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화상환자의 간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논문] 화상환자의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피부(Skin)
1. 피부의 구조
2. 피부의 기능
3. 피부계 장애 환자의 병변 형태

-화상(Burn)
1. 화상의 의의
2. 화상환자의 상태에 따른 분류
3. 화상원인에 따른 분류
4. 화상부위의 국소적 변화와 전신적 변화

-화상환자의 간호
1. 응급기
2. 급성기
3. 재활기

-화상환자를 위한 검사 및 임상적 의의

본문내용

피부(Skin)
1.피부의 구조
(1) 표 피
(2) 진 피
태생기의 외배엽에서 기원
두께 - 0.04mm~1.6mm
세포
① 멜라닌 색소 형성 세포
-색소과립을 만들고 이것은 피부 색소를 포함
② 각질 형성 세포
③ 랑겔한스세포
-세포성 매개의 피부면역 작용
구성
① 각질층: 표피의 가장 외층으로 각화되 는 세포.
② 투명층: 손바닥 발바닥의 두꺼운 피부 에서 볼 수 있는 얇은 투명층.
③ 과립층: 과립세포층.
④ 유극층: 극세포층 때로 말피기층으로도 분류됨
⑤ 배아층: 피부의 깊은 층으로 이 부분의 손상이 없어야 조직 재생이 가 능함.
결체조직으로 이루어짐
두께 - 1~4mm
기능
-피부층으로 표피를 지지하여 주고 있 으며 피하 지방 조직과는 분리되어 있다.
-상처치유 촉진 :섬유아세포로 대식세포와 림프구를 포함
-피부의 평형 상태 유지에 작용한다.
(진피의 림프 조직, 신경 조직, 혈관 조직)
섬유세포 ( 진피를 이룸)
① 교원섬유: 섬유소성단백으로 진피의 70% 를 차지함
② 망상섬유: 교원섬유 다발과의 연결을 도움
③ 탄력섬유: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켜준다.
통증, 온각, 촉각을 감지하는 신경섬유망이 분포
(3) 피하지방
(4) 부속장기
결체조직으로 이루어짐.
피하지방층이 없는 부위 : 눈꺼풀, 고환, 젖무리, 경골 등에는 없다.
피하지방층이 두꺼운 곳 : 등, 둔부 등
영향요인: 연령, 유전요인 그외 많은 다 른 요인
누출분비샘 : 피부의 모든 영역에 분포하고 고 있으나 음격 표피,고막, 입술 가장자리에는 분포되어 있지 않다.
부분분비샘 : 모낭에 분비샘의 관이 개구되 고 있으며 피부 표면에는 거 의 개구되고 있지 않다.
기름샘
-손바닥, 발바닥을 제외한 피부에 분포
- 활동은 일생을 통해서 자연히 바뀐다.
모발: 털주머니로부터 자라나오는 각질화된 구조
손톱: 딱딱한 각질화된 표피구조물
2. 피부의 기능
①수분과 전해질 상실을 방지하여 내적환경을 유지하고 외부손상으로부터 보호
②영양물질을 저장, 합성 - 과잉 포도당은 지방으로 전환하여 피하조직내에 저장하고 필요 시에 다시 포도당으로 전환하고 이용한다. 자외선을 이용하여 비타민 D를 합성하고 칼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7.12.13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19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