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헌고찰 - 위암
☆ 정의
☆ 원인
☆ 증상
☆ 예후
☆ 진단
☆ 전이
☆ 치료
☆ 예방
* case study
1. 간호력
2. 임상검사 결과
3. 투약
4. 간호과정
☆ 정의
☆ 원인
☆ 증상
☆ 예후
☆ 진단
☆ 전이
☆ 치료
☆ 예방
* case study
1. 간호력
2. 임상검사 결과
3. 투약
4. 간호과정
본문내용
그 후는 증상에 따라 감량하거나, 보통 1~3바이알(용해액
500~1500ml)을 추가하여 점적 정주 가능
범발성 혈관내 혈액응고증 - 1일량 20~39mg/kg의 범위내에서 24시간에 걸쳐서 정맥내
로 지속 투여
* 부작용 : 쇽, 발진, 소양감, 안면홍조, 정맥염, 혈관통, 발적, 염증, 혈압강하, 오심, 출혈경
향 등
* 금기 : 본제 과민증의 기왕력자
* 주의 : 임부, 가임부
◎ Botropas
* 약효분류 : 지혈제, 혈액응고제
* 효능효과 : 출혈, 1차 및 2차 출혈증후군의 치료 및 예방
* 용법용량 :
출혈예방 - 수술전 2~4시간 1앰플을 근육주사하거나 수술직전 1앰플을 정맥주사
정상치료 - 1일 1앰플 이상 근육주사
위급치료 - 긴급시 또는 출혈이 연장될 경우 정맥주사, 필요시 투여반복
피부과 - 대상포진의 증후에 첫 이틀동안 1앰플을 8시간마다 근육주사하고 셋째날부터
12시간 간격으로 근육주사
소아용량 - 1앰플을 8시간마다 근육주사
* 부작용 : 과민증상, 쇽 유사증상
* 금기 : 과민증의 기왕력자, 정맥 동맥 혈전증 환자, 혈관내 산재된 응고증후 환자
◎ Hartmann
* 약효분류 : Parenteral Nutritional Products
* 효능효과 :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 보정, 대사성아시도시스(산
증)의 보정, 에너지보급
* 용법용량 : 1회 500~1000ml 점적 정맥주사, 투여속도는 포도당으로서 0.5g/kg/hr 이하
* 부작용 : (대량, 급속투여)뇌부종, 폐부종, 말초부종 등
* 금기 : 젖산혈증 환자
* 주의 : 신부전환자, 심부전환자, 고장성탈수증환자, 폐쇄성요로질환으로 인해 요량이 감소
하고 있는 환자, 심한 간장애환자
◎ Dopamine
* 약효분류 : 기타 심혈관계 약물
* 효능효과 : 심근경색, 외상, 내독성패혈증, 수술후신장애만성심대상부전증(울혈성심부전)
으로 인한 쇽, 핍뇨, 무뇨증,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저혈압
* 용법용량 : 염산도파민으로서 체중 kg당 2.5mcg/min을 정맥주사, 중증의 경우에는 체중
kg당 5~10mcg/min에서 20~50mcg/min까지 증량하여 정맥주사 가능
* 부작용 : 심실성기외수축, 부정맥, 구역, 구토, 복통, 복부팽만, 협심증, 호흡곤란, 두통, 기
모, 혈관수축, 정맥염
* 금기 : 크롬친화세포종 환자, 빈맥성 부정맥 환자, 심실세동 환자, 갑상선중독증 환자, 폐
쇄우각형녹내장 환자
* 주의 : 말초혈관장애 환자
(당뇨병, 알코올중독, 동상, 동맥경화증, 레이노증후군, 버거병 등)
◎ Dormicum
* 약효분류 : 수면진정제 및 신경안정제
* 효능효과 : 수술전 진정(수면 또는 가면상태 유도 및 분안경감) 및 수술전후의 기억력장
애 목적으로 근육주사, 기관지경 검사, 위경검사, 방광경 검사, 혈관 조영술 및 심장 카테
터법과 같은 단시간 진단 또는 내시경 검사전 의식하의 진정목적으로 단독 또는 마약성
진통제와 병용하여 정맥주사, 다른 마취제 투여전 전신마취 유도목적으로 정맥주사 및 단
