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er\'s 자세에서 high Fowler\'s 자세를 환아에게 적용한다.
①환아가 호흡에 용이한 자세를 부모에게 교육
3.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한다.
①손바닥을 컵모양으로 하거나 컵에 거즈를 대서 타진
4.소량씩, 자주 식사를 제공한다.
5.분비물의 액화를 위해 Nebu lizer를 사용한다.
①Nebulizer 사용법을 부모에게 교육
6.빈호흡이 있을때는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구강으로 아무것도 주지 않는다.
7.비강점막의 건조를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습기를 제공한다.
8.배양과 민감도 검사를 위한 객담을 수집한다.
1.활력증후와 호흡상태의 빈번한 사정은 대상환아의 상태가 향상이 되고 있는지 악화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2.upright 자세는 호흡을 용이하게 하고 횡격막 압력의 경감에 의해서 최적의 폐 확장을 증진시킨다.
3.흉부물리요법은 분비물의 유동성을 도와주고 가래를 뱉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4.먹는 것은 에너지 소리를 요구한다. 소량씩, 자주 식사를 제공하는 것은 호흡기능과 영양섭취를 방해하는 것 등의 과로를 예방한다.
5.점막을 습하게 하고 분비물을 묽게 하여 분비물이 점막에 덜 달라붙게 한다.
8.원인이 되는 병원체와 여러가지 항생제에 대한 민감성을 확인한다.
1,2,3,5,6,7-직접시행
4-부모시행
8-의료진 시행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다소 감소된 양상을 보였으나 특별히 Lab 검사치에는 변화없었다. 목표는 성취되지 않았고 중재는 수정이 필요하다.
#3. 진단명 ; 구토증상과 관련된 신체요구량보다 부족한 영양섭취로 인한 성장발달 장애
자 료
(주관적/객관적
자료/관련자료)
목표 및 평가기준
goal/outcome
criteria
간 호 계 획
Nursing
care plan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주관적자료
“3개월이 넘으면 다른 아이들은 7~8kg이라는데 수민이는 5.5kg밖에 안되요. 먹는 것 다 토해내서 몸무게도 늘지 않고 벌써 2주째 체중이 비슷해요”
-객관적자료
①대상환아의 체중은 소아발육 표준치인 6.81kg에 미달하고 성장발육곡선에서 체중이 3 percentile에 간신히 들고, 키는 10 percent ile에 해당되며 정상성장곡선을 그리고 있으나 위험한 상태이다.
②우유를 먹고 난후 절반 이상을 투사성 구토를 한다.
③하루에 8회 이상 구토한다.
<단기목표>
수유하는 자세를 정확하게 익히고 구토증상이 7회미만으로 줄어든다.
<장기목표> 영아의 체중은 그 연령에 알맞다. 피부탄력성은 양호함. 섭취와 배설량은 정상범위안에 있다. 구토증상이 감소한다. 기술적인 수유방법과 구토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아동은 충분한 영양섭취를 하게될 것이다.
1.아동을 똑바로 세운 상태에서 수유를 하되 매번 15~30 cc까지 먹인후에 트림시킨다.
①부모에게 수유법을 교육
2.2~3시간마다 소량으로 자주 수유시킨다.
①부모에게 어느정도의 양을 섞어야 되는지 확인시킴
3.진단내리는 과정 동안 수분 및 전해질 용액을 준다.
①처방된 용액을 정맥으로 투여
4.소변 배출량의 감소, 건조한 피부, 피부탄력의 감소, 함몰된 천문과 눈을 포함하여 탈수가 악화되었는지 아동의 증상을 평가한다.
①I/O 정확히 기록
②피부온도 및 피부색을 사정
③탈수 증상에 대해 사정
④처방된 액체를 정맥과 구강으로 투여
5.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6.수유한 다음에는 아동을 똑바로 일으켜 세운 자세를 취한다.
①수유후 아동은 누이거나 또는 침대에 치료적 자세로 고정 시켜놓음
1.이런 방법으로 아동을 먹이고 트림하는 것은 위내 공기흡입을 방지해주며 최적의 수유보존을 가능하게 한다.
2.소량씩 자주 먹이는 것이 위의 팽창을 감소시켜 주어 구토 위험을 줄여주며, 치료가 시행될때까지 최적의 수화작용을 제공해준다.
3.전해질 용액은 구토로 인한 alkalosis, 저칼륨혈증, 저염소혈증을 통해 상실된 전해질을 보충해준다.
4.의사는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을 막기위해 비경구 수액요법을 지시할 수 있다.
5.체중은 전반적인 수분상태의 정확한 척도가 된다.
1,2,5,6-직접수행
3,4- 의료진 수행
단기목표는 성취 되었고 장기목표는 좀더 지켜봐야한다.
#4. 진단명 ; 질병과 검사 및 치료의 이해부족과 의료진 불신으로 인한 부모 불안
자 료
(주관적/객관적
자료/관련자료)
목표 및 평가기준
goal/outcome
criteria
간 호 계 획
Nursing
care plan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주관적자료
① “치료가 제대로 되고 있는지 모르겠어요. 심각한 건 아닌 것 같은데... 이 병원에 이번으로 3번째 입원인데, 수민이가 전혀 나아지지 않아요. 병원을 옮겨야 겠어요.”
