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1
Ⅱ. 본론
1. 간호력 ------------------------------ 1
2. 수술 전 간호사정 ---------------------- 2
3. 수술 전 진단명 ------------------------ 2
4. 수술명 ------------------------------- 5
5. 수술 중 간호활동 ----------------------- 8
Ⅲ. 결론 --------------------------------- 10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분석> --- 11
<실습 목표 및 달성> ------- 12
Ⅱ. 본론
1. 간호력 ------------------------------ 1
2. 수술 전 간호사정 ---------------------- 2
3. 수술 전 진단명 ------------------------ 2
4. 수술명 ------------------------------- 5
5. 수술 중 간호활동 ----------------------- 8
Ⅲ. 결론 --------------------------------- 10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분석> --- 11
<실습 목표 및 달성> ------- 12
본문내용
준다.
기구를 정리하고 drainage에 드레싱 후 EB로 감아주고 sprint를 다시 대준다.
환자는 병동으로 transfer 시킨다.
5. 수술 중 간호활동
수술체위 : 변형된 lithotomy position
마취종류 : 경막외 마취(epidural anes.)
마취제 : 2% lidocaine, 0.75% naropin, fentanyl
피부준비범위 : 슬관절 주변 10cm 정도 shaving
피부소독제 : 7.5% soap, 70% alcohol, 10% betadine
동정맥 확보 : N/S로 정맥 확보 (18G)
유치도뇨 : 없음
경막외 마취란?
1. 적응증
척추마취가 적용되는 경우, 장시간의 수술, 무통분만 등의 산과 마취, 술후의 통증관리
2. 금기증
중추신경계의 종양 및 감염, 척추 및 척추천자부위의 감염, 패혈증, 중증심부전증, 출혈성 경향의 환자.
3. 마취약물
2% lidocaine, 0.75% naropin, fentanyl
4. 경막외 마취를 결정하는 인자
국소마취제의 용량, 주입속도, 천자부위
5. 주의점
시험 주입량으로 약 3㎖의 국소마취제를 주입하여 약 2분 후 경막외강에 들어갔는지 의 여부를 확인한다. 경막외강에 들어갔을 경우 하지의 운동에 전혀 지장없으나 경막내 로 주입되면 하지의 운동이 마비된다. 경막이 천자된 경우 다른 부위에서 경막외 천자 를 시도 할 수 있다. 마취의 높이가 너무 높은 경우의 증상 및 처치는 척추마취와 같지 만 요구하는 높이의 Level을 조절하기가 척추마취보다 어렵다. 마취 시작 후 마취의 발 현은 척추마취보다 훨씬 느리다.
6. 카테터 삽입법
바늘의 사면은 카테터를 삽입하는 방향으로 하며 주사침을 통하여 카테터를 약 10cm 정도 삽입한 후 카테터가 빠지지 않도록 하면서 주사침을 제거한 후 카테터가 경막외강 에 3-4cm 정도 남아있도록 천천히 뒤로 뽑는다.
카테터가 경막외강에 들어간 후에는 반드시 흡인하여 척수액, 혈액의 누출이 없음을 확인한다.
