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무역구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나의 비전)
Ⅰ. 서 론

Ⅱ. 본 론
1. 한국무역의 전개과정
1) 식민지시대의 대외무역
2) 해방 후 (1950년대)
3) 수입 대체기 (1960년대)
4) 수출지향기 (1970년대)
5) 1980년대
6) 1990년대
2. 한국무역의 특성
1) 수출주도형 경제개방정책
2) 정부주도형 경제성장
3) 단순가공제품 중심의 수출전략 (노동집약적인 제품)
4) 기술 및 자본의 해외 의존성
5) 불균형적 경제성장구조
6) 산업의 이중구조
3. 무역통계를 통해 살펴 본 한국의 무역구조
1) 한국의 10대 수출국
2) 한국의 10대 수입국
3) 한국의 10대 수출상품
4) 한국의 10대 수입상품
5) 한국의 10대 무역흑자 국가
6) 한국의 10대 무역적자 국가
7) 한국의 10대 무역흑자 품목
8) 한국의 10대 무역적자 품목
9) 한국의 수출입 품목 수 및 상대국 수
10) 우리나라의 무역의존도

Ⅲ. 결 론

본문내용

광, 슬랙, 회
17
1,217
-1,200
목재펄프
7
1,219
-1,212
9
목재펄프
1
1,006
-1,005
알루미늄과 그 제품
924
2,062
-1,139
10
항공기와 우주선
188
1,069
-880
철 강
5,068
6,066
-998
(단위: 백만US 달러)
출처: 한국무역연감(2004)
9) 한국의 수출입 품목 수 및 상대국 수
구 분
품 목 수 HS10단위(수출품목의 세번부호) 기준, 1,000US달러 이상의 실적
상 대 국 수
수 출
수 입
수 출
수 입
1970년
1,504
3,334
122
83
1975년
2,759
4,516
163
133
1980년
6,010
7,358
172
134
1985년
6,749
8,198
185
138
1990년
7,062
8,714
193
152
1995년
7,864
9,198
213
188
2000년
8,241
9,904
238
227
2002년
8,212
9,964
232
224
출처: 한국무역연감(2004)
10) 우리나라의 무역의존도
구 분
경상GNP
수 출
수 입
무역 의존도
금 액
의존도
금 액
의존도
1960년
19
0.3
1.7
3
18.1
19.8
1970년
81
8
10.3
20
24.5
34.8
1980년
606
175
28.9
222
36.8
65.7
1985년
911
303
33.2
311
34.2
67.4
1990년
2523
650
25.8
698
27.7
53.5
1991년
2949
719
24.4
815
17.6
52.0
(단위: 억 US 달러, %)
Ⅲ. 결 론
우리나라는 반만년의 역사를 자랑하고는 있지만, 과거 개방을 막음으로써 선진국과의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아 근대화를 늦게 이루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세계가 놀랄 정도의 속도로 30여년 만에 근대화를 이룩하였다. 하지만 최근의 우리나라는 경제의 추진 장치를 잃었다고 느낄 정도로 경제가 정체되어 있는 듯 하다. 1997년 1인당 국민소득 1만 달러를 돌파한 이후 여러 가지 이유(정권의 리더십, 지역간의 갈등, 국민의 잘못된 사상 등)로 인하여, 여전히 18,372달러(2006년 말 기준, 한국은행) 수준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본론에서 이야기 하였듯이, 우리나라 무역의 특성상 기술과 자본의 해외의존성이 높다는데 있는 것 같다. 간단하게 예를 들어보자. 우리나라 국민 대부분이 가지고 있는 휴대폰은 상위 수출품목 중 하나인데(본문 참고), 아무리 많은 휴대폰을 수출하여 이익을 보더라도 우리는 미국의 퀄컴(qualcomm)사에 로열티를 지불하여야 한다. 퀄컴사가 가진 휴대폰 핵심기술인 CDMA에 대한 기술료를 지불해야 하는 것이다. 기술 뿐 아니라 우리나라 대기업 주식(쉽게 생각하면 기업의 자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의 상당부분은 외국자본이 차지하고 있다.
