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북아시아의 체육사
1. 일본의 체육사 ------------------------ 3
1) 일본의 원시시대 ------------------------ 3
2) 일본의 고대시대 ------------------------ 4
3) 일본의 중세시대 ------------------------ 6
4) 일본의 근대시대 ------------------------ 9
2. 중국의 체육사 ----------------------- 11
1) 중국 원시 및 고대의 체육 (원시사회~211년) ------- 11
2) 중국 중세의 체육 ----------------------- 22
3) 중국 근세의 체육 ----------------------- 25
4) 중국 근대 및 현대의 체육 (개항 이후의 체육) ------- 27
5) 중국 현대체육사 (1949~현재) ---------------- 30
3. 북한의 체육사 ------------------------- 33
4. 대만의 체육사 ----------------------- 35
참고문헌------------------------------ 36
1. 일본의 체육사 ------------------------ 3
1) 일본의 원시시대 ------------------------ 3
2) 일본의 고대시대 ------------------------ 4
3) 일본의 중세시대 ------------------------ 6
4) 일본의 근대시대 ------------------------ 9
2. 중국의 체육사 ----------------------- 11
1) 중국 원시 및 고대의 체육 (원시사회~211년) ------- 11
2) 중국 중세의 체육 ----------------------- 22
3) 중국 근세의 체육 ----------------------- 25
4) 중국 근대 및 현대의 체육 (개항 이후의 체육) ------- 27
5) 중국 현대체육사 (1949~현재) ---------------- 30
3. 북한의 체육사 ------------------------- 33
4. 대만의 체육사 ----------------------- 35
참고문헌------------------------------ 36
본문내용
기사와 주마는 단오 때 실시되는 행사로서 천황 앞에서 사수가 과녁에 활을 쏜 다음에 말을 타고 경주를 하는 의식이다. 나라 시대 748년에는 이미 기록이 있고, 헤이안 시대에 정식적인 행사가 되었다. 주마는 헤이안 시대 중기 이후 궁중 연중행사와는 별도로 신사나 사찰, 그리고 귀족의 자택에서 실시되었다.
헤이안 시대 중반 이후부터는 무사계급이 나타났다. 헤이안 시대 중기 귀족들이 정치권력을 장악하였을 때, 정치가 문란해져 특히 지방의 질서가 붕괴되었다. 이 때 권력다툼에서 패배한 귀족들이 주로 혈연관계를 중심으로 무장하고 집단화 한 것이 그 시작이라고 한다. 그들은 주인에 대한 절대적인 충성심을 가지고 항상 무예훈련에 임하였다. 무사들은 거칠고 씩씩하였으며 경도의 치안유지나 귀족들끼리의 전쟁에도 참여하였다. 이와 같이 항상 투쟁의 와중에 놓이게 된 무사들은 승마, 활쏘기, 칼, 창 등의 뛰어난 기능을 지니고 있을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결국 그들은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는 완전히 정치적인 권력을 장악하고, 카마쿠라 시대부터는 정치의 주력이 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3) 일본의 중세시대
(1) 시대 상황
일본의 중세시대는 가마쿠라·무로마치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에도시대로 구분된다. 막부시대인 12세기 후반에 출현한 무사정권은 귀족의 장원을 빼앗아 경제적 기반을 확충하며 무가사회를 성립시켜 갔다. 일반적으로 봉건사회의 성립을 기준으로 하면 장원제 내에서 영주와 예속민의 관계가 형성되는 10세기의 원정기를 중세의 시작으로 본다. 하지만 장원제가 해체되고 영주와 예속민의 관계가 보다 분명해지는 14세기를 중세의 시작으로 보거나, 장원제가 완전히 해체되는 16세기 이후를 중세의 시작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일본의 중세시대의 종료는 16세기말 17세기 초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실권을 장악한 때가 된다.
