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적십자의 연혁
Ⅲ. 적십자의 역할
Ⅳ. 적십자와 청소년적십자(RCY)
1. RCY란
2. RCY성격
3. RCY초창기 활동
4. 역사
1) 세계의 청소년적십자(RCY) 운동
2) 한국의 청소년적십자(RCY) 운동
5. 목적
6. 활동목표
1) 보건(건강과 생명의 보호)
2) 봉사(자원봉사활동)
3) 친선(타인에 대한 이해와 국제친선)
4) 적십자이념 보급
7. 엠블렘
Ⅴ. 대한적십자사의 역사
Ⅵ. 대한적십자사의 활동 사례
참고문헌
Ⅱ. 적십자의 연혁
Ⅲ. 적십자의 역할
Ⅳ. 적십자와 청소년적십자(RCY)
1. RCY란
2. RCY성격
3. RCY초창기 활동
4. 역사
1) 세계의 청소년적십자(RCY) 운동
2) 한국의 청소년적십자(RCY) 운동
5. 목적
6. 활동목표
1) 보건(건강과 생명의 보호)
2) 봉사(자원봉사활동)
3) 친선(타인에 대한 이해와 국제친선)
4) 적십자이념 보급
7. 엠블렘
Ⅴ. 대한적십자사의 역사
Ⅵ. 대한적십자사의 활동 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라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제주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강원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충청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서천 지역어(사투리, 방언), 영동 지역어(사투리, 방언), 육진 지역어(사투리, 방언) 분석
Ⅰ. 전라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1. 음운
2. 말본
Ⅱ. 제주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Ⅲ. 강원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Ⅳ. 충청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Ⅴ. 서천 지역어(사투리, 방언)
1. 유기음화
2. 경음화
Ⅵ. 영동 지역어(사투리, 방언)
1. 모음조화
2. 단모음화
3. 움라우트
Ⅶ. 육진 지역어(사투리, 방언)
1. 음운체계
1) 모음체계
2) 이중모음체계
3) 자음체계
4) 운소체계
2. 음운의 변화와 변동
1) 부사형어미 \'-아/-어\'의 교체
2) 활음화
3) 경음화
4) 자음군단순화
5) 구개음화
참고문헌
Ⅰ. 전라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1. 음운
표준어와 같이 닿소리 19개, 홀소리 10개가 실현되는데 전남 중서부에서는 /ㅔ/와/ㅐ/가 중화되어 9개가 실현된다.
겹홀소리는 전북은 j계의 경우 /ㄴ, ㄹ/이외의 닿소리 아래에서는 홑홀소리로 바뀌며, w계의 경우 특히 입술소리 아래에서 홑홀소리로 바뀐다.
운소로는 길이가 실현되고 있는데, /ㅔ/가 긴소리일 경우 대부분 ‘싯:(셋), 시:상(세상), 닛:(넷), 기:(게), 띠(데)’등과 같이 /ㅣ/로 바뀌는 현상이 자연스럽게 실현된다. 그러나 짧은 소리일 경우는 /ㅐ/와 중화되어 ‘배’와 ‘베’가 구별되지 않는다.
혀끝소리 /ㅅ/아래에서/-/가/ㅣ/로 바뀌는 현상이 ‘구실(구슬), 가심(가슴), 부시럼(부스럼), 머심(머슴), 벼실(벼슬)’과 같이 활발히 실현된다.
//가 북쪽지역으로는 ‘말, 파리’와 같이 /ㅏ/로 대응되며, 남쪽지역에서는 ‘몰, 포리’와 같이 /ㅗ/로 대응되어 경계선이 그어진다.
서남방언의 남부로 갈수록 표준어의 여린 소리나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깔앙그다(가라앉다), 깨구락지(개구리), 따듬독(다듬잇돌), 때롱(대롱), 카마니(가만히), 포도시(겨우), 찰잘하다(자잘하다), 차꼬(자꾸), 참시(잠시)등이 있다.
ㅣ치닮기 현상이 다른 방언보다 더욱 확산되어 ‘되미(도미), 퇴끼(토끼)’는 물론 ‘떼기(떡이), 해기 실타(하기 싫다), 해기 조타(하기 좋다), 헤리(허리)’ 등과 같이 형태소 경계에서도 비교적 활발하게 실현된다.
