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본문내용
Waxler 의 Ceylon 연구 :
의료문화적응과정 - 문화적응과정에서 가장 느리게 진행 -> 전통의료에 대한 사람들의 집착, 쉽사리 없어지지 않는다
▲ 문화와 치료 상의 문제점 :
문화의 특성 - 병에 대한 태도
치료에 대한 태도 다르다.
치료 :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 필수(특히 미국사회)
환자의 종교적 배경
사회계층의 차이
지역문화의 특성 -> 이해 필요(한국사회)
문화 = 정신건강을 해치는 기능
인격의 와해를 막고 오히려 정신건강을 시키는 기능도 있다.
4. 생활양식과 풍토병
풍토병 : 특수한 생활양식으로 말미암아 어떤 지역이나 집단에 특정한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말함.
예) ① 기생충감염 : 채식위주의 민족(화학비료 사용 안 하는 곳)
② 디스토마 : 고기와 생선회 상식하는 지역(낙동강 유역 -민물고기 상식)
③ Kuru : New Guinea 고원지대(고산원주민)
갑자기 발병. 얼굴이나 손발이 일그러지며 기억력 감퇴. 노화현상. 결국 생명잃음.
(원인) 원숭이, 산돼지 등 짐승의 뇌를 날 것으로 즐겨 먹거나 식이풍습
④ 수스토병(중미) : 일종의 우울증 - 자신이 남들의 ?????? 느낄 때 생기는 병.
약이 없고 격려나 칭찬이 주효.
와하카 여성들 - 조혼 풍습, 임신과 가사로 시달리고 불평이나 음주 금지, 스트레스 해소 기회 없다.
수스토병 병역 : 남 20%, 여 55% 경험
▲ 풍토병의 치료 :
생활양식을 지속시키는 문화요소
신앙체계(죽은 친족의 살과 뇌를 먹음)
음식과 생활이 지니는 사회적 의미 등에 대한 인식변화 필요
▲ 새로운 질병의 발생 :
- 생활양식의 변화, 특히 식생활의 변화
동맥경화증, 당뇨병, 간염 등의 증가(콜레스테롤, 단백질의 과다 섭취)
- 환경오염의 증가
이따이 이따이병(일본) - 수은 공해
하우스병(한국) - 비닐하우스
사스(중국) - 원인불명
- 도시병, 성인병, 직업병의 발생
디스크환자의 증가(의자생활, 테니스)
냉방병(에어콘디셔너의 사용)
▲ 보충자료
1) 풍토병
일명, 지방병
특히 그 토지의 풍토, 기후, 생물, 토양 등의 자연환경과 그 지방 주민의 풍속, 습관, 인습 등이 복잡하게 얽혀서 생긴 특수한 질병을 가리킴
일반적으로 그 지방 주민의 사망률은 그다지 높지 않지만 근절되기 어려운 것이 특징
지방병이라는 말은 어느 지방에 한정하여 볼 수 있는 질병이라는 점에서는 같지만, 풍토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데서 보면 풍토병이라는 용어가 적절
풍토병의 대부분은 전염병. 때로는 유행형태를 취하여 다른 지방으로 퍼지는 일이 있다. 그러나 그 중에는 사람으로부터 사람으로, 또는 동물로부터 사람으로라는 감염경로를 전혀 취하지 않는 것도 있다.
예 : 음료수에 플루오르가 과잉 함유되어 있어서 일어난다고 하는 반상치, 지방적으로 볼 수 있는 갑상선종은 요오드 부족에 의한다고 하여, 또 비타민 결핍에 의한 괴혈병, 구루병, 등도 그런 예
기생충병인 경우도 어느 지방에 특히 농후하게 퍼져 있는 것은 풍토병 - 양충병, 일본주혈흡충증, 폐호흡증 등 외에 촌충, 사상충(필라리아) 등도 있다
본래 전염병인 말라리아, 콜레라, 황열, 페스트, 이질,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뎅기열, 일본뇌염, 야토병, 수면병, 등은 모두 일정 지방에서는 항상 있는 질환
-> 풍토병적인 색채가 짙다.
