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생애와 저작
사상
교육적 시사점
키에르 케고르의 그리스도와 사랑의 실천
- 그리스도상
- 사랑의 실천
마치면서
사상
교육적 시사점
키에르 케고르의 그리스도와 사랑의 실천
- 그리스도상
- 사랑의 실천
마치면서
본문내용
다. 그는 사랑의 실천(실현)의 본보기고 이상이다. 내 몸을 사랑하듯이 이웃을 사랑하는 것은 자기 사랑의 속박에서 한 걸음 지평을 넓힌 것으로서 연애나 우정과는 다른 사랑인 것이다. 진정한 사랑은 일종의 의무로 이는 사랑을 베푸신 하나님에 대한 보답이다.
마치면서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은 진정한 그리스도인을 가르킨다.
진정한 그리스도인은 신 앞에 홀로 선 단독자로서 그리스도의 인격과 삶을 온 몸과 온 마음으로 느끼며 그 인격과 삶을 본받고 실천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하는 존재이다. 이 존재는 오직 이 한가지를 진리로 여기며 온갖 고뇌와 시련을 극복할 만반의 준비가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같은 정열로 하나의 진리를 믿고 섬기는 모험을 감행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우리는 저마다 진리를 찾아 나선다. 어떠한 방법으로든 간에. 그리고, 존재의 자유를 만끽하고자 한다. 모두 각자 다른 삶이지만, 알고 보면 이를 위한 처절한 몸부림이다. 진리가 있을까라고 곧잘 되뇌기도 하지만 우리는 언제나 각자의 방식으로 이를 - 진리가 있음을 - 전제하고 믿는다. 보편적인 진리를 위해서가 아니다. 그럴 수도 있겠지만 우선은 자기 자신의 삶에 대한 열망을 실현하기 위해서다. 이는 키에르케고르가 말한 주체적, 실존적 삶이다.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는 바로 실존의 문제다. 철학자이기에, 학식자이기에가 아닌 인간으로서다. 키에르케고르의 외침이 살아있음은 바로 여기에 바탕한다. 그 누구도 자신의 삶의 방식이 되는 믿음을 전적으로 확신하지는 못한다. 그렇지만, 신뢰는 가능하다. 어떠한 사람을 훌륭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그것은 더없는 모험이 되겠지만, 스스로의 믿음을 끝까지 따르는 자이다. 믿음, 그것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다. 키에르케고르는 절대자에 대한 믿음을 유일한 실존으로 생각한다. 모든 사람이 그리스도인은 아니다. 그러면 수많은 비 종교인들은 잘못된 삶을 살고 있는가. 그렇지는 않다. 그 믿음이 비록 제각각이지만 충분히 주체적인 실존일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어떠한 믿음이건, 믿음은 형이상학적인 것이고 그 믿음에 일관적안 태도를 갖는다면 우리는 궁극적인 실존을 지향하게 될 것이기에 말이다. 키에르케고르가 제시하는 바는 \'자, 어서 참다운 실존 - 삶 - 을 위해 하느님을 믿으라\'는 교화를 위함이 아니다. 그는 주체적인 진리를 부르짖으면서 이것만이 절대적인 진리와 함께하는 참다운 실존이라고 강요하지는 않았을 테니까 말이다. 그러면 무엇인가. 그것은 무리 속에 숨어 정신적으로 무뎌지고 나태해진 우리를 끄집어내어 고뇌하며 실존하는 자신과 정면으로 대면, 그 삶과 당당하게 겨루라는 메시지일 것이다.
참고문헌
서양철학사의 이해 : 탈레스에서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까지
(박영식 , 철학과 현실사)
(청소년을 위한)서양철학사 : 탈레스에서 푸코까지
(박해용, 두리미디어)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Ⅳ
(연세대학교 교육철학 연구회편 , 교육과학사)
참고사이트
http://cafe.naver.com/gaury.cafe
http://100.naver.com
마치면서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은 진정한 그리스도인을 가르킨다.
