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통신언어가 실제 언어생활에 영향을 미친 사례들
1. 통신언어로부터 영향을 받은 언어생활의 구체적 사례들
2. 부정적 영향 - 기사를 중심으로
3. 긍정적 영향
① 풍부한 언어 사용 - 신조어 생성
② 어휘의 의미가 풍부해짐
③ 시각적인 즐거움과 기억효과
④ 구성원의 유대감 · 친근감 형성
⑤ 화자의 태도를 구체적으로 표현
4. 매체 속의 모습 - 상상플러스 Old&New
5. 매체 속의 모습 - 드라마 ‘궁(宮)’
6. 매체 속의 모습 - TV 자막
① 신조어 - ‘급’
② 음절을 줄여 쓰는 현상 - ‘부끄부끄’
③ 신조어 생성 - ‘뷁’
④ 기호를 이용하여 쓰는 현상 - ‘ㅋㅋ’
Ⅲ. 결론
Ⅱ. 통신언어가 실제 언어생활에 영향을 미친 사례들
1. 통신언어로부터 영향을 받은 언어생활의 구체적 사례들
2. 부정적 영향 - 기사를 중심으로
3. 긍정적 영향
① 풍부한 언어 사용 - 신조어 생성
② 어휘의 의미가 풍부해짐
③ 시각적인 즐거움과 기억효과
④ 구성원의 유대감 · 친근감 형성
⑤ 화자의 태도를 구체적으로 표현
4. 매체 속의 모습 - 상상플러스 Old&New
5. 매체 속의 모습 - 드라마 ‘궁(宮)’
6. 매체 속의 모습 - TV 자막
① 신조어 - ‘급’
② 음절을 줄여 쓰는 현상 - ‘부끄부끄’
③ 신조어 생성 - ‘뷁’
④ 기호를 이용하여 쓰는 현상 - ‘ㅋㅋ’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혹시 컴퓨터, 인터넷이 없는 세상을 상상해본 적이 있는가? 물론 과거 10년 전만 하더라도 우리는 컴퓨터와 인터넷 없이도 잘 살아왔다. 하지만 21세기 정보화 사회를 맞이한 요즈음 그런 질문을 듣게 된다면 다들 고개를 내저을 것이다. 특히 인터넷 강국이라고 불리는 우리나라의 경우 컴퓨터와 인터넷의 필요성을 더욱 절실히 느낄 것이다. 그만큼 컴퓨터와 인터넷은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생활의 일부분을 넘어서 필수적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렇게 인터넷 이용 인구가 급증하고 인터넷이 활성화되면서 인터넷 통신에서 쓰이는 언어가 새로이 생겨나기에 이르렀다. 컴퓨터 통신언어는 전자말(Electric Language)에 속하는 것으로, 우리가 사는 이 시대에 새롭게 만들어진 말이다. 전자말은 기존의 글말 입말과는 매우 다른 제2의 구술성을 가진, 전자매체를 통해 의사소통을 하는 제3의 언어이다. 여기서 다루고자 하는 \'통신 언어\'란 전자말의 하위 갈래로서 \'컴퓨터를 이용한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를 말한다. 그런데 통신언어는 컴퓨터를 이용한 통신 이 외에도 핸드폰을 이용한 문자사용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통신언어가 일상생활 속에 파고드는데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통신언어는 한국 맞춤법 규정을 무시한 소리 나는 대로 적는 방식이 많이 나타나며, 초성만을 이용한 언어, 축약, 탈락, 첨가의 형태, 이모티콘, 어문 규범의 파괴현상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런 통신언어가 세대 간의 의사소통 단절에 관한 우려를 낳기도 했지만 새로운 언어가 창조되고 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는 이제 본격적으로 통신언어가 일상 언어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사례에 대한 조사와 함께 통신언어의 부정적, 긍정적 효과를 균형 있게 다루어 볼 생각이다.