2) 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
-> 2002년 11월부터 중국 광동지역을 중심으로 발생. 홍콩, 싱가포르, 베트남, 캐나다, 미국 등 전 세계로 확산. 발열과 기침, 호흡곤란, 비정형 폐렴 등 증상을 보이는 증후군
현재까지는 Coronavirus가 원인병원체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으며 정확한 원인병원체와 역학 조사를 위해 세계보건기구(WHO)가 중심이 되어 연구가 진행
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란?
(병징)
주로 발열(체온 측정시 38도 이상)이 첫 증상
오한, 두통, 근육통 등 전신적인 불편감이 동반되기도 하며 일부 환자에서는 초기에 미약한 호흡기 증상이 나타남
2~7일이 지나면 가래가 없는 마른기침이 나타나고 혈중산소포화도가 낮아진다. 대부분의 환자는 회복이 되지만 10~20%의 환자에서는 호흡부전이 나타나고 인공호흡이 필요하게 됨
(발병하기까지의 잠복기)
전형적인 잠복기는 2~7일(최장 14일)
감염경로
주로 비말(작은 침방울)을 통해 감염되는 것으로 추정
치료방법
비정형폐렴을 치료할 수 있는 항균제를 투여하고 항바이러스제를 투여
사망률
3~4%정도, 다른 지저질환이 있는 경우 높아진다.
3) 쿠루 (kuru-와들와들 떨림)
동 뉴기니 원주민에게 나타나는 치명적인 뇌신경병
1950년대 뉴기니 포레(Fore)족 여성과 아이들에게서 발병된 질병인 쿠루 -> 당시만 해도 남성 주술사들이 일으키는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놀랍게도 쿠루는 식인 풍습에 의해 전파되는 전염성 뇌질환의 일종이라는 사실이 밝혀진다. 쿠루는 100만명당 1명 정도로 발생. 치사율은 100%. 앙에게서 발생하는 스크래피와 유사. -> 이 전염병은 1985년 영국의 소떼들을 공격
연구 결과 : 인간에게서 발병되는 쿠루, 양의 스크래피, 광우병 => 모두가 전염성을 가지며 뇌에 스펀지처럼 구멍이 뚫려 있는 유사한 증상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짐.
이들의 또 다른 공통점은 바로 동족에 의한 동족의 섭취였다. 차이점이 있다면 쿠루는 인간의 의지가 들어가는 데 비해 나머지 질병들은 그들의 의지와 무관하다는 것이다.
4) 이따이 이따이(아프다 아프다) 병
1910년대 후반
일본 토야마현 주민들은 허리, 팔, 다리의 뼈마디가 아프다며 병원을 찾기 시작. 50년이 지나도록 어느 의사도 원인불명 이라는 말 외에는 시원한 답을 주지 못했다.
1968년
일본 정부는 ‘카드뮴에 의해 뼈 속 칼슘분이 녹아 신장장애와 골연화증이 일어난 것’ 이라고 공식발표
1968년 5월 8일에 후생성이 공해병으로 인정
-> 이 병은 1945년 일본의 도야마현(부산현) 진쯔으천(신통천) 상류지역에 위치한 미쓰이 금속 주식회사 광업소에서 선광, 정련공정에서 배출된 폐광석에 함유된 카드뮴이 고원천을 통하여 신통천에 흘러 내려와 농작물, 패어류, 상수원 오염시켜 이따이이따이 병을 발생시켰다고 공식
의료문화적응과정 - 문화적응과정에서 가장 느리게 진행 -> 전통의료에 대한 사람들의 집착, 쉽사리 없어지지 않는다
▲ 문화와 치료 상의 문제점 :
문화의 특성 - 병에 대한 태도
치료에 대한 태도 다르다.
치료 :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 필수(특히 미국사회)
환자의 종교적 배경
사회계층의 차이
지역문화의 특성 -> 이해 필요(한국사회)
문화 = 정신건강을 해치는 기능
인격의 와해를 막고 오히려 정신건강을 시키는 기능도 있다.
