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본문내용
2.12) - 1937. 9. 제2차 국공합작의 공식선언 : 일본의 관동군에 저항
* 항일전쟁승리 후 국공내전의 치열 : 1945년 국민당 430만, 공산당 220만(정규군 91만)
중화인민공화국의 발전
1.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
1) 중국공산당의 대륙지배 : 2차세계대전 종식 후 국공대립 격화 : 대일항쟁(1937-45)- 국민당 430만, 공산당 128만 - 후일 일본군 무장해제를 선점하기 위한 각축전도 벌임
* 1945년 10.10 중경회담, 국공내전 종식토의, 그러나 실패. 소련의 공산당 지원(45.8.9 대일선전포고 후 만주점령)
*1947년 전반기 고비 : 공산측의 우세 - 林彪의 동북야전군, 鄧小平의 華北야전군, 彭德懷의 팔로군 등의 활약
* 1949년 8.1. 장개석 - 50만 병사, 200만 피난민 - 대만으로 철수
2)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 : 1949. 10. 1.
* 1949. 9. 21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개최 - 임시헌법 중화인민공화국 공동강령 제정(모택동사상의 결정체라고도 함)
* 국가성격 : 인민민주주의국가, 노동자계급을 지도자로 하고, 제국주의, 봉건주의, 관료자본주의반대.
** 스스로 평가하길, “독립과 통일과 인민이 국가의 주인됨을 선포, 사회주의노선
세계사적으로는 제국주의돌파, 러시아혁명과 반파시스트전쟁 승리후 세계역사상 가장 중대한 사건이라 자칭
* 五星紅旗 : 중국공산당, 노동자, 농민, 소자본가, 민족자본가 상징
* 국가최고기관 : 전국인민대표대회(全人代) : 임기 4년, 매년 1차 소집, 입법기관, 주석선출
全人代 폐회 중에는 전인대 상무위원회80인이 직무수행
* 실권 : 공산당 중앙위원(정위원, 후보위원) - 정치국 운영(7인의 상무위원회)
국가주석, 당서기, 국무원총리, 정치국상무위원 등
3) 공산당의 대중지배와 人民단체 : 6개 大區域(동북: 심양, 화북:북경, 화동:상해, 중남:무한, 서남:중경, 서북:서안)
중앙위원회 - 6개 대구역 - 20여개의 省 - 258개의 특별구 위원회 - 2200여개 현 : 전체 100만개 이상의 지부위원회 : 중국역사상 철저하게 중앙권력을 향촌에 침투케 함
* 티베트 점령(스스로는 해방이라 칭함) : 1951년
4) 한국전쟁 참가와 국내개혁 추진 : 중국 내부의 긴장 - 사회주의체제의 강화 필요성
* 중공 스스로 건국초기 3대 운동 : 抗美援朝, 토지개혁운동, 반혁명운동 진압
2. 사회주의 개혁 운동
1) 1949-1957 : 8년간 토지개혁과 사회개혁운동
* 토지개혁 : 지주와 佃戶의 구조개혁. 지주와 향신의 소멸과 계획경제
지주계급 12등급(지주-몰락지주): 1-6등급 처형, 7-12등급 체포
농민 : 6등급(부동-빈농) - 토지분배 2-3 畝
* 사회개조운동 : 1950년 새로운 혼인법 발효 - 남녀평등, 축첩금지, 일부일처제
三反(汚職, 낭비, 관료주의), 五反(뇌물, 탈세, 횡령, 詐欺, 국가경제기밀 탐지)
2) 집단농장과 인민공사제도
* 집단농장(1954-57) : 초급합작사(10호-40호), 고급합작사(160-170호) - 집단소유와 노동에 따른 분배
* 인민공사 : 1958년 하남성 遂平縣 新鄕에서 시작. 공동경장, 공공식당에서 무료식사
생산대대와 생산대로 구성. 74만여개의 고급합작사 산하에 26,000 여 인민공사 설치 - 1억2천만호 가입 : 이 조직은 생산조직이면서 행정조직적 성격. 후일 생산의욕감퇴, 농업생산력 약화
3) 대약진운동과 공산주의 개혁의 한계
* 1958년 1월 - 1961년까지 대약진운동의 전개 : 대중적인 기술혁신, 지방공업의 건설, 대규모 수리시설 - 사회주의건설의 총노선. 철강증산운동 (620만톤을 2년만에 3000만톤으로 목표설정). 그러나 자연재해와 식량부족(1959년 1억7천만톤: 1954년 수준, 인구는 1억이상 증가), 소련 원조 중단: 팽덕회(국방장관)의 비판- 오히려 숙청. 이 기간 중 사망자 1600만02700만명.