어중 닿소리‘-b-, -s-, -g-\'이달버요(달라요), 부서(부어), 여수(여우), 무수(무우), 멀구(머루)와 같이 주로 합성어나 파생어에서 많이 남아있다.
거센소리가 끝소리일 경우 홀소리로 시작되는 씨끝과 이어나면 ‘꼬시(꽃이), 바시(밭이), 지비(짚이)’와 같이 여린 소리로 중화되는데 자리토씨‘-에, -에다가’가 결합되면‘바테(밭에)’와 같이 기저형이 드러난다. 그리고 전남의 경우, ‘주벅(주걱), 또가리~또바리(또아리)’와 같이 /ㅂ/과 /ㄱ/이 교체되는 경우가 많으며, ‘숭에(숭어), 고등에(고등어)’와 같이 /ㅏ/가 /ㅐ/나 /ㅔ/로 대응되거나 ‘송굿(송곳), 저구리(저고리), 단초(단추), 기동(기둥), 개고리(개구리)’와 같이 /ㅗ/와 /ㅜ/가 서로 교체된다.
2. 말본
이 방언에 실현되는 특이한 토씨로는 ‘할라(조차), 할차(할라+조차), 에가/까(에서), 라우(요), 이로(으로), 이(에), 기(에게)’등이 있다. ‘라우’의 경우 의문사가 있는 월에는 쓰이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토씨 다음에 ‘가/가서’가 첨가되는 특징이 있다.
예) 혈압할라 높은디 멋 허로 술을 마셔 쌓냐?
우리 고향에가 밤나무가 많다.
우리 아들은 서울까 살아라우.
내가라우 어지께라우 서울 갔는디라우 거그서라우 친구를 만났어라우.
누구세라우?
집이로 간다.
지금 집이 있다.
내기가 무신 돈이 있어?
총각이가서 농사를 지로 들서 감서.
씨끝으로는 ‘-간디/가니/간(-건대)’, ‘-으까마/으까미(-을까봐)’, ‘-구만(-건만), - ㅇ께/당께/이랑께(-니까), -음시/스로(으면서), -닝게/닝게로(니까), -응개(으니까)’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밖에 주체높임 ‘-시-’ 에 대응되는 ‘-겨-’, 인용을 나타내는 ‘-다우’, 물음 씨끝 ‘-(으)ㅂ디여, -(으)ㅂ디껴, -(으)ㅂ딘저’, 상대방을 낮추어 부를 때 ‘-야’를 덧붙이기도 하며, 대부분의 맺음 씨끝에 ‘-잉’을 덧붙여 친근한 다짐 또는 당부를 나타낸다.
예) 누가 오간디 조?게 난리데?
누가 죽이까미 그냐?
비도 오구만 멋허로 나가냐?
아부지 나가겨요?
내일 날이 좋다우.
하네야, 좋다야, 가란디야
그래라우잉, 가지말아잉
부정을 나타낼 때는 ‘안 갔다’와 같이 주로 ‘안’을 사용하며 장형부정(-지 않다)의 경우 ‘-지’ 대신에 ‘-도‘나 ’-든‘을 사용하여 ’가도 안했다‘와 같이 나타낸다. 또한 낱말 부정의 경우 ’있다‘의 부정으로 ’있도 없다‘, ’알다‘의 부정으로 ’알도 모르다‘가 사용된다. 확인물음월에는 ’-잔히여(-잖아)‘가 주로 쓰이고 특이하게 ’안‘을 사용하여 ’내가 안 갔냐?(내가 갔잖아)‘와 같이 쓰이기도 한다. 이 경우 ’안‘과 뒤따르는 풀이씨 사이에 약간의 쉼을 두어야 한다. 만약 ’안‘이 풀이씨와 한 단위를 이루게 되면 부정의 뜻을 가지게 된다. ’안‘이 재확인의 의미로 쓰일 경우 ’우리가 안 항꾼에 안 거그 안 갔다고?(우리가 함께 거기 갔쟎아)‘와 같이 부정의 의미와는 달리 그 위치가 자유롭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이 방언에서는 뿌리와 뿌리의 분리가 자유로와 ‘엿보다, 엿을 쬐까 보다, 엿만 보다, 엿 안 보다’와 같이 중간에 부정의 ‘안’, 이나 도움토씨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
Ⅰ. 전라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1. 음운
2. 말본
Ⅱ. 제주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Ⅲ. 강원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Ⅳ. 충청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Ⅴ. 서천 지역어(사투리, 방언)
1. 유기음화
2. 경음화
Ⅵ. 영동 지역어(사투리, 방언)
1. 모음조화
2. 단모음화
3. 움라우트
Ⅶ. 육진 지역어(사투리, 방언)
1. 음운체계
1) 모음체계
2) 이중모음체계
3) 자음체계
4) 운소체계
2. 음운의 변화와 변동
1) 부사형어미 \'-아/-어\'의 교체
2) 활음화
3) 경음화
4) 자음군단순화
5) 구개음화
참고문헌
Ⅰ. 전라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1. 음운
표준어와 같이 닿소리 19개, 홀소리 10개가 실현되는데 전남 중서부에서는 /ㅔ/와/ㅐ/가 중화되어 9개가 실현된다.
