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비타민, 무기염류, 전해질류
제1절 비타민
제 2절 무기염류
제3절 수분 및 전해질 대용액
제4절 전해질
제3장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제 1절 자율신경계의 개념
제 2절 교감신경 흥분약
제 3절 교감신경 억제약
제 4절 부교감신경 흥분약
제5절 부교감 신경 억제약
제6절 자율신경절 흥분약 및 차단약
제4장 체성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제1절 근이완약
제 2절 국소마취약
제 6장 Autacoid 및 이에 관련된 약물
제7장 순환기계에 작용하는 약물
제1절 심장의 생리
제2절 강심배당체 및 심부전의 약물
제 3절 항부정맥약
제 4절 고지혈증 약
제 5절 항협심증약
제 6절 고혈압 치료제
제1절 비타민
제 2절 무기염류
제3절 수분 및 전해질 대용액
제4절 전해질
제3장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제 1절 자율신경계의 개념
제 2절 교감신경 흥분약
제 3절 교감신경 억제약
제 4절 부교감신경 흥분약
제5절 부교감 신경 억제약
제6절 자율신경절 흥분약 및 차단약
제4장 체성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제1절 근이완약
제 2절 국소마취약
제 6장 Autacoid 및 이에 관련된 약물
제7장 순환기계에 작용하는 약물
제1절 심장의 생리
제2절 강심배당체 및 심부전의 약물
제 3절 항부정맥약
제 4절 고지혈증 약
제 5절 항협심증약
제 6절 고혈압 치료제
본문내용
dine
- 심방세동
- 심실성빈맥
- 심방조기수축
- 발작성심실상성빈맥
PO
- sulfate:200~400mg,
q4~6hr
- gluconate ; 324~648mg
q8~12hr
cinchonism, 혈압하강,
혈소판 감소증, 설사,
식욕부진, 오심, 구토
성 분 명
적 용
상 용 량
부작용/주의
Lidocaine
- 심실성 빈맥
- 심실세동
- 심실조기수축
IV:초기 부하량
- 1mg/kg(2분)+2mg/kg(20분)
- 50mg(1분)+5분마다 3번 반복
유지량 : 1~4mg/분
중추신경증상(현훈, 이명, 진전,
경련), GI upset, 혈액학적 이상
간기능 장애시 용량 조절 필요
Mexilstine
- 심실성 빈맥
- 심근경색의 후유증으로
오는 심실성 부정맥에
대한 장기치료제로 사용
PO:100~200mg, q8hr(음식과 함께)
유지량:100~300mg, q6~12hr
GI upset, 현훈, 진전, 시각장애
Tocainide
- 심실성 부정맥
PO:200~400mg, q8 hr
유지량:200~600mg, q8 hr
GI upset, 졸음, 진전, 혼돈,
악몽, 폐섬유증, 무과립구증,
혈소판 감소증
신배설되므로 신질환 환자는
용량을 줄여야 한다.
성 분 명
적 용
상 용 량
부작용/주의, 금기
Flecainide
- refractory 심실성 빈맥에만
사용
PO : 100mg, q12hr
4~6일 동안 12hr마다 50mg씩 증량
유지량 : 400mg/d
GI upset, 졸음, 진전, 혼돈,
울혈성심부전, 새로운 심실세동
Propafenone
- 심실성 빈맥
- 각종 심실상성 부정맥
PO : 150mg, q8hr
3~4일 동안 증량
유지량 : 150~300mg, q8hr
GI upset, 미각이상(금속미각),
현기증, 시각장애(15%), 새로운
심실세동, 심실성 빈맥 지속
Mocrizine
- 심실성 빈맥
PO : 200mg, q8hrs
3~4일 동안 증량
유지량 : 200~300mg, q8hr
졸음, 발진, 발작, 서맥, 오심,
새로운 심실세동, 울혈성
심부전 악화, 천식 악화
2) ClassⅡ(beta blocker)
교감신경 자극이나 catecholamine에 의한 부정맥( 불안, 스트레스, 운동에 의해 동방 또는 방실결절에서 생겨난 부정맥), 크롬친화성세포종으로 인한 부정맥에 유용하며 작용기전이 거의 같으므로 효과가 없을 때 다른 beta blocker로 바꾸어도 거의 효과가 없다. atenolol, metoprolol, esmolol은 정맥 내 투여로 쓸 수 있으며 esmolol 은 짧은 반감기를 가지고 있어서 동방, 심방, 방실성 부정맥에 긴급하게 사용할 때 가장 적당하다. 일반적으로 말초혈관 질환 악화, 악몽, 우울증 초래의 부작용을 일으키며 근 억제 작용기이고 다른 약에 효과 가 없으면 심장 선택성을 저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성 분 명
적 용
상 용 량
부 작 용
Esmolol
- 심방빈맥
- 심실상성 빈맥
- 외과 수술 중 발생하는 부정맥
또는 여러 가지 응급상태의
부정맥을 진정시킬 목적으로 사용
IV : 초기 부하량
50㎍/kg(1분)+25㎍/kg/min
유지량 : 100㎍/kg/min
울혈성 심부전, 중추신경계
부작용, 혈압강하, 서맥, 기관지
수축, lupus like syndrome
Propranolol
심실상성 빈맥, 심실성 빈맥, 심실
조기수축, digoxin독성, 심실성
부정맥 발작 예방 가능
PO : 10~80mg, q6hr
IV : 1~5mg총량(1mg/min)
심장차단, 혈압강하, 심부전,
기관지 경련, 서맥, 피로
Metoprolol
- 심실상성빈맥
- 심실성 빈맥
초기부하량 : 5mgIV(5분)
유지량 : 25~100mg
PO bid
심장전도차단, 혈압강하, 심부전, 서맥, 피로
3) ClassⅢ
강력한 항부정맥 약물로 다른 부작용이 있고 다른 전기 생리학적 성질을 갖는 다. 그러나 모두 QT 간격을 연장시키고 특히 저칼륨혈증 환자나 classⅠa약물과 같은 서맥성 약물과 상용시 다형성심실빈맥의 위험을 증가시킨 다.