가마쿠라 시대는 가마쿠라 막부가 정치의 실권을 가졌던 시대로 1185년부터 1333년 까지이다. 막부를 세운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정권 장악 과정에 따라 1180년이나 1183년을 시작으로 보기도 한다. 이 시대는 1333년에 미나모토 씨의 세력 약화를 틈타 실권을 장악한 호오죠씨의 멸망하면서 막을 내린다. 그리고 이어 무로마치 시대는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실권을 장악하여 교토에 무로마치 막부를 설치한 1330년대에 시작이 되었다. 무로마치 시대는 약 240년간 15대 쇼오군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오다 노부나가에게 쫓겨난 1573년까지 계속 되었다. 이 시기에는 남북조시대와 전국시대가 진행되기도 하였는데 남북조시대는 1336년부터 1392년까지로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고오묘 천황을 옹립하자 고다이고 천황이 요시노로 옮겨가면서 시작되었다. 북조는 고오묘 천황부터 고고마쓰 천황까지 5대이며, 남조는 고다이고 천황부터 고카메야마 천황까지 4대이다. 남북조시대는 1392년 양쪽의 강화가 이루어지면서 막을 내렸다. 한편, 전국시대는 오닌의 난이 발생한 1467년부터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가 교토에 입성한 1568년까지로, 각 지역 다이묘들의 세력투쟁이 활발했던 군웅할거 시대였다. 이 때에는 오다노부나가와 그를 이은 토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통일되었다.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는 오다 노부나가가 쇼오군 아시카가 요시아키와 함께 교토에 입성한 1568년을 시작으로 보고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한 1598년에 막을 내린 시대이다. 한편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하여 실권을 장악한 1600년을 종료 시기로 보기도 한다.
에도시대는 도쿠가와 시대라고도하며, 도쿠가와 막부가 정권을 잡은 시간을 가리킨다. 1603년 3월 24일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세이이타이쇼군으로 임명되어 에도에 막부(왕조)를 연 시기를 에도 시대의 시작으로 보고 있다. 에도 말기에는 구미의 여러 나라들이 일본에 문호개방을 요구하였고, 막부는 미국과 미일화친조약을 시작으로 유럽 여러나라와 불평등 조약을 채결하게 된다. 이에 존왕양이 사상이 고추되어 갔고, 막부의 고위관료 이이 나오스케가 암살된 후 정국은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 1867년 11월 9일, 15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대정봉환을 선언하고, 다음해 1868년 5월 3일에 에도성의가 메이지 정부군의 손에 떨어지고, 도쿠가와 막부는 붕괴했다.
(2) 중세시대의 체육
① 가마쿠라 무로마치 시대의 체육
일본의 역사 시대구분에서 가마쿠라에 막부가 설치되어, 조정과 막부가 나란히 정치의 중심이 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무사계급이 천황, 귀족계급과 분리된 새로운 지배체제로, 봉건정치의 시작을 의미한다. 봉건정치는 그 후 에도 막부가 막을 내리는 1868년까지 계속된다. 이 시대의 무사들은 귀족과 다른 가치관, 윤리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에도시대 이후에는 무사도라고 불리게 되었다. 무사도는 주인에 대한 충절이 중요한 도덕이었다. 주인은 신하에게 토지나 직책을 주고 신하는 목숨을 걸고 주인에게 충절을 다하는 주종관계가 성립되었다. 그들이 행한 무예는 활쏘기, 승마를 중심으로 한 수렵, 야부사메, 카사가케, 이누오우모노, 스모 등이 훈련의 수단으로 이용되거나 장군 앞에서 행사나 경기형식으로 실시되기도 하였다. 특히 카마쿠라 막부를 만든 요리토모는 이와 같은 무예를 장려하고 또 기능이 뛰어난 자에게는 많은 상을 주기도 하였기 때문에 이 시대 무예활동은 크게 활발해졌다. 무로마치 시대는 역시 막부가 불안정한 것이었기 때문에 지방의 대명들도 항상 전쟁에 대비하지 않을 수 없었다. 때문에 무로마치 시대에도 무사들은 무예단련을 하였고 또 이 시대에는 말을 타면서 활을 쏘는 야부사메, 카사카게, 이누오우모노의 세가지 무예는 하나의 형식으로 고정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기사나 궁술, 마술, 검술등에 유파가 생기게 되었다. 여기서 야부사메는 전투훈련으로서 무사들 사이에 널리 행해지고 있던 것으로, 일정한 범위 안에서 말을 타면서 활을 쏘는 경기이다. 과녁은 세 곳에 설치하고 순차적으로 쏜다. 야부사메는 카마쿠라 시대에는 가장 널리 행해졌으나 그 이후에는 서서히 실시되지 않게 되었다가 에도 시대에 장군 요시무네에 의해 장려되었다. 카사가케도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행해졌다.
