은 뇌종양의 진단에 유용하며, 치료방법과 예후에 대한 근거를 제공한다ㅣ.
④ 뇌혈관조영술
: 뇌혈관을 관찰하여 대부
추천자료
뇌경색의 케이스자료
성인간호학 뇌경색 케이스
뇌수종(Hydrocephalus)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간호력/문헌고찰/뇌출혈
<케이스> 골종양과 관련된 사례연구
<케이스> 뇌출혈과 관련된 사례연구 간호과정
[신경계질환]신경계 질환과 간호방법(고체온증,두통,신경성쇼크,감염성질환,말초신경장애,뇌...
성인 수술실 케이스,Aneurysm, 뇌동맥류 클리핑
혈액 종양 케이스 스터디
[간호 케이스] 뇌동맥류,고관절탈구,Cerebral infaction,hip dislocation,HTN,THR 케이스
[성인간호학][Cerebral infarction][뇌경색]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뇌경색(腦梗塞 / cerebral infarct)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신경과,신경외과]
전립선 암(Prostate Cancer)에 대한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입니다 - 의학적진단명 : M...
성인간호학 케이스. A+, 간호진단 4개, Cerebral infarction(뇌경색) 후회없으실겁니다.
뇌출혈, ICH, Intracranial, hemorrhage, 간호과정,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SOAPIE,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