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수화물 정성 실험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적
◆ 재료
※실험 방법시 주의사항
A. Felhling 실험
B. Anthrone 실험
C. Benedict 실험
D. Barfoed 실험
E. 케토오스 실험
◆ 고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는데 실험에서 중탕시 처음에는 변화가 없다가 시간이 좀 지난후에 약간의 청회색의 빛을 도는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실험의 목적처럼 오랜 반응으로 인하여 이당류 역시 양성반응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나머지 Clucose, Martose도 약하게 나마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보아서 중탕의 시간적인 변화로 인하여 이당류도 양성반응을 보인것 같다.
D. Barfoed 실험은 환원당 중에서 단당류와 이당류를 구분하기위한 실험으로 가 약산 용액중에서 당질의 환원기에 의해 환원되어 침전된다. 이때 단당류의 반응이 훨씬 빠르게 일어나고 이당류는 오래 가열해서 단당류로 가수분해되면서 반응이 나타난다. 이 시험이 Benedit 실험과 다른 것은 반응이 산성 조건 내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 Barfoed 실험에서 생기는 Cu2O 는 Fehling 시험 또는 Benedict 시험에서 생기는 적갈색의 Cu2O에 비해 덜 치밀하기 때문에 한참 동안 두어야만 침전이 생기게 된다. 또 그것은 적갈색이 아니고 짙은 빨간색을 띤다. 탄수화물이 환원되면서 적갈색의 침전물이 생성되는 것으로 Fructose는 다른 탄수화물에 비해 환원성이 더 강하다고 볼 수 있었다.
E. 케토오스 반응 (seliwanoff 반응)에서 케토오스(ketose)는 일반적으로 알토오스보다 염산에 의해 더 빨리 탈수반응을 일으켜 furfural 유도체로 되고, 이것이 레조르시놀(m-디히드록시벤젠)과 반응하여 붉은색의 축합물을 만든다. 알토오스를 염산과 함께 오랫동안 가열했을 때에도 furfural 유도체가 생기므로 seliwanoff 반응에서는 가열시간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 반응은 케토오스의 비색 정량에 이용된다. 케토오스를 함유하는 다당류가 존재하면 적색을 나타내는 케토오스 검출용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는 실험인 것이다. 우리 조의 실험결과 0.2%glucose에서만 옅은 살구빛의 색변화가 있었다. 이는 glucose는 케토오스를 함유하는 다당류라는 사실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하지만 0.1%glucose에서는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은점을 미루어 볼때 일정량의 차이에 의해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 참고문헌
- 네이버 백과사전:http://100.naver.com/100.nhn?docid=15207
- 실험 생화학, 탐구당, 한국생화학회, 1982
- 일반화학 제4판, 녹문당, John McMurry Robert C. Fay, 2005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2.15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24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