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이론적 고찰
1. 병인
2. 병태 생리
3. 다학제적 관리
① 진단 검사
② 투약
③ 치료
④ 수술
⑤ 식이
⑥ 활동
⑦ 의뢰/ 협진진료
4. 합병증
Ⅱ. 본론
1. 대상자 소개
2. 대상자 관찰 날짜
3. 간호기간 중 환자상태
4. Pathological findings an Diagnosis
<임상병리검사자료>
<약물 치료>
<간호진단>
#1 수술과 관련된 통증
#2 수술 후 통증 및 삽관기구들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3 수술 및 여러 기구의 삽관과 관련된 잠재적인 감염 위험성
#4 수술부위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Ⅲ. 결론
1. 병인
2. 병태 생리
3. 다학제적 관리
① 진단 검사
② 투약
③ 치료
④ 수술
⑤ 식이
⑥ 활동
⑦ 의뢰/ 협진진료
4. 합병증
Ⅱ. 본론
1. 대상자 소개
2. 대상자 관찰 날짜
3. 간호기간 중 환자상태
4. Pathological findings an Diagnosis
<임상병리검사자료>
<약물 치료>
<간호진단>
#1 수술과 관련된 통증
#2 수술 후 통증 및 삽관기구들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3 수술 및 여러 기구의 삽관과 관련된 잠재적인 감염 위험성
#4 수술부위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이론적 고찰
1. 병인
장암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환경적인 요인이 확실히 관련되어 있으며, 주로 저섬유고지방고단백정제된 탄수화물 식이의 유해성에 초점을 두었다. 이론상으로는 무해한 식품이 불분명한 기전에 의해 장내에서 발암물질로 작용하는 대사성세균성 최종산물로 변형된다고 알려져 있고, 저섬유성 식이는 결장에서 음식물 정체시간과 발암물질과 장 점막의 접촉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유전적인 요인과 관련되어 있다. 연구에 따르면 환자 7명중 1명은 다른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촉진시키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지니고 있었다고 한다. 또한 몇몇 종류의 암은 환자의 95%가 유전자 결함을 지니고 있었으며 환자의 60%가 유전자 결함이 있다고 평가된다.
결장암의 위험은 만성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육아종(granulomas), 선종(adenomas), 가족성 폴립증(familial polyposis)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결장에 선종이 있는 것은 일차적 위험요소가 될 수 있으나 실제 모든 결장암이 선종에서 발단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할지라고 결장 선종의 5%만이 악성이 된다. 융모 선종은 악성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이며, 가족성 폴립증은 결장과 직장 내 다발성 선종성 폴립의 초기 발달의 원인이 되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선 질환인다. 암이 호발할 위험은 중년까지 거의100%에 이른다. 흡연은 장에서 선종(adenoma)을 형성하는 것과 유의한 관련이 있으며, 흡연량과 기간은 모두 발생빈도에 영향을 미친다. 아스피린을 규칙적으로 사용하면 용종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지만 이 분야의 연구에서는 아스피린의 잠재적 예방효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아직 너무 새로운 견해여서 지지되기가 어렵다.
2. 병태 생리
모든 장암은 양성 선종성 결장용종이 존재 하다가 이것이 악성으로 변하여 발생한다. 이런 선종은 세포의 이상형성을 일으키면서 악성으로 변형되는데 이것의 중증도는 용종의 크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용종의 크기가 1cm 미만인 경우에는 용종의 1%미만에서 악성으로 변형되지만 2cm 이상인 경우에는 10% 이상이나 악성으로 진전된다. 변형의 과정은 서서히 진행된다. 1cm의 용종이 침습적 선암으로 진전될 때까지는 7년 정도 걸린다.
결장직장암은 대부분이 장의 상피세포에서 기원한 선암(adenocarcinoma)이다. 전형적으로 암은 선종양 폴립에서 기원하는데, 맹장과 상행성 결장에서 병소는 결장내강으로 분출하는 컬리플라워(cauliflower)같은 덩어리로 자란다. 이 병소는 궤양을 일으킬 수 있으나 이 부위를 지나는 대변은 반유동성이기 때문에 폐색을 일으키는 경우는 드물다. 시간이 경과하면 병소는 결장벽을 관통하고 주변 조직으로 퍼지게 된다. 결장 하부의 병소는 고리모양이나 반점 같은 모양을 한다. 그 병소는 결장벽을 따라 환형으로 자라며, 내강은 좁아지고 협착된다. 좁아진 내강으로 대변이 통과하지 못하며 폐색이 일어날 수 있다.
결장직장암은 직접 전파되어 림프나 순환계를 통해서 전파될 수 있으며, 복막이나 결장에서 원거기로 전이될 수 있다. 간과 폐는 원격전이되는 대표적 장기이다.