** 스스로도 嚴重失誤라 평가함.
* 1962년 1월 七全人代 : 모택동과 임표 : 유소기, 등소평, 陣雲과의 대립
3. 문화대혁명
* 전통문화의 파괴, 새로운 공산주의 사회건설 : 시작은 姚文元(당시 상해 文匯報의 부편집장)이 1965년 11월 10일 文匯報에 발표한 “海瑞罷官을 다시 논함(評新編歷史劇海瑞罷官)”이란 글이 기점. 海瑞罷官의 작자 吳(전 북경시 부시장: 1959.6. 인민일보에 해서의 억울함을 발표)을 부르조아로 비판하고, 실제로는 팽덕회를 海瑞로, 모택동을 명 세종으로 묘사함.
* 모택동의 走資派(우파)제거 의도.
* 중공중앙정치국 확대회의 및 8차11中全會에서 文革을 시작하는 5.16 通知와 中共中央關于無産階段文化大革命決定, 당내의 走資本主義道路的當權派 제거가 목적. 유소기와 등소평에 대한 비판.
* 陳伯達, 康生, 江靑, 張春橋 등이 만든 中央文革小組가 지휘부.
* 홍위병 동원(1966-69년 활동 마무리)
** 상해 一月혁명 : 1967년 장춘교, 요문원 등이 지휘하면서 당권을 장악시도.
** 2월 逆流 : 진의, 섭검영 등이 문혁의 착오를 비판
** 당 역사상 최대의 寃案 : 유소기를 叛徒, 內奸, 工賊이라 하여 숙청(1986년 開封에서 옥사함)
* 破四舊 : 文化, 思想, 風俗, 習慣
* 立四新 : 王洪文, 張春橋, 江靑, 姚文元 4인방
* 1974. 2. 批林批孔운동(임표와 주은래 공격)
* 1976년 1월 주은래 사망 - 천안문사건(76. 4.5.)
* 1976.9.9 모택동 사망- 화국봉집권
* 1977.8. 문화대혁명 종결 : 경제적 손실을 5000억원
* 1980. 8. 경제특구지정 : 廈門, 深, 珠海, 仙頭
* 1984년 8월 경제기술개발구지정 14개 연해지역
< 참고문헌 >
中國人의 사유방법, 까치출판사, 1990 - 中村 元지음/김지견 옮김,
인간과 신화, 지식산업사, 1985 - H. G. Creel/이성규 옮김, 공자
생애와 사상, 서광사, 1991 - 카이즈카 시게키(貝塚茂樹)/박연호 옮김, 공자
중국고대의 사상가들, 까치출판사, 1989 - 貝塚茂樹/김석근 옮김, 제자백가
중국의 역사, 문예출판사, 1997 - Wolfram Eberhard/최효선 옮김
* 항일전쟁승리 후 국공내전의 치열 : 1945년 국민당 430만, 공산당 220만(정규군 91만)
중화인민공화국의 발전
1.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
1) 중국공산당의 대륙지배 : 2차세계대전 종식 후 국공대립 격화 : 대일항쟁(1937-45)- 국민당 430만, 공산당 128만 - 후일 일본군 무장해제를 선점하기 위한 각축전도 벌임
* 1945년 10.10 중경회담, 국공내전 종식토의, 그러나 실패. 소련의 공산당 지원(45.8.9 대일선전포고 후 만주점령)
*1947년 전반기 고비 : 공산측의 우세 - 林彪의 동북야전군, 鄧小平의 華北야전군, 彭德懷의 팔로군 등의 활약
* 1949년 8.1. 장개석 - 50만 병사, 200만 피난민 - 대만으로 철수
2)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 : 1949. 10. 1.
* 1949. 9. 21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개최 - 임시헌법 중화인민공화국 공동강령 제정(모택동사상의 결정체라고도 함)
* 국가성격 : 인민민주주의국가, 노동자계급을 지도자로 하고, 제국주의, 봉건주의, 관료자본주의반대.