헤이안 시대 중반 이후부터는 무사계급이 나타났다. 헤이안 시대 중기 귀족들이 정치권력을 장악하였을 때, 정치가 문란해져 특히 지방의 질서가 붕괴되었다. 이 때 권력다툼에서 패배한 귀족들이 주로 혈연관계를 중심으로 무장하고 집단화 한 것이 그 시작이라고 한다. 그들은 주인에 대한 절대적인 충성심을 가지고 항상 무예훈련에 임하였다. 무사들은 거칠고 씩씩하였으며 경도의 치안유지나 귀족들끼리의 전쟁에도 참여하였다. 이와 같이 항상 투쟁의 와중에 놓이게 된 무사들은 승마, 활쏘기, 칼, 창 등의 뛰어난 기능을 지니고 있을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결국 그들은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는 완전히 정치적인 권력을 장악하고, 카마쿠라 시대부터는 정치의 주력이 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3) 일본의 중세시대
(1) 시대 상황
일본의 중세시대는 가마쿠라·무로마치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에도시대로 구분된다. 막부시대인 12세기 후반에 출현한 무사정권은 귀족의 장원을 빼앗아 경제적 기반을 확충하며 무가사회를 성립시켜 갔다. 일반적으로 봉건사회의 성립을 기준으로 하면 장원제 내에서 영주와 예속민의 관계가 형성되는 10세기의 원정기를 중세의 시작으로 본다. 하지만 장원제가 해체되고 영주와 예속민의 관계가 보다 분명해지는 14세기를 중세의 시작으로 보거나, 장원제가 완전히 해체되는 16세기 이후를 중세의 시작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일본의 중세시대의 종료는 16세기말 17세기 초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실권을 장악한 때가 된다.
가마쿠라 시대는 가마쿠라 막부가 정치의 실권을 가졌던 시대로 1185년부터 1333년 까지이다. 막부를 세운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정권 장악 과정에 따라 1180년이나 1183년을 시작으로 보기도 한다. 이 시대는 1333년에 미나모토 씨의 세력 약화를 틈타 실권을 장악한 호오죠씨의 멸망하면서 막을 내린다. 그리고 이어 무로마치 시대는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실권을 장악하여 교토에 무로마치 막부를 설치한 1330년대에 시작이 되었다. 무로마치 시대는 약 240년간 15대 쇼오군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오다 노부나가에게 쫓겨난 1573년까지 계속 되었다. 이 시기에는 남북조시대와 전국시대가 진행되기도 하였는데 남북조시대는 1336년부터 1392년까지로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고오묘 천황을 옹립하자 고다이고 천황이 요시노로 옮겨가면서 시작되었다. 북조는 고오묘 천황부터 고고마쓰 천황까지 5대이며, 남조는 고다이고 천황부터 고카메야마 천황까지 4대이다. 남북조시대는 1392년 양쪽의 강화가 이루어지면서 막을 내렸다. 한편, 전국시대는 오닌의 난이 발생한 1467년부터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가 교토에 입성한 1568년까지로, 각 지역 다이묘들의 세력투쟁이 활발했던 군웅할거 시대였다. 이 때에는 오다노부나가와 그를 이은 토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통일되었다.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는 오다 노부나가가 쇼오군 아시카가 요시아키와 함께 교토에 입성한 1568년을 시작으로 보고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한 1598년에 막을 내린 시대이다. 한편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하여 실권을 장악한 1600년을 종료 시기로 보기도 한다.
