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한국전통음악) 종류와 특징, 국악(한국전통음악) 관련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의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현황,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한국전통음악) 제언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악(한국전통음악) 종류와 특징, 국악(한국전통음악) 관련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의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현황,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한국전통음악) 제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종류
1. 아악
2. 취타
3. 실내악
4. 무용곡
5. 산조
6. 가곡
7. 가사
8. 시조
9. 창극조
10. 무용가
11. 통속가

Ⅱ. 국악(한국전통음악)의 특징
1. 장사훈의 이론
2. 기보법에 의한 음악의 특징 고찰
3. 가락구성 요소의 차이
1) 음계의 차이점
2) 장단과 박자의 차이점

Ⅲ. 국악(한국전통음악) 관련 용어
1. 궁중음악 밑도드리
2. 가야금 병창 녹음방초, 심청가중 방아타령
1) 녹음방초
2) 심청가중 방아타령
3. 민속무용 승무
4. 서도입창 놀량, 앞산타령, 뒷산타령, 경발림
1) 놀량
2) 앞산타령
3) 뒷산타령
4) 경발림
5. 아쟁독주 아쟁산조
6. 단가, 판소리 사철가, 흥보가
7. 궁중음악 함녕지곡
8. 궁중무용 사선무
8. 가곡 언락, 편락
1) 언락
2) 편락
9. 창작국악 거문고 독주/달무리
10. 남도민요 육자백이
1) 육자백이
2) 자진 육자백이
3) 삼산은 반락
4) 개고리 타령
11. 민속음악 사물놀이

Ⅳ. 국악기의 분류와 종류
1. 분류
1) 음악 계통에 의한 분류
2) 제작 재료에 따른 분류법
3) 연주법에 따른 분류
2. 종류
1) 해금
2) 아쟁
3) 대금
4) 피리
5) 장고
6) 좌고
7) 진고

