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피부(Skin)
1. 피부의 구조
2. 피부의 기능
3. 피부계 장애 환자의 병변 형태
-화상(Burn)
1. 화상의 의의
2. 화상환자의 상태에 따른 분류
3. 화상원인에 따른 분류
4. 화상부위의 국소적 변화와 전신적 변화
-화상환자의 간호
1. 응급기
2. 급성기
3. 재활기
-화상환자를 위한 검사 및 임상적 의의
1. 피부의 구조
2. 피부의 기능
3. 피부계 장애 환자의 병변 형태
-화상(Burn)
1. 화상의 의의
2. 화상환자의 상태에 따른 분류
3. 화상원인에 따른 분류
4. 화상부위의 국소적 변화와 전신적 변화
-화상환자의 간호
1. 응급기
2. 급성기
3. 재활기
-화상환자를 위한 검사 및 임상적 의의
본문내용
피부(Skin)
1.피부의 구조
(1) 표 피
(2) 진 피
태생기의 외배엽에서 기원
두께 - 0.04mm~1.6mm
세포
① 멜라닌 색소 형성 세포
-색소과립을 만들고 이것은 피부 색소를 포함
② 각질 형성 세포
③ 랑겔한스세포
-세포성 매개의 피부면역 작용
구성
① 각질층: 표피의 가장 외층으로 각화되 는 세포.
② 투명층: 손바닥 발바닥의 두꺼운 피부 에서 볼 수 있는 얇은 투명층.
③ 과립층: 과립세포층.
④ 유극층: 극세포층 때로 말피기층으로도 분류됨
⑤ 배아층: 피부의 깊은 층으로 이 부분의 손상이 없어야 조직 재생이 가 능함.
결체조직으로 이루어짐
두께 - 1~4mm
기능
-피부층으로 표피를 지지하여 주고 있 으며 피하 지방 조직과는 분리되어 있다.
-상처치유 촉진 :섬유아세포로 대식세포와 림프구를 포함
-피부의 평형 상태 유지에 작용한다.
(진피의 림프 조직, 신경 조직, 혈관 조직)
섬유세포 ( 진피를 이룸)
① 교원섬유: 섬유소성단백으로 진피의 70% 를 차지함
② 망상섬유: 교원섬유 다발과의 연결을 도움
③ 탄력섬유: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켜준다.
통증, 온각, 촉각을 감지하는 신경섬유망이 분포
(3) 피하지방
(4) 부속장기
결체조직으로 이루어짐.
피하지방층이 없는 부위 : 눈꺼풀, 고환, 젖무리, 경골 등에는 없다.
피하지방층이 두꺼운 곳 : 등, 둔부 등
영향요인: 연령, 유전요인 그외 많은 다 른 요인
누출분비샘 : 피부의 모든 영역에 분포하고 고 있으나 음격 표피,고막, 입술 가장자리에는 분포되어 있지 않다.
부분분비샘 : 모낭에 분비샘의 관이 개구되 고 있으며 피부 표면에는 거 의 개구되고 있지 않다.
기름샘
-손바닥, 발바닥을 제외한 피부에 분포
- 활동은 일생을 통해서 자연히 바뀐다.
모발: 털주머니로부터 자라나오는 각질화된 구조
손톱: 딱딱한 각질화된 표피구조물
2. 피부의 기능
①수분과 전해질 상실을 방지하여 내적환경을 유지하고 외부손상으로부터 보호
②영양물질을 저장, 합성 - 과잉 포도당은 지방으로 전환하여 피하조직내에 저장하고 필요 시에 다시 포도당으로 전환하고 이용한다. 자외선을 이용하여 비타민 D를 합성하고 칼
1.피부의 구조
(1) 표 피
(2) 진 피
태생기의 외배엽에서 기원
두께 - 0.04mm~1.6mm
세포
① 멜라닌 색소 형성 세포
-색소과립을 만들고 이것은 피부 색소를 포함
② 각질 형성 세포
③ 랑겔한스세포
-세포성 매개의 피부면역 작용
구성
① 각질층: 표피의 가장 외층으로 각화되 는 세포.