7. 합병증
혈압강하, 국소마취제의 중독, 호흡억제, 전 척추마취, 천자부위의 동통, 오심, 구토 등
투여된 마취 약물
1. 2% ridocaine
성분 : lidocaine hydrochloride 2%
적응증 : 마취 - 경막외 마취, 전달마취, 침윤마취, 표면마취
내과적 사용 - 심실성 부정맥
금기 : 경막외 마취 - 중독한 출혈 또는 쇽 상태의 환자, 주사부위 또는 그주위에 염 증, 패혈증, 아미드계 국소마취제에 과민증자
내과적 사용 - 중증의 자극전도장애, 아미드계 국소마취제에 과민증자
2. naropin
성분 : ropivacaine hydrochloride 7.5mg/mL
적응증 : 수술 시 마취 : 제왕절개를 포함한 수술시의 경막외 마취, 전달마취, 침윤마취
급성통증의 조절 : 수술 후 통증 또는 출산 통증 시 연속적인 경막외 점적주 사 또는 간헐적 단발 투여, 전달마취, 침윤마취
금기 : 아미드계 국수마취제에 과민증 기왕력자
3. fentanyl
성분 : fentanyl
적응증 : 마취시, 마취전 투약, 마취유도, 마취유지 및 수술 직후 같은 경우에 단시간의 진통, 전신 또는 국소마취시 마약성 진통보조제, droperidol과 같은 신경이완제 와 병용하여 마취유도, 국소 또는 전신마취ㅣ 마취유지를 위한 마취전 투약제, 개심술, 복잡한 신경게 및 정형외과 수술과 같은 선택된 고위험 환자군에서 산 소와 병행하여 마취제로 사용
금기 : 근이완제 금기자, 본제 과민증자, 두부외상, 뇌종양 등으로 인한 혼수상태양 호흡억제 경향자, 경련발작 기왕력자, 외래환자, 2세 이하 유소아, 천식.
Ⅲ. 결론
이번에 내가 case 대상자로 잡은 조○○씨는 성공적으로 수술이 끝났고 앞으로 한 달간은 다리를 디디면 안 된다는 의사의 통보를 받았다. 3병동에 입원 후 관리중이다.
이 case를 학습하면서 많은 것을 알고 느꼈다. 일단 관절경의 적응증이나 절차, 단점과 장점 및 합병증 등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수술 전 어떠한 간호를 하며 경막외 마취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마취에 대해서 공부하면서 여러 가지 마취법에 대해 학습하게 되었다.
그리고 knee 부위에 대한 anatomy도 보다 자세히 알게 되었고 반월상 연골이 파열되게 되는 손상기전과 손상형태, 그리고 증상 및 진단검사의 종류 및 방법, 치료 등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분석>
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순환 간호사의 활동
소독 간호사의 활동
해부, 생리, 수술 절차 고찰
수술실 준비 보조
무균술 실시, 다른 사람활동을 모니터 함, 필요한
물품의 준비와 멸균상태 확인, 기계 및 전기
장비와 환경적 요소 확인, 작업 순서에 맞게
기구 배열
대상자 확인과 사정, 수술실내 간호 계획 수립 및
조율
차트와 관련 자료 점검
수술실로 온 대상자 받기
수술실 침대로 대상자를 옮길 때 참여
감시 장치들 삽입과 부착 시 참여
마취 유도하는 동안 대상자 보호
대상자 체위 유지
무균이 요구되는 모든 활동 감시
수술실 내 간호 기록
조직 검사물과 배양물의 기록, 라벨, 적절한 장소
에 보내기
혈액과 수분 손실 측정
국소 마취에 사용된 약물의 양 기록
팀 구성원과 다른 의료 관련 인원과 부서와 함께
수술실내 모든 활동 조율
스폰지, 바늘, 기구 개수 세기
마취 후 회복실로 대상자 동반
회복실 간호사에게 적절한 정보 보고
해부, 생리, 수술 절차 고찰
수술실의 준비 돕기
외과적 손씻기 및 소독 가운과 장갑 착용
수술 팀의 다른 구성원의 소독 가운과 장갑 착용
기구상을 준비하고 멸균된 기구를 기능적으로 사
용할 수 있도록 배치
소독방포로 대상자 덮는 절차 도움
기구를 의사에게 전달하고 미리 필요한 요구를
파악하여 돕기
스폰지, 바늘, 기구 개수 세기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무균술 실행을 모니터 함
혈액 손실의 계산을 위해 세척 용액을 기록 함
마취의가 사용한 국소 마취제와 에피네프린 용액
의 양 보고
<실습 목표 및 달성>
임상실습 목표
목표달성
수술 도구 및 기구
이번 실습을 통하면서 정말 많은 기구들 접하게
기구를 정리하고 drainage에 드레싱 후 EB로 감아주고 sprint를 다시 대준다.