울산 앞바다 등에서 천연가스가 조금 나온다고는 하지만 우리나라는 쓸만한 필수 부존자원이나 일부를 제외하고는 주요기술 등이 거의 없기 때문에 무역을 통하지 않고서는 경제발전을 이루기가 힘든 시스템 속에 있다. 그래서 과거에서부터 우리나라는 수출중심주의로 경제를 이끌어 온 듯싶다. 하지만 급속한 경제발전을 위해 미래에 대한 투자보다는 현실에 주어진 것에 대한 강점만을 살리려 하였기 때문에 노동집약적 산업에 집중투자가 이루어진 것 같다. 물론 최근에는 기술이 어느 정도 따라가고 있지만 이미 일류 선진국의 기술과는 한동안 따라잡을 수 없을 만큼 멀리 뒤떨어져 있는 것 같다. 이미 개도국에게 가격경쟁력을 빼앗긴 우리로서는 지금부터라도 원천기술을 쌓을 수 있도록 순수 자연과학에 대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미 세계화의 시대에 접어든지 오래되었는데 아직도 순수과학자들에 대한 보상은 멀리하면서 애국심을 호소하며 그들을 잡는다는 것은 너무 이기적인 듯 싶다.
또한 조금씩 나아지고는 있지만 여전히 교역을 하는데 있어 몇몇 일정 국가들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점도 선진국이 되는데 걸림돌이 될 것이다. 멀리 미국의 경제대공황에서 시작된 문제가 전 세계를 강타하였던 사례뿐 아니라, 최근의 상황만 보더라도(미국 모지기론 부실로 인해 잘 나가던 한국경제 등 많은 나라의 경제가 잠시 주춤했던 일 등) 일정국가에 대한 무역의존도가 클 경우 상대국의 경제상황에 따라 자국의 발전에 저해요소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역시도 일정국가들에 대한 무역의존도를 더욱 줄이고 다양화를 추구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해외에서 부품, 재료 등을 수입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한 후 다시 해외에 수출하는 무역 구조를 지녔기 때문에 원자재의 수입을 안정화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지금 역시도 주변 국가들은 원유 등의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아프리카, 동유럽 등을 찾아다니고 있지만, 사우디아라비아 등 일부국가에 대한 원유공급 의존도가 심각한 우리나라는 큰 노력을 하지 않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언제나 위협이 바로 앞에 다가와야 움직이는 문제를 더 이상 되풀이 하지 않기를 바란다.
또한 우리나라 내적인 문제로 노사갈등과 반세계화 등의 문제는 해결해야 할 것이다. 이미 미국의 포드나 GM 등이 노사갈등의 문제로(물론 다른 문제들과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난 문제이지만) 자국 내 자동차 시장을 일본의 자동차회사들에 빼앗긴 사례가 있다. 그러한 점을 보고 교훈을 얻어 노사 모두를 위해 파업 등 노사갈등을 해결해야 할 것이다. 또한 반세계화를 외치며 스스로 고립을 자초하려 하는 사람들이 국내에 여럿 있는 것 같다. 이미 과거에 행하였던 쇄국정책으로 인한 결과를 알고 있으면서도, 또 다시 같은 길을 가려한다는 것이 분명 잘못된 것이다.
많은 경제인들이 앞으로 몇 년간 국가운영을 잘못하면 샌드위치 신세인 우리나라는 후퇴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지금의 샌드위치 신세를 벗어나기 위해 정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업과 국민 모두가 힘을 합쳐야 한다. 더 이상 국내에서 어긋난다면 우리나라는 과거 필리핀이 그랬던 것처럼 다시 후진국으로 돌아가고 나서 후회하게 될 것이다. 지금은 준비를 할 시간이 있지만, 이미 터지고 나면 후회를 하여도 다시 돌아갈 수 없을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11.09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60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