겹홀소리는 전북은 j계의 경우 /ㄴ, ㄹ/이외의 닿소리 아래에서는 홑홀소리로 바뀌며, w계의 경우 특히 입술소리 아래에서 홑홀소리로 바뀐다.
운소로는 길이가 실현되고 있는데, /ㅔ/가 긴소리일 경우 대부분 ‘싯:(셋), 시:상(세상), 닛:(넷), 기:(게), 띠(데)’등과 같이 /ㅣ/로 바뀌는 현상이 자연스럽게 실현된다. 그러나 짧은 소리일 경우는 /ㅐ/와 중화되어 ‘배’와 ‘베’가 구별되지 않는다.
혀끝소리 /ㅅ/아래에서/-/가/ㅣ/로 바뀌는 현상이 ‘구실(구슬), 가심(가슴), 부시럼(부스럼), 머심(머슴), 벼실(벼슬)’과 같이 활발히 실현된다.
//가 북쪽지역으로는 ‘말, 파리’와 같이 /ㅏ/로 대응되며, 남쪽지역에서는 ‘몰, 포리’와 같이 /ㅗ/로 대응되어 경계선이 그어진다.
서남방언의 남부로 갈수록 표준어의 여린 소리나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깔앙그다(가라앉다), 깨구락지(개구리), 따듬독(다듬잇돌), 때롱(대롱), 카마니(가만히), 포도시(겨우), 찰잘하다(자잘하다), 차꼬(자꾸), 참시(잠시)등이 있다.
ㅣ치닮기 현상이 다른 방언보다 더욱 확산되어 ‘되미(도미), 퇴끼(토끼)’는 물론 ‘떼기(떡이), 해기 실타(하기 싫다), 해기 조타(하기 좋다), 헤리(허리)’ 등과 같이 형태소 경계에서도 비교적 활발하게 실현된다.
어중 닿소리‘-b-, -s-, -g-\'이달버요(달라요), 부서(부어), 여수(여우), 무수(무우), 멀구(머루)와 같이 주로 합성어나 파생어에서 많이 남아있다.
거센소리가 끝소리일 경우 홀소리로 시작되는 씨끝과 이어나면 ‘꼬시(꽃이), 바시(밭이), 지비(짚이)’와 같이 여린 소리로 중화되는데 자리토씨‘-에, -에다가’가 결합되면‘바테(밭에)’와 같이 기저형이 드러난다. 그리고 전남의 경우, ‘주벅(주걱), 또가리~또바리(또아리)’와 같이 /ㅂ/과 /ㄱ/이 교체되는 경우가 많으며, ‘숭에(숭어), 고등에(고등어)’와 같이 /ㅏ/가 /ㅐ/나 /ㅔ/로 대응되거나 ‘송굿(송곳), 저구리(저고리), 단초(단추), 기동(기둥), 개고리(개구리)’와 같이 /ㅗ/와 /ㅜ/가 서로 교체된다.
