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나이로에서 캔버라까지
III. 컨실리아 선교신학의 경향성의 변천
IV. 컨실리아 선교신학의 미래
II. 나이로에서 캔버라까지
III. 컨실리아 선교신학의 경향성의 변천
IV. 컨실리아 선교신학의 미래
본문내용
이데올로기의 대화
a. 타신앙과 이데올로기가 현실적으로 존재한다는 인식과 그들과의 공존을 할 수 밖에 없다는 현실적 감각에서 비롯
b. 대화의 요건 자체가 혼합주의의 위험이라는 미명아래 배제될 수 없다는 신학의 표현
* 대화가 없이는 복음전도의 구체적 가능성은 존재 불가능, 그들을 향한 신앙적인 불평등을 초래하는 빌미 제공 통찰력에서 비롯
3. 신앙과 문화의 긴장으로서의 선교
컨실리아 선교신학 - 문화의 해석과 언어로서 구체적 복음전도의 기능과 출발이 가능하다는 입장
* 현실의 삶과 문화의 언어를 배제하고서는 시대와 공간의 제약을 받고 있는 역사성 속에서 복음의 순수한 의미를 담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인식을 전제로 한 것
신앙과 문화는 끊임없는 긴장과 대화 속에서 복음의 진리성을 유지하기 위한 실천적 응답을 요구
* 신앙의 고백으로서는 용이, 선택이 수월한 면이 있다해도 문화가 갖고 있는 제한성 때문에 교회의 존재, 교회의 본질까지도 위협받을 수 밖에 없다는 역사적 산물의 결과를 무시할 수 없음
4. 환경과 생태신학적 접근
a. 통전적 선교의 의미에서 사회현상이나 인권과 같은 지극히 인간에 대한 중심에서 피조세계 전반 특히 환경과 상태라는 창조질서로 관심 이동
b. 환경과 생태라는 이슈가 더 이상 신학의 단순한 한 존재가 아니라 인류의 존재를 가름하는 필연적 질문, 문제라는 사실에 기인
에큐메니칼 선교신학
a. 사회 구조적 언압과 모순을 선교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우주적 차원에서의 선교라는 본래의 틀을 회복하는 것으로 보여짐
b. 진리에 있어서의 배타성과 대화의 딜레마를 어떻게 적절히 조화시켜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음
IV. 컨실리아 선교신학의 미래
1. 생태신학적 접근의 가속화
생태학적 문제가 재앙의 시대에 도래했음을 우리 모두는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더 구체적인 신앙의 표현과 선교적 접근이 절실하다는 맥락에서 미롯
2. 민족주의를 표방하는 국시적 전쟁과 부정의에 대한 지속적 응답
a. 신민족주의적 위협 앞에 사회 복음적 경향성은 더욱더 뚜렷한 선교 메시지를 던져야만 할 것
b. 냉전의 이데올로기의 증언은 맞이하여 새로운 민족주의라는 도전 앞에 신학은 응답해야 함
* 궁극적 평화를 향한 발걸음, 통전적 복음을 견지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져야만 하는 책임이기 때문
3. 교회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영혼구원에 대한 강조
a. 현대와 사회 상황이 보편적인 원리로 설명하기가 불가능한 파편적 다원주의 사회로 계속 치닫고 있기 때문
b. 개별 접근을 위한 통전적 관점과 아울러 통전적 관점을 정당화해주고 심화시켜주는 영혼의 본질적 구원의 문제가 더욱 더 요청되기 때문
4. 보편적 사회를 향한 리더십으로서의 선교신학
냉전의 이데올로기가 종말을 고하고 세계는 바야흐로 글로벌 네트워크의 시대, 국경의 의미라 퇴색해갈 것, 정보와 물질이 또다른 이데올로기화 할 수 있는 가능성 제공
* 컨실리아 선교신학의 과제 - 정보화사회에서의 인간의 소외와 부의 편중을 어떤 방법으로, 어떤 신앙적 고백으로 극복할 것인지 결단 요구
a. 타신앙과 이데올로기가 현실적으로 존재한다는 인식과 그들과의 공존을 할 수 밖에 없다는 현실적 감각에서 비롯
b. 대화의 요건 자체가 혼합주의의 위험이라는 미명아래 배제될 수 없다는 신학의 표현
* 대화가 없이는 복음전도의 구체적 가능성은 존재 불가능, 그들을 향한 신앙적인 불평등을 초래하는 빌미 제공 통찰력에서 비롯
3. 신앙과 문화의 긴장으로서의 선교
