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사투리에 관한조사(월컴투 사투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방사투리에 관한조사(월컴투 사투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사투리란?
1. 정의
2. 발생원인

Ⅱ. 한국의 사투리
1. 사투리의 종류
2. 문학작품(시)을 통해 본 지역별 사투리
(1) 강원도 사투리
(2) 제주도 사투리
(3) 경상도 사투리
(4) 전라도 사투리

본문내용

다. 하지만 대체로 두 가지 구분법 안에서 사투리의 종류를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는 경기, 강원, 충청, 황해도 지역의 사투리를 중부방언으로 보는 견해이다. <표-1>은 중부방언을 기준으로 한 사투리의 종류를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표-2>는 강원도와 충청도를 다른 지역 방언에 편입시키고 있다. 이러한 구분은 각 지역의 사투리가 지니고 있는 어조에 의한 구분이다. 말을 할 때 높고 낮음이 뚜렷한 강원도 방언을 같은 특징을 지닌 경상도 방언과 같은 계열로 본다. 그리고 높고 낮음이 없는 대신 말의 장단(長短)이 충청도 방언을 같은 특징을 지닌 전라도 방언과 같은 계열로 보는 시각이다.
종 류
지 역
관북방언
함경북도와 함경남도 지역을 포함
관서방언
평안북도와 평안남도 지역을 포함
영남방언
경상북도와 경상남도 지역을 포함
호남방언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지역을 포함
중부방언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황해도 지역을 포함
제주방언
제주도와 부속도서 지역을 포함. 탐라방언이라고도 불림
<표-1> 한국의 사투리 구분 1
종 류
지 역
관북방언
함경북도와 함경남도 지역을 포함
관서방언
평안북도와 평안남도 지역을 포함
영남방언
경상북도, 경상남도, 강원도
호남방언
전라북도, 전라남도, 충청도
경기방언
경기도, 서울지역
탐라방언
제주도와 그 부속도서
<표-2> 한국의 사투리 구분 2
지역별 사투리를 위와 같은 방식으로 구분한다 하더라도 각 지역마다 독특한 어휘나 표현법들이 존재한다. 보통 남도지방으로 내려갈수록 사투리가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2. 문학작품(시)을 통해 본 지역별 사투리
노천명 시인의 ‘이름없는 여인이 되어’라는 시를 강원도와 제주도 사투리로 변환하였으며, 마경덕 시인의 ‘아버지의 금시계’를 경상도, 전라도 사투리로 변환하였다.
이름 없는 여인이 되어
노 천 명
어느 자그마한 산골로 들어가
나는 이름 없는 여인이 되고 싶소
초가지붕에 박 넝쿨 올리고
삼밭엔 오이랑 호박을 놓고
들장미로 울타리를 엮어
마당엔 하늘을 욕심껏 들여 놓고
밤이면 실컷 별을 안고
부엉이가 우는 밤도 내사 외롭지 않겠소
기차가 지나가 버리는 마을
놋양푼의 수수엿을 녹여 먹으며
내 좋은 사람과 밤이 늦도록
여우 나는 산골 얘기를 하면
삽살개는 달을 짖고
나는 여왕보다 더 행복하겠소
숭멩 간나 되구수
노 천 명
어대 잰챙이마난 산귀탱이로
내는 승멩 없는 간나 되구수
초가지붕에 고지 넝쿨 올리고
삼밭엔 물외랑 든내놓고
들장미로 울딸을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1.17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75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