** 스스로 평가하길, “독립과 통일과 인민이 국가의 주인됨을 선포, 사회주의노선
세계사적으로는 제국주의돌파, 러시아혁명과 반파시스트전쟁 승리후 세계역사상 가장 중대한 사건이라 자칭
* 五星紅旗 : 중국공산당, 노동자, 농민, 소자본가, 민족자본가 상징
* 국가최고기관 : 전국인민대표대회(全人代) : 임기 4년, 매년 1차 소집, 입법기관, 주석선출
全人代 폐회 중에는 전인대 상무위원회80인이 직무수행
* 실권 : 공산당 중앙위원(정위원, 후보위원) - 정치국 운영(7인의 상무위원회)
국가주석, 당서기, 국무원총리, 정치국상무위원 등
3) 공산당의 대중지배와 人民단체 : 6개 大區域(동북: 심양, 화북:북경, 화동:상해, 중남:무한, 서남:중경, 서북:서안)
중앙위원회 - 6개 대구역 - 20여개의 省 - 258개의 특별구 위원회 - 2200여개 현 : 전체 100만개 이상의 지부위원회 : 중국역사상 철저하게 중앙권력을 향촌에 침투케 함
* 티베트 점령(스스로는 해방이라 칭함) : 1951년
4) 한국전쟁 참가와 국내개혁 추진 : 중국 내부의 긴장 - 사회주의체제의 강화 필요성
* 중공 스스로 건국초기 3대 운동 : 抗美援朝, 토지개혁운동, 반혁명운동 진압
2. 사회주의 개혁 운동
1) 1949-1957 : 8년간 토지개혁과 사회개혁운동
* 토지개혁 : 지주와 佃戶의 구조개혁. 지주와 향신의 소멸과 계획경제
지주계급 12등급(지주-몰락지주): 1-6등급 처형, 7-12등급 체포
농민 : 6등급(부동-빈농) - 토지분배 2-3 畝
* 사회개조운동 : 1950년 새로운 혼인법 발효 - 남녀평등, 축첩금지, 일부일처제
三反(汚職, 낭비, 관료주의), 五反(뇌물, 탈세, 횡령, 詐欺, 국가경제기밀 탐지)
2) 집단농장과 인민공사제도
* 집단농장(1954-57) : 초급합작사(10호-40호), 고급합작사(160-170호) - 집단소유와 노동에 따른 분배
* 인민공사 : 1958년 하남성 遂平縣 新鄕에서 시작. 공동경장, 공공식당에서 무료식사
생산대대와 생산대로 구성. 74만여개의 고급합작사 산하에 26,000 여 인민공사 설치 - 1억2천만호 가입 : 이 조직은 생산조직이면서 행정조직적 성격. 후일 생산의욕감퇴, 농업생산력 약화
3) 대약진운동과 공산주의 개혁의 한계
* 1958년 1월 - 1961년까지 대약진운동의 전개 : 대중적인 기술혁신, 지방공업의 건설, 대규모 수리시설 - 사회주의건설의 총노선. 철강증산운동 (620만톤을 2년만에 3000만톤으로 목표설정). 그러나 자연재해와 식량부족(1959년 1억7천만톤: 1954년 수준, 인구는 1억이상 증가), 소련 원조 중단: 팽덕회(국방장관)의 비판- 오히려 숙청. 이 기간 중 사망자 1600만02700만명.
** 스스로도 嚴重失誤라 평가함.
* 1962년 1월 七全人代 : 모택동과 임표 : 유소기, 등소평, 陣雲과의 대립
3. 문화대혁명
* 전통문화의 파괴, 새로운 공산주의 사회건설 : 시작은 姚文元(당시 상해 文匯報의 부편집장)이 1965년 11월 10일 文匯報에 발표한 “海瑞罷官을 다시 논함(評新編歷史劇海瑞罷官)”이란 글이 기점. 海瑞罷官의 작자 吳(전 북경시 부시장: 1959.6. 인민일보에 해서의 억울함을 발표)을 부르조아로 비판하고, 실제로는 팽덕회를 海瑞로, 모택동을 명 세종으로 묘사함.
* 모택동의 走資派(우파)제거 의도.
* 중공중앙정치국 확대회의 및 8차11中全會에서 文革을 시작하는 5.16 通知와 中共中央關于無産階段文化大革命決定, 당내의 走資本主義道路的當權派 제거가 목적. 유소기와 등소평에 대한 비판.
* 陳伯達, 康生, 江靑, 張春橋 등이 만든 中央文革小組가 지휘부.
* 홍위병 동원(1966-69년 활동 마무리)
** 상해 一月혁명 : 1967년 장춘교, 요문원 등이 지휘하면서 당권을 장악시도.
** 2월 逆流 : 진의, 섭검영 등이 문혁의 착오를 비판
** 당 역사상 최대의 寃案 : 유소기를 叛徒, 內奸, 工賊이라 하여 숙청(1986년 開封에서 옥사함)
* 破四舊 : 文化, 思想, 風俗, 習慣
* 立四新 : 王洪文, 張春橋, 江靑, 姚文元 4인방
* 1974. 2. 批林批孔운동(임표와 주은래 공격)
* 1976년 1월 주은래 사망 - 천안문사건(76. 4.5.)
* 1976.9.9 모택동 사망- 화국봉집권
* 1977.8. 문화대혁명 종결 : 경제적 손실을 5000억원
* 1980. 8. 경제특구지정 : 廈門, 深, 珠海, 仙頭
* 1984년 8월 경제기술개발구지정 14개 연해지역
< 참고문헌 >
中國人의 사유방법, 까치출판사, 1990 - 中村 元지음/김지견 옮김,
인간과 신화, 지식산업사, 1985 - H. G. Creel/이성규 옮김, 공자
생애와 사상, 서광사, 1991 - 카이즈카 시게키(貝塚茂樹)/박연호 옮김, 공자
중국고대의 사상가들, 까치출판사, 1989 - 貝塚茂樹/김석근 옮김, 제자백가
중국의 역사, 문예출판사, 1997 - Wolfram Eberhard/최효선 옮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