컨실리아 선교신학 - 문화의 해석과 언어로서 구체적 복음전도의 기능과 출발이 가능하다는 입장
* 현실의 삶과 문화의 언어를 배제하고서는 시대와 공간의 제약을 받고 있는 역사성 속에서 복음의 순수한 의미를 담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인식을 전제로 한 것
신앙과 문화는 끊임없는 긴장과 대화 속에서 복음의 진리성을 유지하기 위한 실천적 응답을 요구
* 신앙의 고백으로서는 용이, 선택이 수월한 면이 있다해도 문화가 갖고 있는 제한성 때문에 교회의 존재, 교회의 본질까지도 위협받을 수 밖에 없다는 역사적 산물의 결과를 무시할 수 없음
4. 환경과 생태신학적 접근
a. 통전적 선교의 의미에서 사회현상이나 인권과 같은 지극히 인간에 대한 중심에서 피조세계 전반 특히 환경과 상태라는 창조질서로 관심 이동
b. 환경과 생태라는 이슈가 더 이상 신학의 단순한 한 존재가 아니라 인류의 존재를 가름하는 필연적 질문, 문제라는 사실에 기인
에큐메니칼 선교신학
a. 사회 구조적 언압과 모순을 선교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우주적 차원에서의 선교라는 본래의 틀을 회복하는 것으로 보여짐
b. 진리에 있어서의 배타성과 대화의 딜레마를 어떻게 적절히 조화시켜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음
IV. 컨실리아 선교신학의 미래
1. 생태신학적 접근의 가속화
생태학적 문제가 재앙의 시대에 도래했음을 우리 모두는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더 구체적인 신앙의 표현과 선교적 접근이 절실하다는 맥락에서 미롯
2. 민족주의를 표방하는 국시적 전쟁과 부정의에 대한 지속적 응답
a. 신민족주의적 위협 앞에 사회 복음적 경향성은 더욱더 뚜렷한 선교 메시지를 던져야만 할 것
b. 냉전의 이데올로기의 증언은 맞이하여 새로운 민족주의라는 도전 앞에 신학은 응답해야 함
* 궁극적 평화를 향한 발걸음, 통전적 복음을 견지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져야만 하는 책임이기 때문
3. 교회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영혼구원에 대한 강조
a. 현대와 사회 상황이 보편적인 원리로 설명하기가 불가능한 파편적 다원주의 사회로 계속 치닫고 있기 때문
b. 개별 접근을 위한 통전적 관점과 아울러 통전적 관점을 정당화해주고 심화시켜주는 영혼의 본질적 구원의 문제가 더욱 더 요청되기 때문
4. 보편적 사회를 향한 리더십으로서의 선교신학
냉전의 이데올로기가 종말을 고하고 세계는 바야흐로 글로벌 네트워크의 시대, 국경의 의미라 퇴색해갈 것, 정보와 물질이 또다른 이데올로기화 할 수 있는 가능성 제공
* 컨실리아 선교신학의 과제 - 정보화사회에서의 인간의 소외와 부의 편중을 어떤 방법으로, 어떤 신앙적 고백으로 극복할 것인지 결단 요구
추천자료
세계선교 동향과 한국에 대한 선교정책
선교사열전(선교사들에대해자세히)
[선교사][알렌][네비우스][남장로교 선교][북한 선교]최초 선교사 알렌과 네비우스, 남장로교...
선교의 성경적 기초(선교학개론)
[선교 설교][인터넷을 이용한 선교][선교][설교][인터넷][교회][목회][성경]선교 설교와 인터...
[선교][중국][일본][캐나다][미국][한국 선교][북한 선교]중국, 일본, 캐나다, 미국의 한국 ...
[사도행전][선교설교][일본 조합교회의 선교][남감리교 선교]사도행전의 선교설교와 일본 조...
R. Paul Stevens, <21세기를 위한 평신도 신학> 서평
선교의 자유와 초기 선교활동
시가서 79편 연구 (원문 번역 및 본문 비평, 양식 및 구조와 주석, 시편 79편의 최종형태 구...
북한문화의 이해와 선교 (북한 소개, 북한의 문화, 종교 문화, 생활 및 여가문화, 선교현황과...
선교사들의 선교활동 [의료선교, 아펜젤러 선교활동]
WCC의 역사, WCC와 복음주의 신학교육의 당면과제, WCC의 이념과 한국교회의 타종교 이해태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