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연극개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양연극개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중 국
▲ 일 본
▲ 인 도
▲ 한 국

본문내용

피리 반주를 주로 하는 5음계의 부드러운 악곡이었다.
명대(明代:1368∼1644)에 이르자 지난 시대의 남희가 연극적으로 더욱 발전하여 탕현조(湯顯祖) ·심경(沈璟) 등 ‘전기(傳奇)’라 일컬어지는 다막희곡(多幕戱曲)의 극작가들이 많이 배출되면서 중국연극은 다시금 황금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민간예술로서 발전한 원곡에 대하여 명나라 때의 전기는 다시금 고관 ·귀족들의 손으로 되돌아가 풍아(風雅)하고 화려한 경향을 두드러지게 나타내었다. 전기의 곡조인 남곡은 원나라 말기부터 다양하게 분화해 왔고 16세기 중엽의 가수 위양보(魏良輔)는 당시 유행하던 여러 곡조에다가 북곡의 장점도 가미하여 섬세하고도 우아한 ‘곤산강(崑山腔:崑曲)’을 만들어내었다.
이후 중국연극에는 곤곡이 크게 유행하여 청나라 초기(17세기 중엽)까지 전기의 대부분이 이 곡조에 실려서 상연되었다. 곤곡은 무용성(舞踊性)이 강할 뿐만 아니라 피리 반주를 주로 하였으며, 엄격한 문학형식을 존중함으로써 온아하고도 고상한 연극으로 발전하였다. 무대의 연출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것도 바로 이 시대였다. 배역은 생(生:주역) ·단(旦) ·정 ·축 ·말(단역) 등 원곡이나 남희보다도 더욱 세분되었고, 검보(譜:얼굴 분장)의 창안과 아울러 인물의 신분과 성격에 대한 표현력도 한층 심화되었다. 의상 또한 명대(明代)와 그 이전의 것을 추상(抽象)하여 시대를 초월한 새로운 연극의상이 고안되었으며, 장치나 소도구도 다채롭게 만들어졌다.
그리하여 중국연극의 기본형식은 대개 이 시대에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전기작품(傳奇作品)은 청대(淸代)로 넘어온 뒤에도 《장생전(長生殿)》 《도화선(桃花扇)》 등의 대작이 나타났으나, 18세기에는 ‘아부(雅部)’라 하여 정통시되었던 곤곡도 이윽고 쇠퇴하는 가운데 ‘화부(花部)’라 하여 업신여김을 받아오던 다른 곡조에 의한 민간극들이 성행하기 시작하였다. 1779년 북곡계(北曲系) ‘진강(秦腔)’의 여장남우(女裝男優) 위장생(魏長生)이 베이징[北京]에 진출하였고, 남곡 익양강계(陽腔系) ‘이황조(二黃調)’의 여장남우 고낭정(高朗亭)이 상경한 것은 90년이었다.
이황조는 19세기에 접어들자 정장경(程長庚) 등의 개혁을 거쳐 ‘경극(京劇)’으로 크게 발전하였다. 난해하고 지루한 귀족예술이 되어 있던 곤곡에 대하여 알기 쉽고 명쾌한 단극(短劇)을 주로 하는 경극은 또다시 대중의 기호에 영합하여 일세를 풍미하게 되었다. 그러나 경극은 독창적인 희곡작품을 거의 가지지 못하였으며, 고래의 전설 ·소설 ·연의(演義) ·전기(傳奇) 등을 제재로 하여 그것을 각색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19세기 말까지 중국의 전통극 형식은 마침내 경극으로 집대성되고, 서사적 ·상징적인 표현양식에 있어서는 거의 완성된 경지의 예술로 무르익어갔다. 한편, 중국정권이 성립한 이후 1960년대부터는 내용면에서 경극의 형식이 변혁되기 시작하였으며, 사회주의 연극으로의 변신(變身)을 위하여 13 ·16 ·18세기에 치렀던 중국 연극의 변혁과 맞먹는 경극의 변질이 오늘날 진행되고 있다.