Duke의 분류체계
단계 A
장점막에 국한
단계 B
근벽 침윤
단계 C
림프결절 침범
단계 D
전이되거나 국소적으로 절제가 불가능한 종양
장암은 종양의 크기가 아닌 침윤정도에 의해서 2단계로 분류한다. 단계를 결정하는 것은 적정수준의 중재나 치룔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5년 생존율에 있어 A단계 환자는 80~90%에 이르나, D단계 환자의 경우는 5%미만이다.
결장암의 임상증상은 종양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초기에는 대개 무증상이며, 특히 우측 상행성 결장에서 그렇다. 결장 하부암과 직장암은 전형적으로 부분적 폐색과 관련된 증상을 나타낸다. 환자는 배변습관의 변화와 직장출혈을 경함할 수 있다. 출혈은 명백히 나타나거나 잠재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결장직장암 환자는 허약이나 권태, 식욕부진, 빈혈, 체중감소 등의 비특이적 증상을 나타낸다. 때때로 종양은 복강으로 천공을 일으킬 수도 있고, 자각증상이 있기 전에 급성 복막염이 일어난다.
장암의 임상증상
< 상행성 결장 >
대변에 잠혈(occult blood)
빈혈
식욕부진과 체중감소
복통(제와부 위쪽)
덩어리가 촉진될 수 있음
< 하행성 결장 >
직장 출혈
배변습관 변화
변비 또는 설사
연필이나 리본 모양의 배변
이급후증(tenesmus)
장이 완전히 비워지지 않은 느낌
3. 다학제적 관리
① 진단 검사
오늘 날 진단검사 기술의 발달은 장암으로 인해 사망하는 비율을 낮추는데 기여하게 되었다. 장암이 천천히 진행되고 초기에는 쉽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위한 초기의 정확한 진단은 장암의 주요 관심사가 된다. 50세가 넘으면 선별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직장 지두 검진(digital rectal examination) : 직장검진은 간단하면서도 가격이 저렴하고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쉽게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에 장암 선별검사로 흔히 수행된다. 부인과적 검사나 전립선 검사의 일부분으로도 수행한다. 장암의 40%가 직장 부위에서 발생하므로 검사자의 손가락이 병소부위에 닿을 수 있다.
대변 내 잠혈검사(fecal occult blood test) : 대변 내 잠혈검사는 선암일 때 유용하며 이 경우 보통 출혈이 있게 되는데 양이 50%정도 되고 선종용종이 있는 경우 25% 정도 된다. 가끔 가양성(false-positive)이나 가음성(false negative)의 결과가 나오기도 한다. 잠혈검사에서 암을 놓치게 하는 가음성 결과는 검사 당시 출혈이 없는 경우이고, 식이와 약물은 가양성의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S상 결장검사(sigmoidoscopy) : 유연한 S상결장경은 직장과 하행결장을 실제 잘 볼 수 있게 하지
1. 병인
장암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환경적인 요인이 확실히 관련되어 있으며, 주로 저섬유고지방고단백정제된 탄수화물 식이의 유해성에 초점을 두었다. 이론상으로는 무해한 식품이 불분명한 기전에 의해 장내에서 발암물질로 작용하는 대사성세균성 최종산물로 변형된다고 알려져 있고, 저섬유성 식이는 결장에서 음식물 정체시간과 발암물질과 장 점막의 접촉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유전적인 요인과 관련되어 있다. 연구에 따르면 환자 7명중 1명은 다른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촉진시키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지니고 있었다고 한다. 또한 몇몇 종류의 암은 환자의 95%가 유전자 결함을 지니고 있었으며 환자의 60%가 유전자 결함이 있다고 평가된다.
결장암의 위험은 만성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육아종(granulomas), 선종(adenomas), 가족성 폴립증(familial polyposis)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결장에 선종이 있는 것은 일차적 위험요소가 될 수 있으나 실제 모든 결장암이 선종에서 발단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할지라고 결장 선종의 5%만이 악성이 된다. 융모 선종은 악성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이며, 가족성 폴립증은 결장과 직장 내 다발성 선종성 폴립의 초기 발달의 원인이 되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선 질환인다. 암이 호발할 위험은 중년까지 거의100%에 이른다. 흡연은 장에서 선종(adenoma)을 형성하는 것과 유의한 관련이 있으며, 흡연량과 기간은 모두 발생빈도에 영향을 미친다. 아스피린을 규칙적으로 사용하면 용종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지만 이 분야의 연구에서는 아스피린의 잠재적 예방효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아직 너무 새로운 견해여서 지지되기가 어렵다.
2. 병태 생리
모든 장암은 양성 선종성 결장용종이 존재 하다가 이것이 악성으로 변하여 발생한다. 이런 선종은 세포의 이상형성을 일으키면서 악성으로 변형되는데 이것의 중증도는 용종의 크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용종의 크기가 1cm 미만인 경우에는 용종의 1%미만에서 악성으로 변형되지만 2cm 이상인 경우에는 10% 이상이나 악성으로 진전된다. 변형의 과정은 서서히 진행된다. 1cm의 용종이 침습적 선암으로 진전될 때까지는 7년 정도 걸린다.