시간 외과처치시 N2O/O2(균형마취)의 정맥용 보조제, 중환자실 환자의 장기간 진정 목적
으로 bolus 정맥주사 또는 지속적 정맥주입
* 용법용량 :
수술전 진정(수면 또는 가면상태 유도 및 불안경감) 및 수술전후의 기억력장애 -
체중 kg당 0.07~0.08mg을 수술 약 1시간 전에 근육주사
내시경 또는 심혈관계 처치 - 원하는 효과(예:언어발현장애)가 나타날 때까지 천천히 증
량, 본제로서 초회량으로 2~2.5mg(0.035mg/kg)을, 고령자나 쇠약환자는 1~1.5mg을
2~3분 동안 정맥주입, 원하는 진정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 초회량보다 25%를 증가시
켜 추가유지용량으로 투여가능
마취유도(다른 마취제 투여전 전신마취 유도목적) -
1) 전투약을 실시하지 않은 환자 : 마취유도 초회용량으로 본제로서 체중 kg당
0.3~0.35mg/kg을 20~30초에 걸쳐 주사
2) 전투약을 실시한 환자 - 환자가 진정제 EH는 진통제를 전투약 받은 경우(특히 마약
성 진통제 전투약) 본제로서 체중 kg당 0.25mg을 20~30초에 걸쳐 주사
중환자실 환자의 장기간 진정 - 부하용량으로 0.03~0.3mg/kg, 유지용량으로 0.03~0.2
mg/kg을 bolus 정맥주사 또는 지속적 정맥주입
* 부작용 : 두통, 주사부위의 동통, 경결, 발적, 근강직, 기관경령, 호흡곤란, 기도폐색, 빈호
흡, 객담증가, 빈맥, 조율, 부정맥, 유연과다, 구토, 다행증, 착란, 불안, 운동실조, 어지러
움, 불쾌감, 언어차질, 발성곤란, 지각이상, 복시, 안구진탕증, 동공축소, 혈종 등
* 금기 : 본제 및 다른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 과민증 환자, 급성 협우각형 녹내장 환자, 쇽
또는 혼수상태의 환자, Vital sign이 억제된 급성 알코올 중독환자, 수면무호흡증후군 환
자, 알코올 또는 약물 의존성 환자, 급성 호흡부전 환자
* 주의 : 폐심성, 만성폐쇄성 폐질환, 기관지 천식 및 뇌혈관 장애의 급성기 등에서 호흡기
능이 저하된 경우, 심장애(예:울혈성 심부전)환자, 중증의 근무력 환자, 고령자, 쇠약환자,
뇌의 기질적 장애환자, 만성 신부전환자, 비대상성의 급성 질환(예:중증의 체약 또는 전해
질 장애)환자, 수면제, 진통제, 항정신병약, 항우울약, 리튬으로 인한 급성 중독 환자, 척
추성 또는 소뇌성 운동실조 환자
◎ Lasix
* 약효분류 : 이뇨제(Diuretics)
* 효능효과 : 고혈압(본태성, 신성 등), 심성부종(울혈성심부전), 신성부종, 간성부종(복수),
말초혈관성 부종
* 용법용량 :
성인 - 푸로세미드로서 1일 1회 20~40mg을 정맥 EH는 근육주사, 충분한 효과가 나타
나지 않을 경우 2시간마다 20mg씩 증량하여 1일 1~2회 주사
소아 - 체중 kg당 1mg을 정맥 또는 근육주사, 충분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에는 2
시간마다 체중 kg당 1mg씩 증량하여 주사
* 부작용 : 무과립구증, 혈소판/백혈구 감소증, 발진, 담마진, 저K/Na혈증, 식욕부진, 구토,
설사, 두통, 현기, (대량,급속주사시)일과성 난
500~1500ml)을 추가하여 점적 정주 가능
범발성 혈관내 혈액응고증 - 1일량 20~39mg/kg의 범위내에서 24시간에 걸쳐서 정맥내
로 지속 투여
* 부작용 : 쇽, 발진, 소양감, 안면홍조, 정맥염, 혈관통, 발적, 염증, 혈압강하, 오심, 출혈경