2. 지방극
중국연극은 명대에서 청대에 걸쳐 유행한 다종다양한 곡조들이 각각 그에 알맞은 희곡작품을 필요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수많은 지방극들을 낳게 하였다. 1959년 통계에 따르면, 중국연극의 종류는 469가지로 그 대부분이 각 지방에 산재해 있는 지방극이라고 한다.
중국연극의 역사는 2000년 이상이나 되는 장구한 전통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광대한 국토로 말미암아 지방극의 종류도 이처럼 많아서 세계연극에서 차지하는 위치 또한 매우 중요하다.
주요한 중국연극을 그 곡조의 계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곤산강(崑山腔)은 남곤(南崑:江蘇) ·북곤(北崑:北京), 익양강(陽腔)은 천극(川劇:四川) ·상극(湘劇:湖南) ·감극(劇:江西) ·청양극(靑陽劇:江西) ·휘희(徽:安徽) ·무극(劇:浙江) ·민극(劇:福建), 방자강(子腔)은 진강(秦腔:陝西) ·진극(晉劇:山西) ·하북방자(河北子:河北) ·예극(豫劇:河南), 피황조(皮黃調)는 경극(京劇:北京) ·한극(漢劇:湖北) ·전극(劇:雲南) ·월극(劇:廣東) ·계극(桂劇:廣西), 기타 고전극은 이원희(梨園:福建) ·보선희(仙:福建) ·조극(潮劇:廣東), 근대극은 평극(評劇:河北) ·월극(越劇:浙江) ·호극(劇:上海) ·황매희(黃梅:安徽) ·여극(呂劇:山東), 소수민족극은 장극(藏劇:티베트) ·동희(:廣西) ·취취강(吹吹腔:雲南) ·동희(:貴州)로 구분한다.
이상에서 원래 그 기원은 한 지방극에 지나지 않았으나, 이윽고 전국적으로 보급된 연극도 적지 않다. ‘경극’을 비롯하여 ‘남곤’ ‘월극’ ‘평극’ ‘예극’ ‘진강’ 등이 바로 그와 같은 경우이다.
3. 신 극
중국연극은 20세기에 접어들자 서유럽의 연극 ·가극 ·무용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중국에도 새로운 연극 장르가 생겨났다. 근대극은 20세기 초에 도입되어, 이윽고 전통적인 가무극에 대하여 ‘화극(話劇)’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중국의 신극은 1904년에 창립된 춘류사(春柳社)에서 출발하며, 이 극단의 중심인물은 극작가 어우양 위첸[歐陽予]이었다. 또한, 극작가 톈한[田漢]은 23년에 남국극사(南國劇社)를 창설하고 중국의 배우·연극인들을 길러내었다.
훙선[洪深]은 미국 하버드대학과 보스턴 연극학교에서 연극을 전공하고 돌아와 계몽적인 신극이론을 전개하는 한편, 군벌전쟁에 반대하는 줄거리의 《조염왕(趙閻王)》(1922) 등 희곡을 발표하였다. 중국의 입센으로 일컬어지는 차오 위(曹)는 처녀작 《뇌우(雷雨)》(34)로 일약 명성을 떨친 이래 《일출(日出)》(35) 《황야(荒野)》(36) 등의 명작을 계속 발표하였다. 궈모뤄[郭沫若]는 《굴원(屈原)》(42) 《채문희(蔡文姬)》(59) 《측천무후(則天武后)》(62) 등 일련의 역사극을 집필하였으며, 라오서[老舍:본명 舒慶春]의 《용수구(龍鬚溝)》(50)는 그의 희곡 중에서도 가장 뛰어나 외국에서도 상연되었다. 오늘날 타이완과 중국에는 여러 직업적인 극단이 있으며, 국립극장과 극단이 운영되는 한편, 각 성(省)과 시에는 각각 성립 ·시립 극장과 극단이 있다.
▲ 일 본
일본에 있어 그들
  • 가격2,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01.15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73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