결장직장암은 대부분이 장의 상피세포에서 기원한 선암(adenocarcinoma)이다. 전형적으로 암은 선종양 폴립에서 기원하는데, 맹장과 상행성 결장에서 병소는 결장내강으로 분출하는 컬리플라워(cauliflower)같은 덩어리로 자란다. 이 병소는 궤양을 일으킬 수 있으나 이 부위를 지나는 대변은 반유동성이기 때문에 폐색을 일으키는 경우는 드물다. 시간이 경과하면 병소는 결장벽을 관통하고 주변 조직으로 퍼지게 된다. 결장 하부의 병소는 고리모양이나 반점 같은 모양을 한다. 그 병소는 결장벽을 따라 환형으로 자라며, 내강은 좁아지고 협착된다. 좁아진 내강으로 대변이 통과하지 못하며 폐색이 일어날 수 있다.
결장직장암은 직접 전파되어 림프나 순환계를 통해서 전파될 수 있으며, 복막이나 결장에서 원거기로 전이될 수 있다. 간과 폐는 원격전이되는 대표적 장기이다.
Duke의 분류체계
단계 A
장점막에 국한
단계 B
근벽 침윤
단계 C
림프결절 침범
단계 D
전이되거나 국소적으로 절제가 불가능한 종양
장암은 종양의 크기가 아닌 침윤정도에 의해서 2단계로 분류한다. 단계를 결정하는 것은 적정수준의 중재나 치룔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5년 생존율에 있어 A단계 환자는 80~90%에 이르나, D단계 환자의 경우는 5%미만이다.
결장암의 임상증상은 종양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초기에는 대개 무증상이며, 특히 우측 상행성 결장에서 그렇다. 결장 하부암과 직장암은 전형적으로 부분적 폐색과 관련된 증상을 나타낸다. 환자는 배변습관의 변화와 직장출혈을 경함할 수 있다. 출혈은 명백히 나타나거나 잠재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결장직장암 환자는 허약이나 권태, 식욕부진, 빈혈, 체중감소 등의 비특이적 증상을 나타낸다. 때때로 종양은 복강으로 천공을 일으킬 수도 있고, 자각증상이 있기 전에 급성 복막염이 일어난다.
장암의 임상증상
< 상행성 결장 >
대변에 잠혈(occult blood)
빈혈
식욕부진과 체중감소
복통(제와부 위쪽)
덩어리가 촉진될 수 있음
< 하행성 결장 >
직장 출혈
배변습관 변화
변비 또는 설사
연필이나 리본 모양의 배변
이급후증(tenesmus)
장이 완전히 비워지지 않은 느낌
3. 다학제적 관리
① 진단 검사
오늘 날 진단검사 기술의 발달은 장암으로 인해 사망하는 비율을 낮추는데 기여하게 되었다. 장암이 천천히 진행되고 초기에는 쉽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위한 초기의 정확한 진단은 장암의 주요 관심사가 된다. 50세가 넘으면 선별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직장 지두 검진(digital rectal examination) : 직장검진은 간단하면서도 가격이 저렴하고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쉽게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에 장암 선별검사로 흔히 수행된다. 부인과적 검사나 전립선 검사의 일부분으로도 수행한다. 장암의 40%가 직장 부위에서 발생하므로 검사자의 손가락이 병소부위에 닿을 수 있다.
대변 내 잠혈검사(fecal occult blood test) : 대변 내 잠혈검사는 선암일 때 유용하며 이 경우 보통 출혈이 있게 되는데 양이 50%정도 되고 선종용종이 있는 경우 25% 정도 된다. 가끔 가양성(false-positive)이나 가음성(false negative)의 결과가 나오기도 한다. 잠혈검사에서 암을 놓치게 하는 가음성 결과는 검사 당시 출혈이 없는 경우이고, 식이와 약물은 가양성의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S상 결장검사(sigmoidoscopy) : 유연한 S상결장경은 직장과 하행결장을 실제 잘 볼 수 있게 하지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정형외과 골절 케이스 간호진단 및 과정
성인간호학 간경화증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4학년1학기 과제물
성인간호학 실습-AMI
성인간호학4공통)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
성인간호학// 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할 ...
<성인간호학 실습> 일반외과 케이스 스터디 : Gastric Cancer
<성인간호학 실습> 일반외과 케이스 스터디 : Intestinal Obstruction
성인간호학_1. 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할...
성인간호학 2017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
성인간호학_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할 항...
성인간호학케이스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 - 통증, 피부손상위험성, 낙상위험성
성인간호학 실습 sepsis(패혈증) 문헌고찰 및 간호진단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골절(흉추,천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