성 분 명
적 용
상 용 량
부작용/주의, 금기
Bretylium(adrenaline
신경차단제)
- 심실성 빈맥
- 심실 세동
IV : 초기부하량 5mg/kg+
추가 25㎍/kg q6hr
기립성 저혈압, 오심, 구토,
catecholamine민감성 증가
Amiodarone(Na+
channel blocker)
- 심실성 빈맥
- 심실 세동
PO : 초기부하량 800~1600mg/d
(1~3주) +600~800mg/d(4주)
유지량 100~400mg/d
IV : 초기부하량 5mg/kg
(20분간~2시간),24시간
내 동량을 2~3회 반복
유지량 : 10~20mg/kg
(2~3일)(Max 12mg/d)
정맥내 투여 개시 1일째부터
정제로 치환
급성폐독성, 폐섬유조으 광과민증,
갑상선항진증, 저하증, alcohl-like
hepatitis, 피부색 변화,
각막 색소 침착증
Sotalol
(beta blocker)
- 심실성 빈맥
- 고혈압 환자, 협심증
환자 및 급성 심근경색
후의 부정맥 처치에 특히 유용
PO;80mg, bid
유지량; 160~320mg/d
(2~3회 분복
서맥, 저혈압, 울혈성 심부전, CNS부작용, 피로, 다형성심실빈맥(3~4%)
4) ClassⅣ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을 억제하거나 심방조동 또는 심방세동 시 심실의 박동을 늦추는데 유용하다. 다른 항부정맥약과 병용에 있어 beta-blocker는 과다한 방실차단의 위험이 있고 digoxin과는 만성 심방성 세동, 조동 치료에 유용하다. 음성 변력 작용을 나타내므로 심근 수축이 저하된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성 분 명
적 용
상 용 량
부작용/주의, 금기
Diltiazam
- 심방세동
- 발작성 심실상성빈맥
IV : 0.25mg/kg 2분(10mg/hr)
PO : 30~120mg tid/
- 심방세동
- 심실성빈맥
- 심방조기수축
- 발작성심실상성빈맥
PO
- sulfate:200~400mg,
q4~6hr
- gluconate ; 324~648mg
q8~12hr
cinchonism, 혈압하강,
혈소판 감소증, 설사,
식욕부진, 오심, 구토
성 분 명
적 용
상 용 량
부작용/주의
Lidocaine
- 심실성 빈맥
- 심실세동
- 심실조기수축
IV:초기 부하량
- 1mg/kg(2분)+2mg/kg(20분)
- 50mg(1분)+5분마다 3번 반복
유지량 : 1~4mg/분
중추신경증상(현훈, 이명, 진전,
경련), GI upset, 혈액학적 이상
간기능 장애시 용량 조절 필요
Mexilstine
- 심실성 빈맥
- 심근경색의 후유증으로
오는 심실성 부정맥에
대한 장기치료제로 사용
PO:100~200mg, q8hr(음식과 함께)
유지량:100~300mg, q6~12hr
GI upset, 현훈, 진전, 시각장애
Tocainide
- 심실성 부정맥
PO:200~400mg, q8 hr
유지량:200~600mg, q8 hr
GI upset, 졸음, 진전, 혼돈,
악몽, 폐섬유증, 무과립구증,
혈소판 감소증
신배설되므로 신질환 환자는
용량을 줄여야 한다.
