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웨슬레 생애
2. 웨슬레 시대의 신학
3. 웨슬레 신학
2. 웨슬레 시대의 신학
3. 웨슬레 신학
본문내용
에게 처벌은 면하도록 해주지만 여전히 실제적인 죄의 생활 안에 거하도록 내버려 두는 것이다. 두 번째, 하나님의 칭의의 은혜는, 오로지 사람의 도덕적 상태와 관련이 있으며 도덕적 법에 따라 작용한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의 칭의의 은혜는 사람 자신이 이미 실제로 죄로부터 떠나 있을 때에만 사람에게 처벌을 면하도록 하는 것이며 따라서 의에 도달하도록 하는 수단이 아니라 의의 결과로서 오는 것이다. 전자의 것을 긍정한다면 그것은 하나님의 도덕적 본질을 의심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며 모든 도덕적 기준과 도덕적 계율을 위태롭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후자를 택한다면, 그것은 칭의의 종교적 의미를 단순히 도덕적 실천의 부수물로 격하시키는 것이 될 것이다. 그리하여 도덕이 만물을 척도하는 기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종교는 종교적 계율에 종속될 것이고 칭의에 있어서 하나님의 행위는 단순히 재판관의 언도 이상을 넘어서지 못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영국 교회의 신한은 이러한 법적 개념의 칭의를 주장하는 입장에 있었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가능성 가운데 두 번째의 것을 받아들였으며 그리하여 사람은 자신의 구원을 성취하기 위하여 두려움과 떨림으로써 노력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공언하였다.
신앙은 확신이다. 로오드와 같이 웨슬레 부부도 신앙을 동의와 신뢰의 행위라는 인간 행위로 생각했다. 그러나 이러한 동의는 단지 “예수에 관한 복음의 진리”에 대한 동의일 뿐만 아니라 그 복음이 “영향력을 끼치고 실행하는 것”에 대한 동의이기도 하다. 믿음은 홀로 설 수 없다. 그것은 항상 순종의 행위에 의해 지탱되어져야만 한다.
2. 거의 크리스찬
하나님=왕
창 3장 고전 15장
---/ / /-------->
창조 이신칭의 마지막 심판
(The first)Just 영생/영벌
Salvation Last Salvation
개신교는 구원이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로 이루어지지만, 카톨릭에서는 하나님도 은혜를 주시지만, 사람도 열심히 노력하면 공로를 얻을 수 있다고 믿으며 그 열심히 노력한 사람을 성자라 부른다. 개신교와 다른 구원론의 큰 차이점을 볼 수 있다.
하나님
하나님
하나님
↓
↓↑
믿음+행위
↓↑↓
화해의 열매
+간구
인간
인간
인간
<신단동설>
<신인협동설>
?
반정도의 그리스도인(half a Christian)과 완전한 그리스도인(altogether a Christian)은 반대의 모습이다. 로오는 후에 신비주의에 빠지게 된다. 내 영혼을 깨끗하게 하는데 주로 명상이나 기도를 통해서 하는데 내 행동이 하나님과 하나가 되는 것으로 빠지게 된다.
웨슬레가 지금 알고 있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은 율법의 철저한 준행이었다. 하지만, 후에 알게 되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은 율법의 철저한 준행만으로 이루어지는 거시 아니었다. 젊은시절 웨슬레의 특징은 자기부정 내세에 대한 신앙을 가지고 거룩이라는 것을 자기 스스로 생산해 나가는 과정을 가졌었다. 거룩의 자가생산(자력구원). 그러나 회심하면서 똑같은 말을 하면서 말을 하였는데, 내적인 회심을 더욱 강조하였다. 회심전 그 당시에 많은 목회자들이 늦게 일어났는데, 일찍 일어날 것을 강조하였다. 그 시대상 많은 사람들이 낭만을 외치는 생활을 하였는데, 웨슬레는 자기 정원에서 밭을 갈 것을 강조했다. 회심후에는 자기 노력으로 거룩해 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거룩은 내가 생산해 내는 것이 아니다. 내가 거룩해지는 것은 하나님이 생산하시는 것이다. 하나님이 직접 순간적으로 명백히 인식되어지는 방식으로 거룩해진다. 은혜의 수단을 쓰다보면 하나님이 언젠가 역사하신다. 하나님이 역사하지 않으면 앞의 은혜의 수단은 아무 소용이 없다. 그리고 은혜의 수단을 쓰지 않아도 하나님이 역사하시면 거룩해진다라고 말했다. 웨슬레는 하나님의 은혜를 감지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머릿속에 holy living 의 삶만이 있었다. Holy living은 사실 완벽주의를 말하고 있는 것이었다.
자기의(Self-Righteonsness) 개신교의 핵심 믿음이란 하나님의 행동이다. 영혼에 대해 빛을 비추어서 깨닫게 하시는 행동이다.
3. 믿음의 새로운 세계
1738년이 저물 무렵 웨슬레는 영적으로 자유롭게 되었다.
