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통음식의 종류
1)주식
2)부식
3)조미료
4)병과류와 음료
2. 전통음식이 내용
1)일상식
(1)주식
(2)일품식
(3)부식
2)별식
(1)떡
(2)과
3)음료
(1)음료의 역사
(2)음료의 종류
1)주식
2)부식
3)조미료
4)병과류와 음료
2. 전통음식이 내용
1)일상식
(1)주식
(2)일품식
(3)부식
2)별식
(1)떡
(2)과
3)음료
(1)음료의 역사
(2)음료의 종류
본문내용
전통음식의 종류와 내용
1. 전통음식의 종류
1) 주식
350여 가지 곡류를 중심으로 되어 있고 주식류는 밥류, 죽류, 미음ㆍ응이류, 국수ㆍ수제비류, 만두류, 떡국류 등 6가지로 분류한다.
2) 부식
약 1,500가지로 전체 한국 음식의 약 50%를 차지하는데, 주식을 보조하며 일상 섭취하는 보조음식으로 국류(탕), 전골ㆍ찌개류, 나물ㆍ생채류, 구이류, 조림ㆍ지짐이류, 볶음ㆍ족편ㆍ편육류, 쌈류, 김치류, 장아찌류, 젓갈ㆍ식혜류, 묵류, 두부류가 있다.
3) 조미료
양념류, 향신료에 해당하며 약 150가지로 장류, 식초류, 유지류, 조미ㆍ향신료(마늘, 후추, 산초, 생강, 고추)류 등을 들 수 있다.
4) 병과류와 음료
전체 한국 음식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는 병과류와 음료의 종류는 약 750여 가지가 있다. 떡류, 한과류, 엿류, 음청류(다류 포함), 주류 이외에 특수용도 음식인 궁중의례, 통과의례, 사찰의례 등에 이용되는 음식 등이다.
2. 전통음식의 내용
1) 일상식
(1) 주식
① 밥
㈀ 쌀밥
밥이란 곡물을 가열하여 조리한 음식으로 신석기시대 이후 토기를 만들면서 지어먹기 시작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당시의 토기는 흙을 빚어 그대로 말리거나 낮은 온도에서 구운 것이어서 음식에 흙냄새가 많이 났을 것을 여겨지며, 시루가 생기고 나서부터 곡물을 쪄서 먹게 되었다.
특히『삼국사기』에 보면 고구려 대무신왕 때 ‘솥에 밥을 짓는다’고 한 것으로 보아, 이미 삼국시대에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밥을 쇠솥에 지어먹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쇠솥이 점차 널리 보급되면서 ‘취반(炊飯)법’이 널리 퍼졌다.
㈁ 잡곡밥
‘쌀밥’이 나오는 문헌은『조선요리』(1940년)가 처음이며, 잡곡을 섞어서 지은 오곡밥ㆍ잡곡밥 등은 1800년대의 문헌에 나온다. 비빔밥과 장국밥은『시의전서』(1900년대 말)에 처음 나오며 쌀에 굴, 콩나물, 김치, 송이, 연어 등 부재료를 넣어 지은 밥은『조선요리』이후에 등장한다.
『임원십육지』,『취류지류』의 밥항에는 청정반ㆍ뉴반ㆍ혼돈반ㆍ반도반ㆍ주고반ㆍ금반ㆍ옥정반ㆍ감자반ㆍ죽실반의 아홉가지 밥짓기에 대한 내용 중에는 햅쌀의 벌레 없애기, 보리를 무르게 익히기, 밥 보관하기 등이 소개되어 있다.『옹희잡지』역시 밥 총론에서 밥 짓는 법, 보리를 무르게 익히기, 혼돈밥, 감자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잡곡밥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상용되었던 것은 보리밥으로 늦은 봄부터 가을까지 일반 서민들이 상용하였던 주식이다.
㈂ 오곡밥
오곡이란 원래 다섯가지의 중요한 곡식인 쌀, 보리, 조, 콩, 기장을 말하지만 지방에 따라 넣는 곡물이 다르기도 하다.『증보산림경제』에서는 조, 기장, 멥쌀, 콩, 밭 등을 섞어서 지은 밥을 ‘뉴반’이라고 하였고,『동국세시기』‘정월 상원’에는 오곡으로 잡곡밥을 지어 이웃과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다고 하였다.
㈃ 비빔밥
비빔밥은 반찬이 마땅치 않을 때 한 끼 식사로 간단히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비빔밥이 처음 나오는 문헌은 1800년대의 말의『시의전서』이다. 이 책에서는 ‘부
1. 전통음식의 종류
1) 주식
350여 가지 곡류를 중심으로 되어 있고 주식류는 밥류, 죽류, 미음ㆍ응이류, 국수ㆍ수제비류, 만두류, 떡국류 등 6가지로 분류한다.