향 등
* 금기 : 본제 과민증의 기왕력자
* 주의 : 임부, 가임부
◎ Botropas
* 약효분류 : 지혈제, 혈액응고제
* 효능효과 : 출혈, 1차 및 2차 출혈증후군의 치료 및 예방
* 용법용량 :
출혈예방 - 수술전 2~4시간 1앰플을 근육주사하거나 수술직전 1앰플을 정맥주사
정상치료 - 1일 1앰플 이상 근육주사
위급치료 - 긴급시 또는 출혈이 연장될 경우 정맥주사, 필요시 투여반복
피부과 - 대상포진의 증후에 첫 이틀동안 1앰플을 8시간마다 근육주사하고 셋째날부터
12시간 간격으로 근육주사
소아용량 - 1앰플을 8시간마다 근육주사
* 부작용 : 과민증상, 쇽 유사증상
* 금기 : 과민증의 기왕력자, 정맥 동맥 혈전증 환자, 혈관내 산재된 응고증후 환자
◎ Hartmann
* 약효분류 : Parenteral Nutritional Products
* 효능효과 :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 보정, 대사성아시도시스(산
증)의 보정, 에너지보급
* 용법용량 : 1회 500~1000ml 점적 정맥주사, 투여속도는 포도당으로서 0.5g/kg/hr 이하
* 부작용 : (대량, 급속투여)뇌부종, 폐부종, 말초부종 등
* 금기 : 젖산혈증 환자
* 주의 : 신부전환자, 심부전환자, 고장성탈수증환자, 폐쇄성요로질환으로 인해 요량이 감소
하고 있는 환자, 심한 간장애환자
◎ Dopamine
* 약효분류 : 기타 심혈관계 약물
* 효능효과 : 심근경색, 외상, 내독성패혈증, 수술후신장애만성심대상부전증(울혈성심부전)
으로 인한 쇽, 핍뇨, 무뇨증,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저혈압
* 용법용량 : 염산도파민으로서 체중 kg당 2.5mcg/min을 정맥주사, 중증의 경우에는 체중
kg당 5~10mcg/min에서 20~50mcg/min까지 증량하여 정맥주사 가능
* 부작용 : 심실성기외수축, 부정맥, 구역, 구토, 복통, 복부팽만, 협심증, 호흡곤란, 두통, 기
모, 혈관수축, 정맥염
* 금기 : 크롬친화세포종 환자, 빈맥성 부정맥 환자, 심실세동 환자, 갑상선중독증 환자, 폐
쇄우각형녹내장 환자
* 주의 : 말초혈관장애 환자
(당뇨병, 알코올중독, 동상, 동맥경화증, 레이노증후군, 버거병 등)
◎ Dormicum
* 약효분류 : 수면진정제 및 신경안정제
* 효능효과 : 수술전 진정(수면 또는 가면상태 유도 및 분안경감) 및 수술전후의 기억력장
애 목적으로 근육주사, 기관지경 검사, 위경검사, 방광경 검사, 혈관 조영술 및 심장 카테
터법과 같은 단시간 진단 또는 내시경 검사전 의식하의 진정목적으로 단독 또는 마약성
진통제와 병용하여 정맥주사, 다른 마취제 투여전 전신마취 유도목적으로 정맥주사 및 단
시간 외과처치시 N2O/O2(균형마취)의 정맥용 보조제, 중환자실 환자의 장기간 진정 목적
으로 bolus 정맥주사 또는 지속적 정맥주입
* 용법용량 :
수술전 진정(수면 또는 가면상태 유도 및 불안경감) 및 수술전후의 기억력장애 -
체중 kg당 0.07~0.08mg을 수술 약 1시간 전에 근육주사
내시경 또는 심혈관계 처치 - 원하는 효과(예:언어발현장애)가 나타날 때까지 천천히 증
량, 본제로서 초회량으로 2~2.5mg(0.035mg/kg)을, 고령자나 쇠약환자는 1~1.5mg을
2~3분 동안 정맥주입, 원하는 진정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 초회량보다 25%를 증가시
켜 추가유지용량으로 투여가능
마취유도(다른 마취제 투여전 전신마취 유도목적) -
