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줄거리
요점정리(작가,주제...)
구조
이해와 감상
설국과 구운몽
요점정리(작가,주제...)
구조
이해와 감상
설국과 구운몽
본문내용
4. 소설의 서술과 문체
1. 다음의 표를 보고, 소설의 서술 방식과 시점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자.
구분
사건의 내부적인 분석
사건의 외부적인 관찰
서술자가 이야기 속의 인물인 경우
() 주동적 인물이 자신의 이야기를 함
() 부차적 인물이 주동적 인물의 이야기를 함.
서술자가 이야기 속의 인물이 아닌 경우
() 분석적 혹은 전지적 작가가 인물의 사상이나 감정속에 들어가서 이야기함.
() 작가가 외적 관찰자로서 이야기를 함.
(1) ()-()의 서술 방식을 시점과 결부시켜 설명해 보자.
()1인칭 주인공 시점, ()1인칭 관찰자 시점,()전지적 작가 시점, ()작가 관찰자 시점
]
(2) ()의 경우와 같은 서술 방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지 알아보자.
주인공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는 데 적절한 방식이다.
(3)()에서의 부차적 인물과 주동적 인물은 각각 어떤 인물을 말하는지 설명해 보자.
*부차적 인물:나
*주동적 인물:나의 관찰 대상이 되는 주인공
(4)()의 경우와 같은 서술방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이며, 그 서술의 한계는 무엇인지 알아보자.
()은 서술자가 관찰자의 입장이기 때문에 어떤 사건이나 성격의 객관적 묘사에는 효과적인 반면, 주인공의 내면 세계를 표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5)서술자와 서술 대상 사이의 간격이 가장 먼 것은 어느 것인지 지적해 보자.
() 3인칭 관찰자 시점(작가 관찰자 시점)
2. 일인칭 시점에 의한 소설의 서술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일인칭 주인공 시점은 소설의 주인공이 직접 자신의 이야기를 말하도록 고안되어 있어서, 소설 속에서 누구를 그리느냐 하는 성격의 초점과 누구의 입장에서 서술하느냐 하는 서술의 초점이 일치한다. 나라는 주인공이 생각하고 행동한 것을 자신의 입장에서 말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나는 허구적인 인물이지만, 독자들은 나의 이야기를 실제의 일처럼 듣는다. 이 시점은 주인공의 내면 세계를 표현하는 데에 적절한 방식이다
일인칭 관찰자 시점은 소설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부차적인 인물이 주인공의 이야기를 서술하는 방식이다. 나라는 관찰자의 입장에서 본 주인공의 이야기가 소설에서 펼쳐지기 때문에, 일인칭의 시점으로 서술하고 있다 하더라도 이야기의 내용은 나의 눈에 비쳐진 외부 세계가 된다. 일인칭 주인공 시점보다는 서술의 대상에 제한이 많지만, 서술 시점의 주관성과 관찰 대상의 객관성을 함께 유지하는 종합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3. 한국 소설의 문체의 변화에 대해 조사해 보자.
고전 소설의 경우 초기 국문 소설의 언문체는 한문 문장의 번역체와 같은 특성이 강하였다. 그러나 판소리 계열의 소설에서는 문장에 번역체의 문투 대신에 일상적인 언어들이 많이 나타난다. 물론 율문적인 특성은 더욱 강해진다. 그러나 개화 계몽 시대의 신소설에 이르러 번역체의 문장투와 율문적인 특성이 없어지기 시작하여 1920년대 초기 소설부터는 완벽한 일상적인 산문체가 실현된다. 이 시기의 소설 문체는 과거형 서술 문장으로 고정되어 서사적 과거시제를 확립한다.
1. 다음의 표를 보고, 소설의 서술 방식과 시점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자.
구분
사건의 내부적인 분석
사건의 외부적인 관찰
서술자가 이야기 속의 인물인 경우
() 주동적 인물이 자신의 이야기를 함
() 부차적 인물이 주동적 인물의 이야기를 함.
서술자가 이야기 속의 인물이 아닌 경우
() 분석적 혹은 전지적 작가가 인물의 사상이나 감정속에 들어가서 이야기함.
() 작가가 외적 관찰자로서 이야기를 함.
(1) ()-()의 서술 방식을 시점과 결부시켜 설명해 보자.
()1인칭 주인공 시점, ()1인칭 관찰자 시점,()전지적 작가 시점, ()작가 관찰자 시점
]
(2) ()의 경우와 같은 서술 방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지 알아보자.
주인공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는 데 적절한 방식이다.
(3)()에서의 부차적 인물과 주동적 인물은 각각 어떤 인물을 말하는지 설명해 보자.
*부차적 인물:나
*주동적 인물:나의 관찰 대상이 되는 주인공
(4)()의 경우와 같은 서술방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이며, 그 서술의 한계는 무엇인지 알아보자.
()은 서술자가 관찰자의 입장이기 때문에 어떤 사건이나 성격의 객관적 묘사에는 효과적인 반면, 주인공의 내면 세계를 표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5)서술자와 서술 대상 사이의 간격이 가장 먼 것은 어느 것인지 지적해 보자.
() 3인칭 관찰자 시점(작가 관찰자 시점)
2. 일인칭 시점에 의한 소설의 서술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일인칭 주인공 시점은 소설의 주인공이 직접 자신의 이야기를 말하도록 고안되어 있어서, 소설 속에서 누구를 그리느냐 하는 성격의 초점과 누구의 입장에서 서술하느냐 하는 서술의 초점이 일치한다. 나라는 주인공이 생각하고 행동한 것을 자신의 입장에서 말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나는 허구적인 인물이지만, 독자들은 나의 이야기를 실제의 일처럼 듣는다. 이 시점은 주인공의 내면 세계를 표현하는 데에 적절한 방식이다
일인칭 관찰자 시점은 소설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부차적인 인물이 주인공의 이야기를 서술하는 방식이다. 나라는 관찰자의 입장에서 본 주인공의 이야기가 소설에서 펼쳐지기 때문에, 일인칭의 시점으로 서술하고 있다 하더라도 이야기의 내용은 나의 눈에 비쳐진 외부 세계가 된다. 일인칭 주인공 시점보다는 서술의 대상에 제한이 많지만, 서술 시점의 주관성과 관찰 대상의 객관성을 함께 유지하는 종합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3. 한국 소설의 문체의 변화에 대해 조사해 보자.
고전 소설의 경우 초기 국문 소설의 언문체는 한문 문장의 번역체와 같은 특성이 강하였다. 그러나 판소리 계열의 소설에서는 문장에 번역체의 문투 대신에 일상적인 언어들이 많이 나타난다. 물론 율문적인 특성은 더욱 강해진다. 그러나 개화 계몽 시대의 신소설에 이르러 번역체의 문장투와 율문적인 특성이 없어지기 시작하여 1920년대 초기 소설부터는 완벽한 일상적인 산문체가 실현된다. 이 시기의 소설 문체는 과거형 서술 문장으로 고정되어 서사적 과거시제를 확립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