4. 생활양식과 풍토병
풍토병 : 특수한 생활양식으로 말미암아 어떤 지역이나 집단에 특정한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말함.
예) ① 기생충감염 : 채식위주의 민족(화학비료 사용 안 하는 곳)
② 디스토마 : 고기와 생선회 상식하는 지역(낙동강 유역 -민물고기 상식)
③ Kuru : New Guinea 고원지대(고산원주민)
갑자기 발병. 얼굴이나 손발이 일그러지며 기억력 감퇴. 노화현상. 결국 생명잃음.
(원인) 원숭이, 산돼지 등 짐승의 뇌를 날 것으로 즐겨 먹거나 식이풍습
④ 수스토병(중미) : 일종의 우울증 - 자신이 남들의 ?????? 느낄 때 생기는 병.
약이 없고 격려나 칭찬이 주효.
와하카 여성들 - 조혼 풍습, 임신과 가사로 시달리고 불평이나 음주 금지, 스트레스 해소 기회 없다.
수스토병 병역 : 남 20%, 여 55% 경험
▲ 풍토병의 치료 :
생활양식을 지속시키는 문화요소
신앙체계(죽은 친족의 살과 뇌를 먹음)
음식과 생활이 지니는 사회적 의미 등에 대한 인식변화 필요
▲ 새로운 질병의 발생 :
- 생활양식의 변화, 특히 식생활의 변화
동맥경화증, 당뇨병, 간염 등의 증가(콜레스테롤, 단백질의 과다 섭취)
- 환경오염의 증가
이따이 이따이병(일본) - 수은 공해
하우스병(한국) - 비닐하우스
사스(중국) - 원인불명
- 도시병, 성인병, 직업병의 발생
디스크환자의 증가(의자생활, 테니스)
냉방병(에어콘디셔너의 사용)
▲ 보충자료
1) 풍토병
일명, 지방병
특히 그 토지의 풍토, 기후, 생물, 토양 등의 자연환경과 그 지방 주민의 풍속, 습관, 인습 등이 복잡하게 얽혀서 생긴 특수한 질병을 가리킴
일반적으로 그 지방 주민의 사망률은 그다지 높지 않지만 근절되기 어려운 것이 특징
지방병이라는 말은 어느 지방에 한정하여 볼 수 있는 질병이라는 점에서는 같지만, 풍토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데서 보면 풍토병이라는 용어가 적절
풍토병의 대부분은 전염병. 때로는 유행형태를 취하여 다른 지방으로 퍼지는 일이 있다. 그러나 그 중에는 사람으로부터 사람으로, 또는 동물로부터 사람으로라는 감염경로를 전혀 취하지 않는 것도 있다.
예 : 음료수에 플루오르가 과잉 함유되어 있어서 일어난다고 하는 반상치, 지방적으로 볼 수 있는 갑상선종은 요오드 부족에 의한다고 하여, 또 비타민 결핍에 의한 괴혈병, 구루병, 등도 그런 예
기생충병인 경우도 어느 지방에 특히 농후하게 퍼져 있는 것은 풍토병 - 양충병, 일본주혈흡충증, 폐호흡증 등 외에 촌충, 사상충(필라리아) 등도 있다
본래 전염병인 말라리아, 콜레라, 황열, 페스트, 이질,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뎅기열, 일본뇌염, 야토병, 수면병, 등은 모두 일정 지방에서는 항상 있는 질환
-> 풍토병적인 색채가 짙다.
2) 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
-> 2002년 11월부터 중국 광동지역을 중심으로 발생. 홍콩, 싱가포르, 베트남, 캐나다, 미국 등 전 세계로 확산. 발열과 기침, 호흡곤란, 비정형 폐렴 등 증상을 보이는 증후군
현재까지는 Coronavirus가 원인병원체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으며 정확한 원인병원체와 역학 조사를 위해 세계보건기구(WHO)가 중심이 되어 연구가 진행
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란?