1) 전투약을 실시하지 않은 환자 : 마취유도 초회용량으로 본제로서 체중 kg당
0.3~0.35mg/kg을 20~30초에 걸쳐 주사
2) 전투약을 실시한 환자 - 환자가 진정제 EH는 진통제를 전투약 받은 경우(특히 마약
성 진통제 전투약) 본제로서 체중 kg당 0.25mg을 20~30초에 걸쳐 주사
중환자실 환자의 장기간 진정 - 부하용량으로 0.03~0.3mg/kg, 유지용량으로 0.03~0.2
mg/kg을 bolus 정맥주사 또는 지속적 정맥주입
* 부작용 : 두통, 주사부위의 동통, 경결, 발적, 근강직, 기관경령, 호흡곤란, 기도폐색, 빈호
흡, 객담증가, 빈맥, 조율, 부정맥, 유연과다, 구토, 다행증, 착란, 불안, 운동실조, 어지러
움, 불쾌감, 언어차질, 발성곤란, 지각이상, 복시, 안구진탕증, 동공축소, 혈종 등
* 금기 : 본제 및 다른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 과민증 환자, 급성 협우각형 녹내장 환자, 쇽
또는 혼수상태의 환자, Vital sign이 억제된 급성 알코올 중독환자, 수면무호흡증후군 환
자, 알코올 또는 약물 의존성 환자, 급성 호흡부전 환자
* 주의 : 폐심성, 만성폐쇄성 폐질환, 기관지 천식 및 뇌혈관 장애의 급성기 등에서 호흡기
능이 저하된 경우, 심장애(예:울혈성 심부전)환자, 중증의 근무력 환자, 고령자, 쇠약환자,
뇌의 기질적 장애환자, 만성 신부전환자, 비대상성의 급성 질환(예:중증의 체약 또는 전해
질 장애)환자, 수면제, 진통제, 항정신병약, 항우울약, 리튬으로 인한 급성 중독 환자, 척
추성 또는 소뇌성 운동실조 환자
◎ Lasix
* 약효분류 : 이뇨제(Diuretics)
* 효능효과 : 고혈압(본태성, 신성 등), 심성부종(울혈성심부전), 신성부종, 간성부종(복수),
말초혈관성 부종
* 용법용량 :
성인 - 푸로세미드로서 1일 1회 20~40mg을 정맥 EH는 근육주사, 충분한 효과가 나타
나지 않을 경우 2시간마다 20mg씩 증량하여 1일 1~2회 주사
소아 - 체중 kg당 1mg을 정맥 또는 근육주사, 충분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에는 2
시간마다 체중 kg당 1mg씩 증량하여 주사
* 부작용 : 무과립구증, 혈소판/백혈구 감소증, 발진, 담마진, 저K/Na혈증, 식욕부진, 구토,
설사, 두통, 현기, (대량,급속주사시)일과성 난
키워드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유방암 case
위암 case study
rectal ca. case study
폐암 CASE STUDY(malignant noeplasm of bronchus & lung ca.)
Peptic Ulcer, Adenocarcinoma of stomach study case, 소화기내과(GI) case study
COPD 환자 CASE STUDY.
폐암, lung ca. 간호진단 간호과정 문헌고찰
위암의 간호과정(case study)
직장암 case
(간호학) Thyroid cancer - Thyroidectomy 대상자의 case study
위암 case-Body of stomach, malignant neoplasm
난소암case study +전학습(혈관조영술 시술방법&간호)
thyroid ca case study입니다.(갑상선암)
[동서협진과 CASE] Dysphagia를 주소로 하는 환자 1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