2. 말본
이 방언에 실현되는 특이한 토씨로는 ‘할라(조차), 할차(할라+조차), 에가/까(에서), 라우(요), 이로(으로), 이(에), 기(에게)’등이 있다. ‘라우’의 경우 의문사가 있는 월에는 쓰이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토씨 다음에 ‘가/가서’가 첨가되는 특징이 있다.
예) 혈압할라 높은디 멋 허로 술을 마셔 쌓냐?
우리 고향에가 밤나무가 많다.
우리 아들은 서울까 살아라우.
내가라우 어지께라우 서울 갔는디라우 거그서라우 친구를 만났어라우.
누구세라우?
집이로 간다.
지금 집이 있다.
내기가 무신 돈이 있어?
총각이가서 농사를 지로 들서 감서.
씨끝으로는 ‘-간디/가니/간(-건대)’, ‘-으까마/으까미(-을까봐)’, ‘-구만(-건만), - ㅇ께/당께/이랑께(-니까), -음시/스로(으면서), -닝게/닝게로(니까), -응개(으니까)’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밖에 주체높임 ‘-시-’ 에 대응되는 ‘-겨-’, 인용을 나타내는 ‘-다우’, 물음 씨끝 ‘-(으)ㅂ디여, -(으)ㅂ디껴, -(으)ㅂ딘저’, 상대방을 낮추어 부를 때 ‘-야’를 덧붙이기도 하며, 대부분의 맺음 씨끝에 ‘-잉’을 덧붙여 친근한 다짐 또는 당부를 나타낸다.
예) 누가 오간디 조?게 난리데?
누가 죽이까미 그냐?
비도 오구만 멋허로 나가냐?
아부지 나가겨요?
내일 날이 좋다우.
하네야, 좋다야, 가란디야
그래라우잉, 가지말아잉
부정을 나타낼 때는 ‘안 갔다’와 같이 주로 ‘안’을 사용하며 장형부정(-지 않다)의 경우 ‘-지’ 대신에 ‘-도‘나 ’-든‘을 사용하여 ’가도 안했다‘와 같이 나타낸다. 또한 낱말 부정의 경우 ’있다‘의 부정으로 ’있도 없다‘, ’알다‘의 부정으로 ’알도 모르다‘가 사용된다. 확인물음월에는 ’-잔히여(-잖아)‘가 주로 쓰이고 특이하게 ’안‘을 사용하여 ’내가 안 갔냐?(내가 갔잖아)‘와 같이 쓰이기도 한다. 이 경우 ’안‘과 뒤따르는 풀이씨 사이에 약간의 쉼을 두어야 한다. 만약 ’안‘이 풀이씨와 한 단위를 이루게 되면 부정의 뜻을 가지게 된다. ’안‘이 재확인의 의미로 쓰일 경우 ’우리가 안 항꾼에 안 거그 안 갔다고?(우리가 함께 거기 갔쟎아)‘와 같이 부정의 의미와는 달리 그 위치가 자유롭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이 방언에서는 뿌리와 뿌리의 분리가 자유로와 ‘엿보다, 엿을 쬐까 보다, 엿만 보다, 엿 안 보다’와 같이 중간에 부정의 ‘안’, 이나 도움토씨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
추천자료
나주 방언(지역어, 사투리), 목포 방언(지역어, 사투리), 거문도 방언(지역어, 사투리), 무주...
지역어(사투리, 방언) 정의, 지역어(사투리, 방언) 가치, 지역어(사투리, 방언) 연구, 지역어...
방언(사투리, 지역어) 정의와 종류, 방언(사투리, 지역어)에 대한 태도, 방언(사투리, 지역어...
강원도 방언(사투리,지역어), 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
제주도와 경기도 방언(지역어, 사투리) 사례, 강원도와 충청도 방언(지역어, 사투리) 사례, ...
전라도 사투리(방언,지역어) 사례, 평안도 사투리(방언,지역어) 사례, 황해도 사투리(방언,지...
강원도 지역어(방언, 사투리)사례, 경상도 지역어(방언, 사투리)사례, 제주도 지역어(방언, ...
사투리(방언, 지역어) 특성, 사투리(방언, 지역어) 분화, 사투리(방언, 지역어) 수집, 사투리...
사투리(지역어, 방언)의 의미와 분류, 사투리(지역어, 방언)의 가치와 표준어화, 사투리(지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