에도시대는 도쿠가와 시대라고도하며, 도쿠가와 막부가 정권을 잡은 시간을 가리킨다. 1603년 3월 24일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세이이타이쇼군으로 임명되어 에도에 막부(왕조)를 연 시기를 에도 시대의 시작으로 보고 있다. 에도 말기에는 구미의 여러 나라들이 일본에 문호개방을 요구하였고, 막부는 미국과 미일화친조약을 시작으로 유럽 여러나라와 불평등 조약을 채결하게 된다. 이에 존왕양이 사상이 고추되어 갔고, 막부의 고위관료 이이 나오스케가 암살된 후 정국은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 1867년 11월 9일, 15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대정봉환을 선언하고, 다음해 1868년 5월 3일에 에도성의가 메이지 정부군의 손에 떨어지고, 도쿠가와 막부는 붕괴했다.
(2) 중세시대의 체육
① 가마쿠라 무로마치 시대의 체육
일본의 역사 시대구분에서 가마쿠라에 막부가 설치되어, 조정과 막부가 나란히 정치의 중심이 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무사계급이 천황, 귀족계급과 분리된 새로운 지배체제로, 봉건정치의 시작을 의미한다. 봉건정치는 그 후 에도 막부가 막을 내리는 1868년까지 계속된다. 이 시대의 무사들은 귀족과 다른 가치관, 윤리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에도시대 이후에는 무사도라고 불리게 되었다. 무사도는 주인에 대한 충절이 중요한 도덕이었다. 주인은 신하에게 토지나 직책을 주고 신하는 목숨을 걸고 주인에게 충절을 다하는 주종관계가 성립되었다. 그들이 행한 무예는 활쏘기, 승마를 중심으로 한 수렵, 야부사메, 카사가케, 이누오우모노, 스모 등이 훈련의 수단으로 이용되거나 장군 앞에서 행사나 경기형식으로 실시되기도 하였다. 특히 카마쿠라 막부를 만든 요리토모는 이와 같은 무예를 장려하고 또 기능이 뛰어난 자에게는 많은 상을 주기도 하였기 때문에 이 시대 무예활동은 크게 활발해졌다. 무로마치 시대는 역시 막부가 불안정한 것이었기 때문에 지방의 대명들도 항상 전쟁에 대비하지 않을 수 없었다. 때문에 무로마치 시대에도 무사들은 무예단련을 하였고 또 이 시대에는 말을 타면서 활을 쏘는 야부사메, 카사카게, 이누오우모노의 세가지 무예는 하나의 형식으로 고정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기사나 궁술, 마술, 검술등에 유파가 생기게 되었다. 여기서 야부사메는 전투훈련으로서 무사들 사이에 널리 행해지고 있던 것으로, 일정한 범위 안에서 말을 타면서 활을 쏘는 경기이다. 과녁은 세 곳에 설치하고 순차적으로 쏜다. 야부사메는 카마쿠라 시대에는 가장 널리 행해졌으나 그 이후에는 서서히 실시되지 않게 되었다가 에도 시대에 장군 요시무네에 의해 장려되었다. 카사가케도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행해졌다.
키워드
추천자료
근대일본의 대외인식 변화와 한일관계
한국의 체육사
체육사의 목적과 필요성
[사회과학]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추진배경,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
일본 교육정보화의 목표, 일본 교육정보화의 현황, 일본 교육정보화의 학교현장, 일본 교육정...
[역사교육] 고대 일본의 이해
[일본][일본 역사][일본 종교][일본 근대화][일본 공공성][일본 약점]일본의 역사, 일본의 종...
[일본영화][일본][영화][일본영화 변천사][일본영화 영향][일본영화 주제와 표현][일본영화 ...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추진배경,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긍정적 효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