② 투명층: 손바닥 발바닥의 두꺼운 피부 에서 볼 수 있는 얇은 투명층.
③ 과립층: 과립세포층.
④ 유극층: 극세포층 때로 말피기층으로도 분류됨
⑤ 배아층: 피부의 깊은 층으로 이 부분의 손상이 없어야 조직 재생이 가 능함.
결체조직으로 이루어짐
두께 - 1~4mm
기능
-피부층으로 표피를 지지하여 주고 있 으며 피하 지방 조직과는 분리되어 있다.
-상처치유 촉진 :섬유아세포로 대식세포와 림프구를 포함
-피부의 평형 상태 유지에 작용한다.
(진피의 림프 조직, 신경 조직, 혈관 조직)
섬유세포 ( 진피를 이룸)
① 교원섬유: 섬유소성단백으로 진피의 70% 를 차지함
② 망상섬유: 교원섬유 다발과의 연결을 도움
③ 탄력섬유: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켜준다.
통증, 온각, 촉각을 감지하는 신경섬유망이 분포
(3) 피하지방
(4) 부속장기
결체조직으로 이루어짐.
피하지방층이 없는 부위 : 눈꺼풀, 고환, 젖무리, 경골 등에는 없다.
피하지방층이 두꺼운 곳 : 등, 둔부 등
영향요인: 연령, 유전요인 그외 많은 다 른 요인
누출분비샘 : 피부의 모든 영역에 분포하고 고 있으나 음격 표피,고막, 입술 가장자리에는 분포되어 있지 않다.
부분분비샘 : 모낭에 분비샘의 관이 개구되 고 있으며 피부 표면에는 거 의 개구되고 있지 않다.
기름샘
-손바닥, 발바닥을 제외한 피부에 분포
- 활동은 일생을 통해서 자연히 바뀐다.
모발: 털주머니로부터 자라나오는 각질화된 구조
손톱: 딱딱한 각질화된 표피구조물
2. 피부의 기능
①수분과 전해질 상실을 방지하여 내적환경을 유지하고 외부손상으로부터 보호
②영양물질을 저장, 합성 - 과잉 포도당은 지방으로 전환하여 피하조직내에 저장하고 필요 시에 다시 포도당으로 전환하고 이용한다. 자외선을 이용하여 비타민 D를 합성하고 칼
추천자료
피부 간호사정
견인장치와 간호, 부동환자의 간호, 석고붕대와 간호, 수술환자를 위한 약물, 수액요법과 간...
[환자간호사례][간호사례][환자][간호][수술환자간호] 만성신부전환자간호사례, 안수술환자간...
[간호사례][심장수술환자][심근경색증환자][쇼크환자][안수술환자][위암수술환자][신장장애환...
피부이식과 간호
[가정간호][가정간호사업][가정간호수가제정][환자청결][산욕기]가정간호의 정의, 가정간호의...
아동 통증, 피부손상위험성 간호과정
성인간호학-산소교환장애, 영양장애(소화기게,간담냥,췌장), 조절장애(신경계,내분비계), 운...
신경학적 기능장애를 가진 환자의 간호 Ⅰ - 무의식 환자 간호, 두개내압 상승, 두통, 감염성...
성인간호학케이스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 - 통증, 피부손상위험성, 낙상위험성
아동간호학 피부감각계 ppt및 관련논문 요약,case study
간호학특론A형-파슨즈환자역할] 파슨즈의 환자역할 1) 대상자2인 인구사회적, 생활습관특성 2...
성인간호학] 1.영양지원방법의 유형, 적응증 및 장단점 비교, 간호중재방법 2.당뇨병 환자 급...
성인간호학 1영양지원 방법의 유형 적응증 장단점 영양지원방법 간호중재방법 2당뇨병 환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