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따돌림 문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집단 따돌림의 특징

Ⅲ. 집단 따돌림이 미치는 영향 및 그 문제점
(1) 등교거부
(2) 신체의 증상
(3) 자살
(4) 비행
(5) 정신병리
(6) 자아정체감 형성에 장애

Ⅳ. 집단 따돌림의 원인
1. 따돌림이 나타나는 심리, 사회적 요인
2. 따돌림의 피해자가 보이는 개인내적 특성
3. 따돌림이 집단화되는 이유

Ⅴ. 해결 방안
1. 개인적인 대응
2. 가정적인 대응
3. 학교에서의 예방적 활동 및 전략
4. 사회에서의 예방적 활동 및 전략

Ⅵ. 결론

Ⅶ. 참고 문헌 및 관련 사이트

본문내용

발하는 자원자를 위주로 택하는 것이 가장 좋다. 각각의 지원자는 몇 명의 신입생에 대한 책임을 진다. 대부분의 위기에 처한 새로운 학생들은 가장 적합한 상급생을 배정받게 된다.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통해 따돌림과 같은 문제들을 상급생들과 소집단으로 이야기할 기회를 제공한다.
- 우정 지원하기 : 우정을 쌓을 수 있는 학생들끼리 서로 연결을 시켜 줌으로써 새로운 친구를 사귈 수 있도록 도와지는 활동이다. 될 수 있는 한 많은 친구들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우정을 키울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마. 학교건물의 건축설계 및 교실 조직
모든 학생들을 효율적으로 관리 감독하려면 학교 건물의 건축 단계에서부터 이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즉 채광이 잘 되는 복도, 많은 창문, 좋은 시야를 제공해 주는 거울이나 유리형의 문 등을 고려해서 학교 건물을 설계해야 한다. 특히 적절한 관리 감독의 비용이 고려되지 않았다면, 설계 단계에서 고립 지역과 부속 건물을 피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또 따돌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교실 조직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예를 들어, 교실 뒤쪽은 교실을 전체적으로 살피기에 용이하다. 따라서 교사의 책상은 교실의 뒤쪽에 놓고 학생들을 관리 감독 하는 것이 좋다. 또, 교사는 학생들의 자리를 지정해줌으로써 자리로 인한 다툼과 분쟁을 막아주고 따돌림 예방에 필요한 자리 배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4. 사회에서의 예방적 활동 및 전략
가. 지방자치단체의 노력
지방자치단체와 행정 주체는 집단 따돌림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학교 정책에 지원을 해 주어야 한다. 이 정책의 효과적인 실행은 좋은 관리 감독에 달려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적 절한 인적 자원과 예산이 필요하다. 관리 감독은 버스 줄을 서는 곳, 버스 안, 건물 외곽, 교실, 기타 고립된 장소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나. 상담기관과 학교와의 연계 강화
청소년 단체나 상담기관과 학교와의 연계가 강화되어야 한다. 학교는 과감히 학교에서 감당하기 어려운 부분들에 대해서는 전문 상담기관이나 청소년 단체 등과 역할을 나누어 교육적 효과를 높여야 할 것이다. 물론 중앙에서부터 지역에 이르기까지 정부의 관계부처 간의 협조와 역할분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체적 협의가 이루어지고 시민단체의 관심 영역으로 확대될 수 있어야 한다.
다. 지역사회의 개입
집단따돌림을 비롯하여 학교폭력 문제를 학부모, 교사는 물론 지역사회 내 경찰, 학교, 구 청, 교육청, 사회복지관 등을 끌어들여 지역사회 지지망을 구축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집단따돌림 및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범시민 운동이 전개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구체적으로는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 학생 구제를 위한 무료 법률 지원, 청소년 폭력 및 집단 따돌림 상담기관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폭력 청소년을 제도적으로 선도하기 위해 현행교육환경의 대폭적인 개선 등이 있다.
Ⅵ. 결론
왕따가 사회적 이슈화되고 그 뒤에 벌여진 여러 개선방안이나 프로그램들이 현재 실시되고 있다. 개선 방안 중 하나인, ‘학교폭력 자진신고기간’은 현재에도 시행 중이다. 학교 앞을 지나다보면 어김없이 학교폭력 자진신고기간에 대해서 설명하는 글들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제도가 정말로 의미가 있는 것이라고는 분명히 긍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학생으로서 살아온 몇 년의 경험에 비추어볼 때, 실은 자진신고를 통해서 실제로 신고 되는 비율은 극히 적을 것이라는 것을 금방 추측해낼 수 있다. 이렇게 효용성의 부분에서 생각해볼 때 현재 시행되고 있는 왕따 개선책들은 한시적이며 피상적인 것일 뿐, 연계적이고 포괄적인 성질의 것이 아니라고 생각된다.
학교는 사회에 나가기 전에 미리 사회를 경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한 학교에서 벌어지고 있는 이 왕따 사태를 경험한 학생들이 사회에 나갔을 때, 학교란 공간을 넘어서 사회란 공간으로 확대되어 침범할 것이라는 예상은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볼 때 ‘개선방안’이 아닌 근본적인 ‘해결 방안’이 필요하며 교육관계자와 정부 부처 그리고 학교주체가 모두 근본적이며 연계적인 방안을 내야 할 것이다.
Ⅶ. 참고 문헌 및 관련 사이트
- 학교에서의 집단따돌림과 집단폭행에 대한 앞으로의 대처 방향, 김계현(서울대교수)
- 집단따돌림의 실태와 태도 분석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학석사논문, 신영희
- 청소년 범죄행동 유발요인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 원호택(한국형사정책연구원)
참고 사이트
- 청소년상담원 http://www.kyci.or.kr/
- 서울특별시교육청 http://www.sen.go.kr/
- http://blog.naver.com/elf4270?Redirect=Log&logNo=120007264404
사례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wone0102&folder=4&list_id
=6085812
-http://www.newshankuk.com/nhtv/nhtv_view01.asp?articleno=k20070116175208012704&code=2
-http://www.mgoon.com/Mulpi/Mov/ExtView.aspx?MulpiID=gooduck09&VID=583003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view.asp?page=1&gCode=soc&arcid=0920546097&cp=nv
-http://club.cyworld.nate.com/club/main/club_main.asp?club_id=52196909
*목차
Ⅰ. 서론
Ⅱ.집단 따돌림의 특징
Ⅲ. 집단 따돌림이 미치는 영향 및 그 문제점
(1) 등교거부
(2) 신체의 증상
(3) 자살
(4) 비행
(5) 정신병리
(6) 자아정체감 형성에 장애
Ⅳ. 집단 따돌림의 원인
1. 따돌림이 나타나는 심리, 사회적 요인
2. 따돌림의 피해자가 보이는 개인내적 특성
3. 따돌림이 집단화되는 이유
Ⅴ. 해결 방안
1. 개인적인 대응
2. 가정적인 대응
3. 학교에서의 예방적 활동 및 전략
4. 사회에서의 예방적 활동 및 전략
Ⅵ. 결론
Ⅶ. 참고 문헌 및 관련 사이트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10.30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43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