성 분 명
적 용
상 용 량
부작용/주의, 금기
Flecainide
- refractory 심실성 빈맥에만
사용
PO : 100mg, q12hr
4~6일 동안 12hr마다 50mg씩 증량
유지량 : 400mg/d
GI upset, 졸음, 진전, 혼돈,
울혈성심부전, 새로운 심실세동
Propafenone
- 심실성 빈맥
- 각종 심실상성 부정맥
PO : 150mg, q8hr
3~4일 동안 증량
유지량 : 150~300mg, q8hr
GI upset, 미각이상(금속미각),
현기증, 시각장애(15%), 새로운
심실세동, 심실성 빈맥 지속
Mocrizine
- 심실성 빈맥
PO : 200mg, q8hrs
3~4일 동안 증량
유지량 : 200~300mg, q8hr
졸음, 발진, 발작, 서맥, 오심,
새로운 심실세동, 울혈성
심부전 악화, 천식 악화
2) ClassⅡ(beta blocker)
교감신경 자극이나 catecholamine에 의한 부정맥( 불안, 스트레스, 운동에 의해 동방 또는 방실결절에서 생겨난 부정맥), 크롬친화성세포종으로 인한 부정맥에 유용하며 작용기전이 거의 같으므로 효과가 없을 때 다른 beta blocker로 바꾸어도 거의 효과가 없다. atenolol, metoprolol, esmolol은 정맥 내 투여로 쓸 수 있으며 esmolol 은 짧은 반감기를 가지고 있어서 동방, 심방, 방실성 부정맥에 긴급하게 사용할 때 가장 적당하다. 일반적으로 말초혈관 질환 악화, 악몽, 우울증 초래의 부작용을 일으키며 근 억제 작용기이고 다른 약에 효과 가 없으면 심장 선택성을 저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성 분 명
적 용
상 용 량
부 작 용
Esmolol
- 심방빈맥
- 심실상성 빈맥
- 외과 수술 중 발생하는 부정맥
또는 여러 가지 응급상태의
부정맥을 진정시킬 목적으로 사용
IV : 초기 부하량
50㎍/kg(1분)+25㎍/kg/min
유지량 : 100㎍/kg/min
울혈성 심부전, 중추신경계
부작용, 혈압강하, 서맥, 기관지
수축, lupus like syndrome
Propranolol
심실상성 빈맥, 심실성 빈맥, 심실
조기수축, digoxin독성, 심실성
부정맥 발작 예방 가능
PO : 10~80mg, q6hr
IV : 1~5mg총량(1mg/min)
심장차단, 혈압강하, 심부전,
기관지 경련, 서맥, 피로
Metoprolol
- 심실상성빈맥
- 심실성 빈맥
초기부하량 : 5mgIV(5분)
유지량 : 25~100mg
PO bid
심장전도차단, 혈압강하, 심부전, 서맥, 피로
3) ClassⅢ
강력한 항부정맥 약물로 다른 부작용이 있고 다른 전기 생리학적 성질을 갖는 다. 그러나 모두 QT 간격을 연장시키고 특히 저칼륨혈증 환자나 classⅠa약물과 같은 서맥성 약물과 상용시 다형성심실빈맥의 위험을 증가시킨 다.
성 분 명
적 용
상 용 량
부작용/주의, 금기
Bretylium(adrenaline
신경차단제)
- 심실성 빈맥
- 심실 세동
IV : 초기부하량 5mg/kg+
추가 25㎍/kg q6hr
기립성 저혈압, 오심, 구토,
catecholamine민감성 증가
Amiodarone(Na+
channel blocker)
- 심실성 빈맥
- 심실 세동
PO : 초기부하량 800~1600mg/d
(1~3주) +600~800mg/d(4주)
유지량 100~400mg/d
IV : 초기부하량 5mg/kg
(20분간~2시간),24시간
내 동량을 2~3회 반복
유지량 : 10~20mg/kg
(2~3일)(Max 12mg/d)
정맥내 투여 개시 1일째부터
정제로 치환
급성폐독성, 폐섬유조으 광과민증,
갑상선항진증, 저하증, alcohl-like
hepatitis, 피부색 변화,
각막 색소 침착증
Sotalol
(beta blocker)
- 심실성 빈맥
- 고혈압 환자, 협심증
환자 및 급성 심근경색
후의 부정맥 처치에 특히 유용
PO;80mg, bid
유지량; 160~320mg/d
(2~3회 분복
서맥, 저혈압, 울혈성 심부전, CNS부작용, 피로, 다형성심실빈맥(3~4%)
4) ClassⅣ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을 억제하거나 심방조동 또는 심방세동 시 심실의 박동을 늦추는데 유용하다. 다른 항부정맥약과 병용에 있어 beta-blocker는 과다한 방실차단의 위험이 있고 digoxin과는 만성 심방성 세동, 조동 치료에 유용하다. 음성 변력 작용을 나타내므로 심근 수축이 저하된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성 분 명
적 용
상 용 량
부작용/주의, 금기
Diltiazam
- 심방세동
- 발작성 심실상성빈맥
IV : 0.25mg/kg 2분(10mg/hr)
PO : 30~120mg tid/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