② “계속 왜 검사만 하는지 모르겠어요. 오래전 병에 걸렸는데 왜 아직도 아기나 나아지지 않는 거죠? 아이가 낫을 수 있게 치료도 제대로 해주지도 않고 계속 수민이만 아프게 하네요.”
-객관적자료
아기 곁에서 수발드는 사람은 어머니였고, 의사회진때마다 회의적인 태도로 아기만 안고있음. 전반적으로 질문이나 사람이 옆에 있는 것에 대해서 귀찮아하는 모습 보임. 다른 병원을 알아보고 있고, 퇴원준비중임, 얼굴표정은 어둡고, 옷차림은 단정치 못함.
<단기목표>
질병에 관한 내용과 검사와 치료의 진행상황을 안다. 질병, 치료법과 예후를 이해하고 있음을 표현한다.
<장기목표>
의료진에게 신뢰감을 보이고, 진단상의 검사 및 치료에 대해 이해를 함으로써 낮은 정도의 불안 수준에 있으며 불안에 대한 현재의 느낌을 말로 표현하며 감정을 자유롭고 적절하게 표현하고, 의문이 있을 때 질문하여 정확히 이해한다.
1.정상적인 상부소화기계의 구조 및 생리 현상과 음식경로 과정에 대해 부모에게 설명한다.
2.진단을 위한 검사 계획을 부모에게 설명한다.
3.검사전의 절차 및 검사후 관리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4.아동을 간호하는 일에 대해 생기는 의문점이 있으면 부모의 질문에 간단하고 솔직하게 대답해준다.
①어려운 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실수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 시킴
②조용하고 편안한 목소리로 간단명료하고 직접적으로 말함
5.불안의 원인과 그내면의 느낌을 인식함으로써 독립적으로 불안에 대처하게 도와준다.
①적절한 정보제공②리듬에
①환아가 호흡에 용이한 자세를 부모에게 교육
3.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한다.
①손바닥을 컵모양으로 하거나 컵에 거즈를 대서 타진
4.소량씩, 자주 식사를 제공한다.
5.분비물의 액화를 위해 Nebu lizer를 사용한다.
①Nebulizer 사용법을 부모에게 교육
6.빈호흡이 있을때는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구강으로 아무것도 주지 않는다.
7.비강점막의 건조를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습기를 제공한다.
8.배양과 민감도 검사를 위한 객담을 수집한다.
1.활력증후와 호흡상태의 빈번한 사정은 대상환아의 상태가 향상이 되고 있는지 악화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2.upright 자세는 호흡을 용이하게 하고 횡격막 압력의 경감에 의해서 최적의 폐 확장을 증진시킨다.
3.흉부물리요법은 분비물의 유동성을 도와주고 가래를 뱉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4.먹는 것은 에너지 소리를 요구한다. 소량씩, 자주 식사를 제공하는 것은 호흡기능과 영양섭취를 방해하는 것 등의 과로를 예방한다.
5.점막을 습하게 하고 분비물을 묽게 하여 분비물이 점막에 덜 달라붙게 한다.
8.원인이 되는 병원체와 여러가지 항생제에 대한 민감성을 확인한다.
1,2,3,5,6,7-직접시행
4-부모시행
8-의료진 시행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다소 감소된 양상을 보였으나 특별히 Lab 검사치에는 변화없었다. 목표는 성취되지 않았고 중재는 수정이 필요하다.
#3. 진단명 ; 구토증상과 관련된 신체요구량보다 부족한 영양섭취로 인한 성장발달 장애
자 료
(주관적/객관적
자료/관련자료)
목표 및 평가기준
goal/outcome
criteria
간 호 계 획
Nursing
care plan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주관적자료
“3개월이 넘으면 다른 아이들은 7~8kg이라는데 수민이는 5.5kg밖에 안되요. 먹는 것 다 토해내서 몸무게도 늘지 않고 벌써 2주째 체중이 비슷해요”
-객관적자료
①대상환아의 체중은 소아발육 표준치인 6.81kg에 미달하고 성장발육곡선에서 체중이 3 percentile에 간신히 들고, 키는 10 percent ile에 해당되며 정상성장곡선을 그리고 있으나 위험한 상태이다.
②우유를 먹고 난후 절반 이상을 투사성 구토를 한다.
③하루에 8회 이상 구토한다.
<단기목표>
수유하는 자세를 정확하게 익히고 구토증상이 7회미만으로 줄어든다.
<장기목표> 영아의 체중은 그 연령에 알맞다. 피부탄력성은 양호함. 섭취와 배설량은 정상범위안에 있다. 구토증상이 감소한다. 기술적인 수유방법과 구토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아동은 충분한 영양섭취를 하게될 것이다.
1.아동을 똑바로 세운 상태에서 수유를 하되 매번 15~30 cc까지 먹인후에 트림시킨다.