Ⅱ. 통신언어가 실제 언어생활에 영향을 미친 사례들
1. 통신언어로부터 영향을 받은 언어생활의 구체적 사례들
① 실제 편지글의 사례 - 1
(내용)
to. 살람하는 몸녀 보시옹~
몸녀~ 몸녀가 보내준 장품이 너무나 잘 받았소.
정말 이렇게 많이 보내 주실 줄은 몰랐다오~+.+
감동의 물결이오~ㅠ.ㅠ
처음에 몸녀가 화장품 보내 준다고 했을때 본녀가 제일 먼저 신청을 해서
참으로 부끄라왔소~잇힝~*^^* 몸녀~! 우리 소몸에는 이렇게 몸녀같이
인정많은 쥑이 많아서 본녀는 정말 소몸을 살앙한다오~
이제 소몸 없이는 하루도 못살거 같소~^^
다음에 설 정모하면 몸녀 꼭 나오시오~
그때는 본녀가 몸녀에게 이쁜 선물 해 주겠소~^^
그럼 환절기에 감기 조심하시고~
정다운 ‘소몸’에서 다시 뵙겠소~
몸녀~살랑해~*^^*
-2005.4.2 지킴이 몸녀가~^-^-
-> 이 편지글을 보면 ‘~했소’, ‘~그렇소’, ‘~알겠소’ 등의 말투나 나타나는 데, 이는 통신 언어의 범주에 속하는 ‘하오체’이다. 이 하오체는 새로 생겨난 것은 아니며, 단어의 사전적 의미상으로는 기존에 있던 높임법 그 자체를 뜻한다. 그러나 ‘하오체’는 현대 국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들어 통신 언어 범주에 넣을 수 있다. 즉 형식상으로만 존재할 뿐, 실제 사용 빈도는 점점 줄어 거의 사라지고 있는 높임법이었으나, 이것이 최근에 일부 인터넷 사용자를 중심으로 다시 사용되기 시작하여, 지금은 그 사용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통신 언어로서의 하오체가 처음 사용되기 시작하였던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에는 하오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하오체’는 ‘~했소’, ‘~그렇소’, ‘~알겠소’ 등의 말투인데 득쥑의 길을 걷고자
하는 상대방을 배려함과 동시에 자신을 깎지 않는 오묘한 말투 (디시인사이드 www.dcinside.com)
위의 정의는 통신언어로서의 ‘하오체’를 비교적 잘 설명하고 있다. 위의 설명에서 하오체를 높임법이 나닌 말투로 표현하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이는 화자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표현방식으로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 ^-^, *^^* 와 같은 이모티콘의 사용과 ‘잇힝’, ‘살람’, ‘본녀’, ‘몸녀’과 같은 어휘 등을 통해서 통신언어의 특징을 이 편지글에서 파악 할 수 있다.
② 실제 편지글의 사례 -2
(내용)
To. 은경 보아라~!!
짐 교양 수업 중... 밥 먹고 너무 졸려서 너한테 일케 글 쓴다~ 앞에 앉은애
머리통이 넘 커서 칠판이 안보여...
혹시 컴퓨터, 인터넷이 없는 세상을 상상해본 적이 있는가? 물론 과거 10년 전만 하더라도 우리는 컴퓨터와 인터넷 없이도 잘 살아왔다. 하지만 21세기 정보화 사회를 맞이한 요즈음 그런 질문을 듣게 된다면 다들 고개를 내저을 것이다. 특히 인터넷 강국이라고 불리는 우리나라의 경우 컴퓨터와 인터넷의 필요성을 더욱 절실히 느낄 것이다. 그만큼 컴퓨터와 인터넷은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생활의 일부분을 넘어서 필수적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렇게 인터넷 이용 인구가 급증하고 인터넷이 활성화되면서 인터넷 통신에서 쓰이는 언어가 새로이 생겨나기에 이르렀다. 컴퓨터 통신언어는 전자말(Electric Language)에 속하는 것으로, 우리가 사는 이 시대에 새롭게 만들어진 말이다. 전자말은 기존의 글말 입말과는 매우 다른 제2의 구술성을 가진, 전자매체를 통해 의사소통을 하는 제3의 언어이다. 여기서 다루고자 하는 \'통신 언어\'란 전자말의 하위 갈래로서 \'컴퓨터를 이용한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를 말한다. 그런데 통신언어는 컴퓨터를 이용한 통신 이 외에도 핸드폰을 이용한 문자사용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통신언어가 일상생활 속에 파고드는데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통신언어는 한국 맞춤법 규정을 무시한 소리 나는 대로 적는 방식이 많이 나타나며, 초성만을 이용한 언어, 축약, 탈락, 첨가의 형태, 이모티콘, 어문 규범의 파괴현상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런 통신언어가 세대 간의 의사소통 단절에 관한 우려를 낳기도 했지만 새로운 언어가 창조되고 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는 이제 본격적으로 통신언어가 일상 언어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사례에 대한 조사와 함께 통신언어의 부정적, 긍정적 효과를 균형 있게 다루어 볼 생각이다.