환자는 병동으로 transfer 시킨다.
5. 수술 중 간호활동
수술체위 : 변형된 lithotomy position
마취종류 : 경막외 마취(epidural anes.)
마취제 : 2% lidocaine, 0.75% naropin, fentanyl
피부준비범위 : 슬관절 주변 10cm 정도 shaving
피부소독제 : 7.5% soap, 70% alcohol, 10% betadine
동정맥 확보 : N/S로 정맥 확보 (18G)
유치도뇨 : 없음
경막외 마취란?
1. 적응증
척추마취가 적용되는 경우, 장시간의 수술, 무통분만 등의 산과 마취, 술후의 통증관리
2. 금기증
중추신경계의 종양 및 감염, 척추 및 척추천자부위의 감염, 패혈증, 중증심부전증, 출혈성 경향의 환자.
3. 마취약물
2% lidocaine, 0.75% naropin, fentanyl
4. 경막외 마취를 결정하는 인자
국소마취제의 용량, 주입속도, 천자부위
5. 주의점
시험 주입량으로 약 3㎖의 국소마취제를 주입하여 약 2분 후 경막외강에 들어갔는지 의 여부를 확인한다. 경막외강에 들어갔을 경우 하지의 운동에 전혀 지장없으나 경막내 로 주입되면 하지의 운동이 마비된다. 경막이 천자된 경우 다른 부위에서 경막외 천자 를 시도 할 수 있다. 마취의 높이가 너무 높은 경우의 증상 및 처치는 척추마취와 같지 만 요구하는 높이의 Level을 조절하기가 척추마취보다 어렵다. 마취 시작 후 마취의 발 현은 척추마취보다 훨씬 느리다.
6. 카테터 삽입법
바늘의 사면은 카테터를 삽입하는 방향으로 하며 주사침을 통하여 카테터를 약 10cm 정도 삽입한 후 카테터가 빠지지 않도록 하면서 주사침을 제거한 후 카테터가 경막외강 에 3-4cm 정도 남아있도록 천천히 뒤로 뽑는다.
카테터가 경막외강에 들어간 후에는 반드시 흡인하여 척수액, 혈액의 누출이 없음을 확인한다.
7. 합병증
혈압강하, 국소마취제의 중독, 호흡억제, 전 척추마취, 천자부위의 동통, 오심, 구토 등
투여된 마취 약물
1. 2% ridocaine
성분 : lidocaine hydrochloride 2%
적응증 : 마취 - 경막외 마취, 전달마취, 침윤마취, 표면마취
내과적 사용 - 심실성 부정맥
금기 : 경막외 마취 - 중독한 출혈 또는 쇽 상태의 환자, 주사부위 또는 그주위에 염 증, 패혈증, 아미드계 국소마취제에 과민증자
내과적 사용 - 중증의 자극전도장애, 아미드계 국소마취제에 과민증자
2. naropin
성분 : ropivacaine hydrochloride 7.5mg/mL
적응증 : 수술 시 마취 : 제왕절개를 포함한 수술시의 경막외 마취, 전달마취, 침윤마취
급성통증의 조절 : 수술 후 통증 또는 출산 통증 시 연속적인 경막외 점적주 사 또는 간헐적 단발 투여, 전달마취, 침윤마취
금기 : 아미드계 국수마취제에 과민증 기왕력자
3. fentanyl
성분 : fentanyl
적응증 : 마취시, 마취전 투약, 마취유도, 마취유지 및 수술 직후 같은 경우에 단시간의 진통, 전신 또는 국소마취시 마약성 진통보조제, droperidol과 같은 신경이완제 와 병용하여 마취유도, 국소 또는 전신마취ㅣ 마취유지를 위한 마취전 투약제, 개심술, 복잡한 신경게 및 정형외과 수술과 같은 선택된 고위험 환자군에서 산 소와 병행하여 마취제로 사용
금기 : 근이완제 금기자, 본제 과민증자, 두부외상, 뇌종양 등으로 인한 혼수상태양 호흡억제 경향자, 경련발작 기왕력자, 외래환자, 2세 이하 유소아, 천식.
