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예방 및 완화단계에서의 분석
2. 대응단계에서의 분석
3. 복구단계에서의 분석
4. 평가
Ⅲ. 결 론
Ⅱ. 본 론
1. 예방 및 완화단계에서의 분석
2. 대응단계에서의 분석
3. 복구단계에서의 분석
4. 평가
Ⅲ. 결 론
본문내용
당국의 안전관리 행정에 대한 비판이 크게 일었으며 긴급 구난체계 및 통한 구조체계의 정비에 대한 정부와 국민의 목소리가 높아져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대책기구가 설립되고, 도시가스사업법 등 관계 법령의 개정을 가져왔다.
대구 상인동 가스폭발사고는 우리들의 기억 속에서 점점 잊혀지고 있다.
101명의 희생을 추모하며 대구가 안전도시로 거듭날 것이라는 시민들의 약속도 11년이 지난 지금에는 망각속으로 사라져버렸다. 고가도로와 곧게 뻗은 8차선 도로, 고층아파트, 대형백화점 등 예전의 아수라장 이었던 사고현장의 모습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상인네거리가 사고 장소이며 인근 학산공원에 희생자 101명의 추모탑이 있다는 사실은 더 이상 시민들의 기억에 남아있지 않다. 또한 작년에는 추모를 원하는 사람들만 참가해 조촐한 추모식만이 열렸다.
유족들에게는 그 날의 악몽이 생생할 것이다. 하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달라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 우리 시민들의 희생으로 더 이상의 안전불감증 사고가 없기를 바랄뿐이다.
※※※※※ 참 고 문 헌 ※※※※※
위기관리정책론 : 채경석, 대왕사, 2007.03.05
21세기 국가위기관리체제론 : 김열수, 오름, 2005.04.20
대구 상인동 가스폭발사고는 우리들의 기억 속에서 점점 잊혀지고 있다.
101명의 희생을 추모하며 대구가 안전도시로 거듭날 것이라는 시민들의 약속도 11년이 지난 지금에는 망각속으로 사라져버렸다. 고가도로와 곧게 뻗은 8차선 도로, 고층아파트, 대형백화점 등 예전의 아수라장 이었던 사고현장의 모습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상인네거리가 사고 장소이며 인근 학산공원에 희생자 101명의 추모탑이 있다는 사실은 더 이상 시민들의 기억에 남아있지 않다. 또한 작년에는 추모를 원하는 사람들만 참가해 조촐한 추모식만이 열렸다.
유족들에게는 그 날의 악몽이 생생할 것이다. 하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달라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 우리 시민들의 희생으로 더 이상의 안전불감증 사고가 없기를 바랄뿐이다.
※※※※※ 참 고 문 헌 ※※※※※
위기관리정책론 : 채경석, 대왕사, 2007.03.05
21세기 국가위기관리체제론 : 김열수, 오름, 2005.04.2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