Ⅱ. 통신언어가 실제 언어생활에 영향을 미친 사례들
1. 통신언어로부터 영향을 받은 언어생활의 구체적 사례들
① 실제 편지글의 사례 - 1
(내용)
to. 살람하는 몸녀 보시옹~
몸녀~ 몸녀가 보내준 장품이 너무나 잘 받았소.
정말 이렇게 많이 보내 주실 줄은 몰랐다오~+.+
감동의 물결이오~ㅠ.ㅠ
처음에 몸녀가 화장품 보내 준다고 했을때 본녀가 제일 먼저 신청을 해서
참으로 부끄라왔소~잇힝~*^^* 몸녀~! 우리 소몸에는 이렇게 몸녀같이
인정많은 쥑이 많아서 본녀는 정말 소몸을 살앙한다오~
이제 소몸 없이는 하루도 못살거 같소~^^
다음에 설 정모하면 몸녀 꼭 나오시오~
그때는 본녀가 몸녀에게 이쁜 선물 해 주겠소~^^
그럼 환절기에 감기 조심하시고~
정다운 ‘소몸’에서 다시 뵙겠소~
몸녀~살랑해~*^^*
-2005.4.2 지킴이 몸녀가~^-^-
-> 이 편지글을 보면 ‘~했소’, ‘~그렇소’, ‘~알겠소’ 등의 말투나 나타나는 데, 이는 통신 언어의 범주에 속하는 ‘하오체’이다. 이 하오체는 새로 생겨난 것은 아니며, 단어의 사전적 의미상으로는 기존에 있던 높임법 그 자체를 뜻한다. 그러나 ‘하오체’는 현대 국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들어 통신 언어 범주에 넣을 수 있다. 즉 형식상으로만 존재할 뿐, 실제 사용 빈도는 점점 줄어 거의 사라지고 있는 높임법이었으나, 이것이 최근에 일부 인터넷 사용자를 중심으로 다시 사용되기 시작하여, 지금은 그 사용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통신 언어로서의 하오체가 처음 사용되기 시작하였던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에는 하오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하오체’는 ‘~했소’, ‘~그렇소’, ‘~알겠소’ 등의 말투인데 득쥑의 길을 걷고자
하는 상대방을 배려함과 동시에 자신을 깎지 않는 오묘한 말투 (디시인사이드 www.dcinside.com)
위의 정의는 통신언어로서의 ‘하오체’를 비교적 잘 설명하고 있다. 위의 설명에서 하오체를 높임법이 나닌 말투로 표현하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이는 화자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표현방식으로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 ^-^, *^^* 와 같은 이모티콘의 사용과 ‘잇힝’, ‘살람’, ‘본녀’, ‘몸녀’과 같은 어휘 등을 통해서 통신언어의 특징을 이 편지글에서 파악 할 수 있다.
② 실제 편지글의 사례 -2
(내용)
To. 은경 보아라~!!
짐 교양 수업 중... 밥 먹고 너무 졸려서 너한테 일케 글 쓴다~ 앞에 앉은애
머리통이 넘 커서 칠판이 안보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