Ⅲ. 결론
이번에 내가 case 대상자로 잡은 조○○씨는 성공적으로 수술이 끝났고 앞으로 한 달간은 다리를 디디면 안 된다는 의사의 통보를 받았다. 3병동에 입원 후 관리중이다.
이 case를 학습하면서 많은 것을 알고 느꼈다. 일단 관절경의 적응증이나 절차, 단점과 장점 및 합병증 등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수술 전 어떠한 간호를 하며 경막외 마취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마취에 대해서 공부하면서 여러 가지 마취법에 대해 학습하게 되었다.
그리고 knee 부위에 대한 anatomy도 보다 자세히 알게 되었고 반월상 연골이 파열되게 되는 손상기전과 손상형태, 그리고 증상 및 진단검사의 종류 및 방법, 치료 등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분석>
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순환 간호사의 활동
소독 간호사의 활동
해부, 생리, 수술 절차 고찰
수술실 준비 보조
무균술 실시, 다른 사람활동을 모니터 함, 필요한
물품의 준비와 멸균상태 확인, 기계 및 전기
장비와 환경적 요소 확인, 작업 순서에 맞게
기구 배열
대상자 확인과 사정, 수술실내 간호 계획 수립 및
조율
차트와 관련 자료 점검
수술실로 온 대상자 받기
수술실 침대로 대상자를 옮길 때 참여
감시 장치들 삽입과 부착 시 참여
마취 유도하는 동안 대상자 보호
대상자 체위 유지
무균이 요구되는 모든 활동 감시
수술실 내 간호 기록
조직 검사물과 배양물의 기록, 라벨, 적절한 장소
에 보내기
혈액과 수분 손실 측정
국소 마취에 사용된 약물의 양 기록
팀 구성원과 다른 의료 관련 인원과 부서와 함께
수술실내 모든 활동 조율
스폰지, 바늘, 기구 개수 세기
마취 후 회복실로 대상자 동반
회복실 간호사에게 적절한 정보 보고
해부, 생리, 수술 절차 고찰
수술실의 준비 돕기
외과적 손씻기 및 소독 가운과 장갑 착용
수술 팀의 다른 구성원의 소독 가운과 장갑 착용
기구상을 준비하고 멸균된 기구를 기능적으로 사
용할 수 있도록 배치
소독방포로 대상자 덮는 절차 도움
기구를 의사에게 전달하고 미리 필요한 요구를
파악하여 돕기
스폰지, 바늘, 기구 개수 세기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무균술 실행을 모니터 함
혈액 손실의 계산을 위해 세척 용액을 기록 함
마취의가 사용한 국소 마취제와 에피네프린 용액
의 양 보고
<실습 목표 및 달성>
임상실습 목표
목표달성
수술 도구 및 기구
이번 실습을 통하면서 정말 많은 기구들 접하게
추천자료
상피조직과 결합조직
골관절염의 통증관리
귀의 해부구조와 생기는 질환, 수술방법
정형외과 학습내용
인공슬관절치환술(TKR),인공고관절치환술(THR) 환자의 간호관리
류마티스관절염과 골관절염의 차이점
정형외과 고관절,슬관절 치환술 간호
골종양 대상자 간호
비중격만곡증(Nasal septal deviation)과 수술적 치료
부비동염(Sinusitis)과 부비동내시경수술(ESS)
[의약학] [성인간호학][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성인간호학case study-류마티스 관절염
[관절질환-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과 골관절염의 증상과 원인 및 치료방법, 식이요법
[골격계 질환] 근골격계 질환(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통풍)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