2) 부식
약 1,500가지로 전체 한국 음식의 약 50%를 차지하는데, 주식을 보조하며 일상 섭취하는 보조음식으로 국류(탕), 전골ㆍ찌개류, 나물ㆍ생채류, 구이류, 조림ㆍ지짐이류, 볶음ㆍ족편ㆍ편육류, 쌈류, 김치류, 장아찌류, 젓갈ㆍ식혜류, 묵류, 두부류가 있다.
3) 조미료
양념류, 향신료에 해당하며 약 150가지로 장류, 식초류, 유지류, 조미ㆍ향신료(마늘, 후추, 산초, 생강, 고추)류 등을 들 수 있다.
4) 병과류와 음료
전체 한국 음식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는 병과류와 음료의 종류는 약 750여 가지가 있다. 떡류, 한과류, 엿류, 음청류(다류 포함), 주류 이외에 특수용도 음식인 궁중의례, 통과의례, 사찰의례 등에 이용되는 음식 등이다.
2. 전통음식의 내용
1) 일상식
(1) 주식
① 밥
㈀ 쌀밥
밥이란 곡물을 가열하여 조리한 음식으로 신석기시대 이후 토기를 만들면서 지어먹기 시작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당시의 토기는 흙을 빚어 그대로 말리거나 낮은 온도에서 구운 것이어서 음식에 흙냄새가 많이 났을 것을 여겨지며, 시루가 생기고 나서부터 곡물을 쪄서 먹게 되었다.
특히『삼국사기』에 보면 고구려 대무신왕 때 ‘솥에 밥을 짓는다’고 한 것으로 보아, 이미 삼국시대에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밥을 쇠솥에 지어먹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쇠솥이 점차 널리 보급되면서 ‘취반(炊飯)법’이 널리 퍼졌다.
㈁ 잡곡밥
‘쌀밥’이 나오는 문헌은『조선요리』(1940년)가 처음이며, 잡곡을 섞어서 지은 오곡밥ㆍ잡곡밥 등은 1800년대의 문헌에 나온다. 비빔밥과 장국밥은『시의전서』(1900년대 말)에 처음 나오며 쌀에 굴, 콩나물, 김치, 송이, 연어 등 부재료를 넣어 지은 밥은『조선요리』이후에 등장한다.
『임원십육지』,『취류지류』의 밥항에는 청정반ㆍ뉴반ㆍ혼돈반ㆍ반도반ㆍ주고반ㆍ금반ㆍ옥정반ㆍ감자반ㆍ죽실반의 아홉가지 밥짓기에 대한 내용 중에는 햅쌀의 벌레 없애기, 보리를 무르게 익히기, 밥 보관하기 등이 소개되어 있다.『옹희잡지』역시 밥 총론에서 밥 짓는 법, 보리를 무르게 익히기, 혼돈밥, 감자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잡곡밥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상용되었던 것은 보리밥으로 늦은 봄부터 가을까지 일반 서민들이 상용하였던 주식이다.
㈂ 오곡밥
오곡이란 원래 다섯가지의 중요한 곡식인 쌀, 보리, 조, 콩, 기장을 말하지만 지방에 따라 넣는 곡물이 다르기도 하다.『증보산림경제』에서는 조, 기장, 멥쌀, 콩, 밭 등을 섞어서 지은 밥을 ‘뉴반’이라고 하였고,『동국세시기』‘정월 상원’에는 오곡으로 잡곡밥을 지어 이웃과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다고 하였다.
㈃ 비빔밥
비빔밥은 반찬이 마땅치 않을 때 한 끼 식사로 간단히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비빔밥이 처음 나오는 문헌은 1800년대의 말의『시의전서』이다. 이 책에서는 ‘부
추천자료
전통 장의 종류와 효능
[일본전통가면극 노]일본전통가면극 노의 의미, 일본전통가면극 노의 분류, 일본전통가면극 ...
[국악기,전통악기]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원리,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주제에 따른 분류, ...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정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원리, 국악(한국전통음악)과 국악...
[한복][한국전통의상][전통복식]한복(한국전통의복)의 의의, 한복(한국전통의복)의 종류와 여...
전통염료염색(식물염료염색, 천연염료염색) 의미, 전통염료염색(식물염료염색, 천연염료염색)...
한국무용(전통무용, 민속무용, 전통춤) 성격과 종류, 한국무용(전통무용, 민속무용, 전통춤) ...
국악(한국전통음악) 종류와 특징, 국악(한국전통음악) 관련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
일본음식의 역사 및 종류와 특징 총체적 조사분석
전통놀이(민속놀이)의 개념, 전통놀이(민속놀이)의 종류, 전통놀이(민속놀이)와 세시풍속, 전...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의 생성배경, 종류,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의 의의, 활성화자료, ...
[전통결혼 분석] 전통혼례 - 전통혼례의 절차와 종류, 전통혼례 방법 및 전통 혼례에 대한 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