①부모에게 수유법을 교육
2.2~3시간마다 소량으로 자주 수유시킨다.
①부모에게 어느정도의 양을 섞어야 되는지 확인시킴
3.진단내리는 과정 동안 수분 및 전해질 용액을 준다.
①처방된 용액을 정맥으로 투여
4.소변 배출량의 감소, 건조한 피부, 피부탄력의 감소, 함몰된 천문과 눈을 포함하여 탈수가 악화되었는지 아동의 증상을 평가한다.
①I/O 정확히 기록
②피부온도 및 피부색을 사정
③탈수 증상에 대해 사정
④처방된 액체를 정맥과 구강으로 투여
5.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6.수유한 다음에는 아동을 똑바로 일으켜 세운 자세를 취한다.
①수유후 아동은 누이거나 또는 침대에 치료적 자세로 고정 시켜놓음
1.이런 방법으로 아동을 먹이고 트림하는 것은 위내 공기흡입을 방지해주며 최적의 수유보존을 가능하게 한다.
2.소량씩 자주 먹이는 것이 위의 팽창을 감소시켜 주어 구토 위험을 줄여주며, 치료가 시행될때까지 최적의 수화작용을 제공해준다.
3.전해질 용액은 구토로 인한 alkalosis, 저칼륨혈증, 저염소혈증을 통해 상실된 전해질을 보충해준다.
4.의사는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을 막기위해 비경구 수액요법을 지시할 수 있다.
5.체중은 전반적인 수분상태의 정확한 척도가 된다.
1,2,5,6-직접수행
3,4- 의료진 수행
단기목표는 성취 되었고 장기목표는 좀더 지켜봐야한다.
#4. 진단명 ; 질병과 검사 및 치료의 이해부족과 의료진 불신으로 인한 부모 불안
자 료
(주관적/객관적
자료/관련자료)
목표 및 평가기준
goal/outcome
criteria
간 호 계 획
Nursing
care plan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주관적자료
① “치료가 제대로 되고 있는지 모르겠어요. 심각한 건 아닌 것 같은데... 이 병원에 이번으로 3번째 입원인데, 수민이가 전혀 나아지지 않아요. 병원을 옮겨야 겠어요.”
② “계속 왜 검사만 하는지 모르겠어요. 오래전 병에 걸렸는데 왜 아직도 아기나 나아지지 않는 거죠? 아이가 낫을 수 있게 치료도 제대로 해주지도 않고 계속 수민이만 아프게 하네요.”
-객관적자료
아기 곁에서 수발드는 사람은 어머니였고, 의사회진때마다 회의적인 태도로 아기만 안고있음. 전반적으로 질문이나 사람이 옆에 있는 것에 대해서 귀찮아하는 모습 보임. 다른 병원을 알아보고 있고, 퇴원준비중임, 얼굴표정은 어둡고, 옷차림은 단정치 못함.
<단기목표>
질병에 관한 내용과 검사와 치료의 진행상황을 안다. 질병, 치료법과 예후를 이해하고 있음을 표현한다.
<장기목표>
의료진에게 신뢰감을 보이고, 진단상의 검사 및 치료에 대해 이해를 함으로써 낮은 정도의 불안 수준에 있으며 불안에 대한 현재의 느낌을 말로 표현하며 감정을 자유롭고 적절하게 표현하고, 의문이 있을 때 질문하여 정확히 이해한다.
1.정상적인 상부소화기계의 구조 및 생리 현상과 음식경로 과정에 대해 부모에게 설명한다.
2.진단을 위한 검사 계획을 부모에게 설명한다.
3.검사전의 절차 및 검사후 관리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4.아동을 간호하는 일에 대해 생기는 의문점이 있으면 부모의 질문에 간단하고 솔직하게 대답해준다.
①어려운 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실수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 시킴
②조용하고 편안한 목소리로 간단명료하고 직접적으로 말함
5.불안의 원인과 그내면의 느낌을 인식함으로써 독립적으로 불안에 대처하게 도와준다.
①적절한 정보제공②리듬에
추천자료
식도암케이스스터디
[간호][간호사례][가와사키병 간호 사례][위암 간호 사례][실어증환자 간호][수혈 간호][뇌수...
아동 통증
암환아 간호
간호사 국가고시 총정리 (모든 과목)
내시경검사 간호
[소화기질환, 식도염, 소화성궤양, 간염, 식이섬유, 소화기, 궤양, 병태생리]소화기질환과 식...
[소화기계, 소화기, 소화기관]소화기계(소화기, 소화기관)와 창자, 급성간염, 소화기계(소화...
[성인간호학][Kawasaki][가와사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식도정맥류결찰술(食道靜脈瘤結紮術 EVL)의 적응증과 치료.pptx
복막염, penperitonitis,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SOAPIE, 간호진단, 간호사정,...
[아동] 감염성장애 감염성장애, 결막염,구내염
흡인성 폐렴 케이스 (현병력 뇌출혈) , 흡인성 폐렴 케이스, 폐렴 케이스, 폐렴 간호과정, ...
고위험 신생아와 가족의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