(병징)
주로 발열(체온 측정시 38도 이상)이 첫 증상
오한, 두통, 근육통 등 전신적인 불편감이 동반되기도 하며 일부 환자에서는 초기에 미약한 호흡기 증상이 나타남
2~7일이 지나면 가래가 없는 마른기침이 나타나고 혈중산소포화도가 낮아진다. 대부분의 환자는 회복이 되지만 10~20%의 환자에서는 호흡부전이 나타나고 인공호흡이 필요하게 됨
(발병하기까지의 잠복기)
전형적인 잠복기는 2~7일(최장 14일)
감염경로
주로 비말(작은 침방울)을 통해 감염되는 것으로 추정
치료방법
비정형폐렴을 치료할 수 있는 항균제를 투여하고 항바이러스제를 투여
사망률
3~4%정도, 다른 지저질환이 있는 경우 높아진다.
3) 쿠루 (kuru-와들와들 떨림)
동 뉴기니 원주민에게 나타나는 치명적인 뇌신경병
1950년대 뉴기니 포레(Fore)족 여성과 아이들에게서 발병된 질병인 쿠루 -> 당시만 해도 남성 주술사들이 일으키는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놀랍게도 쿠루는 식인 풍습에 의해 전파되는 전염성 뇌질환의 일종이라는 사실이 밝혀진다. 쿠루는 100만명당 1명 정도로 발생. 치사율은 100%. 앙에게서 발생하는 스크래피와 유사. -> 이 전염병은 1985년 영국의 소떼들을 공격
연구 결과 : 인간에게서 발병되는 쿠루, 양의 스크래피, 광우병 => 모두가 전염성을 가지며 뇌에 스펀지처럼 구멍이 뚫려 있는 유사한 증상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짐.
이들의 또 다른 공통점은 바로 동족에 의한 동족의 섭취였다. 차이점이 있다면 쿠루는 인간의 의지가 들어가는 데 비해 나머지 질병들은 그들의 의지와 무관하다는 것이다.
4) 이따이 이따이(아프다 아프다) 병
1910년대 후반
일본 토야마현 주민들은 허리, 팔, 다리의 뼈마디가 아프다며 병원을 찾기 시작. 50년이 지나도록 어느 의사도 원인불명 이라는 말 외에는 시원한 답을 주지 못했다.
1968년
일본 정부는 ‘카드뮴에 의해 뼈 속 칼슘분이 녹아 신장장애와 골연화증이 일어난 것’ 이라고 공식발표
1968년 5월 8일에 후생성이 공해병으로 인정
-> 이 병은 1945년 일본의 도야마현(부산현) 진쯔으천(신통천) 상류지역에 위치한 미쓰이 금속 주식회사 광업소에서 선광, 정련공정에서 배출된 폐광석에 함유된 카드뮴이 고원천을 통하여 신통천에 흘러 내려와 농작물, 패어류, 상수원 오염시켜 이따이이따이 병을 발생시켰다고 공식
추천자료
태평한화골계전의 해학성, 풍자성 고찰
한말의 민족주의운동
헌법의 이해
최명익 <심문> 연구
[김동리 소설 무녀도]김동리 소설 무녀도의 작가, 김동리 소설 무녀도의 갈등양상, 김동리 소...
[간호조무사][조무사][간호사][간호보조][보조인력][의료][간호][보건복지부]간호조무사의 등...
[남북경제교류협력(남북경협), 교류협력]남북경제교류협력(남북경협)의 특징, 남북경제교류협...
[데카르트 방법적 회의, 데가르트, 방법론, 방법서설]데카르트 방법적 회의의 의미, 데카르트...
동성연애자(동성애자)의 정의, 학설, 동성연애자(동성애자)의 관련용어, 동성연애자(동성애자...
[조직관리][조직학습이론][직무스트레스][조직관리 기법]조직관리의 특징, 조직관리의 내용, ...
[백화점][백화점 현황][백화점 CRM][백화점 고객관계관리]백화점의 분류, 백화점의 양극화, ...
다문화가정 프로포절
동북아시아의 체육사
[경건주의][경건주의와 퓨리탄이즘][경건주의와 신비주의][프랑스][경건한 열망][대각성운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