Ⅴ. 국악(한국전통음악)과 박연의 율관

Ⅵ.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국내공연 현황

Ⅶ.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Ⅷ. 향후 국악(한국전통음악) 관련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음계의 차이점
우리의 음계인 12율은 서양의 12음계와 비슷할 뿐 똑 같지는 않다. 한 옥타브를 1,200센트(cent)로 하여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이 음률론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서양 음악의 평균율 음계의 5음계(Pentatonic Scale)와 우리 음악 중에서 민요에 주로 쓰이는 5음계를 비교해서 음계 구성 모양, 즉 음의 간격이 어떻게 차이점을 보여 주는지 알아보기로 하자. 우리 음계를 오선보에 기보한 것은 실제의 음고와는 다르며, 다만, 비교해 보기 위하여 기록하였을 뿐이다. 우리 음악은 음계와의 간격이 서양 음악과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데도 예컨대, 우리의 민요 ‘아리랑’을 오선보에 의하여 서양 악기로 연주하기도 하고 노래를 부른다면, 우리의 ‘아리랑’이 우리 음악의 멋을 없어져 버리고, 서양 ‘아리랑’이 되고 마는 것이다.
2) 장단과 박자의 차이점
음악에서 빠르기(Tempo)는 음악의 느낌을 결정지어 주는 요소이다. 즉, 느린 곡은 조용하며 졸음을 오게 하고 보통 빠르기의 곡은 평온한 느낌을 주고, 빠른 곡은 명랑하고 흥분된 느낌을 준다. 그런데, 이 빠르기를 서양음악에서는 『박자』, 우리 음악에서는『장단』으로 발전된 것이다. 그러나 서양음악의 『박자』와 우리 음악의 『장단』은 근본적으로 그 개념이 서로 다른 것이다.
서양음악의 박자는 염통에, 우리 음악은 허파에 근원을 두고 있다. 그래서 서양음악에서는 음악의 빠르기의 근원을 염통에 두고 있으므로 염통은 맥박을 만들고, 맥박에서 박자가 생성된 음악이다. 우리의 국악에서는 음악의 바르기의 근원을 허파에 두고 있으므로 허파는 호흡을 만들고 호흡에서 장단이 생성된 음악인 것이다. 우리의 『장단』은 한 호흡 중에 리듬과 강약이 변화되면서 여러 가지 장단이 생성되는 것인데, 이를 한 장단이라고 하며, 그 변화하는 생김새와 빠르기에 따라 장단의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예를 들어보면, 느린 것을 옛말로 ‘질다. (길다)’는 뜻으로 가장 느린 장단을 『진양조』라고 하며, 보통 빠른 것을 『중모리』라고 하고 빠른 것을 ‘휘몰아친다’고 『휘모리』라고 하며. ‘긴’은 느림이며, ‘자진’은 빠름을 뜻하는데, 빠른 장단에『자진모리』가 있다. 우리의 장단은 이와 같은 이치로 생성된 것이다. 서양의 박자는 강약과 리듬의 생김새를 의미하고 있으며, 빠르기는 별도로 Andante, Moderato … 등과 같은 음악 용어를 쓰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장단은 강약과 리듬의 생김새는 물론, 음악의 빠르기까지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음악의 장단은 서양음악의 박자 보다 여러 가지로 엄청나게 발전하였다. 우리 음악의 장단이 여러 형태로 변화 발전되면서 연주자의 감정을 최대한으로 다양하게 표현하는 그야말로 즉흥성이 아주 높은 리듬음악이요, 신명의 음악이다.
Ⅲ. 국악(한국전통음악) 관련 용어
1. 궁중음악 밑도드리
도드리에는 밑도드리와 웃도드리의 두 가지가 있다. 원래는 도드리만 있었으나 한 옥타브 위로 올려 변주한 웃도드리가 생기면서 밑도드리란 곡명이 되었다. 밑도드리는 수연장지곡이란 아명을 갖고 있으며 웃도드리는 송구여지곡이란 딴 이름이 있다.
* 감상
왼쪽 뒷편부터 6개의 횡적과 5개의 종적, 장고, 북의 배열이며 그 외엔 모두 현악기로 왼쪽의 현들은 손으로 연주 되었으며 오른쪽 현들은 술대로 연주되었다. 박은 1번 침으로 시작을, 3번으로 끝을 알렸다. 우리 음악의 특징 중 하나인 느림에서 빠름으로의 흐름은 없었으며 전체적으로 일정한 박자로 평이하게 흘렀다. 궁중 음악으로서의 장엄함을 느낄 수 있었다.
2. 가야금 병창 녹음방초, 심청가중 방아타령
병창이란 단가나 판소리의 한 대목을 따로 떼어 자신이 직접 악기를 연주하며 그 반주에 맞추어 노래 부르는 연주방식을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가야금병창을 일컫는다. 여성의 부드럽고 맑은 음색과 가야금의 아름다운 가락이 함께 어우러지는 특이한 음악형식이다.
1) 녹음방초
녹음방초 성화시에 해는 어이 더디간고 그달 그믐 다 보내고 오월이라 단오일은 천중지가절이요 일지지 창외하여 창창한 숲 속의 백설이 잘았구나 때때마다 성언앞에 산양자치 나단말가 광풍제월 너른천지 연비어약 허는구나 백구야 날지마라 너 잡을 내 안간다 성상이 버렸으메 너를 쫓아 여기왔다 강상에 터를 닦어 구목위소 허여두고 나물먹고 물마시고 팔을베고 누웠으니 대장부 살림살이 이만허면 넉넉한가 일촌간장 맺힌 설움 부모님 생각뿐이로구나 옥창앵도 붉었으니 원정부지 이별이야 송백수양 푸른가지 높다랗게 그네 매고 녹의홍상 미인들은 오락가락 노니난데 우리 벗님 어디가고 단오시절인줄 모르는구나 그달 그믐 다 보내고 유월이라 유두일의 건곤은 유의하야 양신이 생겼어라 홍노유금 되었으니 나도 미리 피서하야 어데로 가자느냐 갈곳이 막연쿠나 한 곳을 점점 들어가니 조그만한 법당안에 중들이 모여서서 제맞이를 하느라고 어떤 중은 꽝쇠들고 또 어떤 중은 바라들고 어떤 중은 목탁을 들고 조그마한 상좌하나 다래멍덩 큰북채를 양손에 갈라쥐고 큰북은 두리둥둥 꽝쇠는 콰광쾅바라는 촤르르르 목탁 따그락 똑딱 탁좌앞에 늙은 노승하나 가사 착복으로 지게매고 꾸북꾸북 예불을 허니 연사모종이라고 허는데요 저절로 찾아가서 제맞이 밥이나 많이 얻어먹고 우리 고향을 어서 가세
2) 심청가중 방아타령
[아니리]
그때여 심봉사 황성길을 올라갈제 한마을에 당도허니 때마침 농방기라 그 마을에 부인들이 방아를 찧거날 심봉사 점심을 얻어 먹을량으로 부인들과 방아를 한 번 찧여보난디
[중중모리]
어유아 방아요 어유아 방아요 떠크덩떵 잘 찧는다
어유아 방아요 이 방아가 뉘 방아 강태공의 조작이로다
어유아 방아요 태고라 천황씨는 이목떡으로 왕 허였으니 남기안이 중헐씨고
어유아 방아요 유소씨 구목위소이런 나무로 집 지셨나 어유아 방아요
어유아 방아요 떨크덩떵 잘 찧는다
어유아 방아요 옥빈홍안의 비녈는가 가는 허리여 잠이 질렀구나
어유아 방아요 머리 들어서 오르는 양은 창해노룡이 성을 낸 듯 머리 숙여 내린 양은 주문왕의 돈술는가
어유아 방아요 길고 가는 허리를 보니 초왕 궁녀에 허릴는가
어유아 방아요 떨크떵덩 잘 찧는다 어유아 방아요 오거대부 죽은 후에 방아소리가
  • 가격7,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09.2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23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