만일 회심을 웨슬레가 이해하고 정의한 의미대로, 사람을 과거의 자아로부터 완전히 돌아서게 하며, 어둠에서부터 벗어나 빛으로 들어가도록 하고, 사탄의 세력으로부터 해방하여 하나님께로 향하게 하며 마음과 정신을 변화시키는 하나님 자신의 행위라고 정의한다면, 올더스케
신앙은 확신이다. 로오드와 같이 웨슬레 부부도 신앙을 동의와 신뢰의 행위라는 인간 행위로 생각했다. 그러나 이러한 동의는 단지 “예수에 관한 복음의 진리”에 대한 동의일 뿐만 아니라 그 복음이 “영향력을 끼치고 실행하는 것”에 대한 동의이기도 하다. 믿음은 홀로 설 수 없다. 그것은 항상 순종의 행위에 의해 지탱되어져야만 한다.
2. 거의 크리스찬
하나님=왕
창 3장 고전 15장
---/ / /-------->
창조 이신칭의 마지막 심판
(The first)Just 영생/영벌
Salvation Last Salvation
개신교는 구원이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로 이루어지지만, 카톨릭에서는 하나님도 은혜를 주시지만, 사람도 열심히 노력하면 공로를 얻을 수 있다고 믿으며 그 열심히 노력한 사람을 성자라 부른다. 개신교와 다른 구원론의 큰 차이점을 볼 수 있다.
하나님
하나님
하나님
↓
↓↑
믿음+행위
↓↑↓
화해의 열매
+간구
인간
인간
인간
<신단동설>
<신인협동설>
?
반정도의 그리스도인(half a Christian)과 완전한 그리스도인(altogether a Christian)은 반대의 모습이다. 로오는 후에 신비주의에 빠지게 된다. 내 영혼을 깨끗하게 하는데 주로 명상이나 기도를 통해서 하는데 내 행동이 하나님과 하나가 되는 것으로 빠지게 된다.
웨슬레가 지금 알고 있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은 율법의 철저한 준행이었다. 하지만, 후에 알게 되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은 율법의 철저한 준행만으로 이루어지는 거시 아니었다. 젊은시절 웨슬레의 특징은 자기부정 내세에 대한 신앙을 가지고 거룩이라는 것을 자기 스스로 생산해 나가는 과정을 가졌었다. 거룩의 자가생산(자력구원). 그러나 회심하면서 똑같은 말을 하면서 말을 하였는데, 내적인 회심을 더욱 강조하였다. 회심전 그 당시에 많은 목회자들이 늦게 일어났는데, 일찍 일어날 것을 강조하였다. 그 시대상 많은 사람들이 낭만을 외치는 생활을 하였는데, 웨슬레는 자기 정원에서 밭을 갈 것을 강조했다. 회심후에는 자기 노력으로 거룩해 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거룩은 내가 생산해 내는 것이 아니다. 내가 거룩해지는 것은 하나님이 생산하시는 것이다. 하나님이 직접 순간적으로 명백히 인식되어지는 방식으로 거룩해진다. 은혜의 수단을 쓰다보면 하나님이 언젠가 역사하신다. 하나님이 역사하지 않으면 앞의 은혜의 수단은 아무 소용이 없다. 그리고 은혜의 수단을 쓰지 않아도 하나님이 역사하시면 거룩해진다라고 말했다. 웨슬레는 하나님의 은혜를 감지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머릿속에 holy living 의 삶만이 있었다. Holy living은 사실 완벽주의를 말하고 있는 것이었다.
자기의(Self-Righteonsness) 개신교의 핵심 믿음이란 하나님의 행동이다. 영혼에 대해 빛을 비추어서 깨닫게 하시는 행동이다.
3. 믿음의 새로운 세계
1738년이 저물 무렵 웨슬레는 영적으로 자유롭게 되었다.
만일 회심을 웨슬레가 이해하고 정의한 의미대로, 사람을 과거의 자아로부터 완전히 돌아서게 하며, 어둠에서부터 벗어나 빛으로 들어가도록 하고, 사탄의 세력으로부터 해방하여 하나님께로 향하게 하며 마음과 정신을 변화시키는 하나님 자신의 행위라고 정의한다면, 올더스케
추천자료
마태,마가,누가,요한 중요장 모음.hwp
복음서 신학(요한복음의 신학)
〈토끼전〉과 「요한시집」의 비교 고찰
장용학(張龍鶴) 요한시집
[신약성경]'요한복음'을 읽고..
장용학 연구 - 요한시집을 중심으로
(신학)요한신학 - 스티븐 S. 스몰리
가톨릭사상 - 예수 그리스도, 요한 복음
[서평] ‘요한복음 맥 잡기’ 를 읽고 _ 신인철 저
[독후감, 요약, 감상문] 요한신학 _ 스티븐 S 스몰리(Stephen S. Smalley) 저
사회복지, 평생교육, 평생교육지도자 분석 (요한하인리히페스탈로치(Pestalozzi, Jgann Heinr...
[서평] 김세윤의 요한복음 강해
[복음福音비평사] 예수님의 사역 준비 (세례요한의 출현, 예수님의 세례 받으심, 예수님께서 ...
[서평] [요한계시록의 비전]을 통한 3가지 반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