진정한 그리스도인은 신 앞에 홀로 선 단독자로서 그리스도의 인격과 삶을 온 몸과 온 마음으로 느끼며 그 인격과 삶을 본받고 실천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하는 존재이다. 이 존재는 오직 이 한가지를 진리로 여기며 온갖 고뇌와 시련을 극복할 만반의 준비가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같은 정열로 하나의 진리를 믿고 섬기는 모험을 감행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우리는 저마다 진리를 찾아 나선다. 어떠한 방법으로든 간에. 그리고, 존재의 자유를 만끽하고자 한다. 모두 각자 다른 삶이지만, 알고 보면 이를 위한 처절한 몸부림이다. 진리가 있을까라고 곧잘 되뇌기도 하지만 우리는 언제나 각자의 방식으로 이를 - 진리가 있음을 - 전제하고 믿는다. 보편적인 진리를 위해서가 아니다. 그럴 수도 있겠지만 우선은 자기 자신의 삶에 대한 열망을 실현하기 위해서다. 이는 키에르케고르가 말한 주체적, 실존적 삶이다.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는 바로 실존의 문제다. 철학자이기에, 학식자이기에가 아닌 인간으로서다. 키에르케고르의 외침이 살아있음은 바로 여기에 바탕한다. 그 누구도 자신의 삶의 방식이 되는 믿음을 전적으로 확신하지는 못한다. 그렇지만, 신뢰는 가능하다. 어떠한 사람을 훌륭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그것은 더없는 모험이 되겠지만, 스스로의 믿음을 끝까지 따르는 자이다. 믿음, 그것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다. 키에르케고르는 절대자에 대한 믿음을 유일한 실존으로 생각한다. 모든 사람이 그리스도인은 아니다. 그러면 수많은 비 종교인들은 잘못된 삶을 살고 있는가. 그렇지는 않다. 그 믿음이 비록 제각각이지만 충분히 주체적인 실존일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어떠한 믿음이건, 믿음은 형이상학적인 것이고 그 믿음에 일관적안 태도를 갖는다면 우리는 궁극적인 실존을 지향하게 될 것이기에 말이다. 키에르케고르가 제시하는 바는 \'자, 어서 참다운 실존 - 삶 - 을 위해 하느님을 믿으라\'는 교화를 위함이 아니다. 그는 주체적인 진리를 부르짖으면서 이것만이 절대적인 진리와 함께하는 참다운 실존이라고 강요하지는 않았을 테니까 말이다. 그러면 무엇인가. 그것은 무리 속에 숨어 정신적으로 무뎌지고 나태해진 우리를 끄집어내어 고뇌하며 실존하는 자신과 정면으로 대면, 그 삶과 당당하게 겨루라는 메시지일 것이다.
참고문헌
서양철학사의 이해 : 탈레스에서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까지
(박영식 , 철학과 현실사)
(청소년을 위한)서양철학사 : 탈레스에서 푸코까지
(박해용, 두리미디어)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Ⅳ
(연세대학교 교육철학 연구회편 , 교육과학사)
참고사이트
http://cafe.naver.com/gaury.cafe
http://100.naver.com
추천자료
실존주의 교육-볼노프(Bollnow)의 교육사상, 교육에 대한 평가, 실존주의의 특징적인 교육사상
[교육철학, 교육사] 교육 사상사 ( 루소 ) - 교육철학, 목적, 과정, 생애, 방법 ,시사점 등 정리
서양 사상가들을 시기별로 정리. 교육철학.
교육철학-루소의 생애와 사상
존 듀이, 생애, 교육철학, 사상
교육사상과 철학 교육사상가-페스탈로치, 루소, 존 듀이, 피히테, 코메니우스
플라톤(Platon)의 사상 및 교육철학
우리나라의 보육 교육사상 및 철학
[교육철학]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비교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과 교육철학과 ...
아동발달 연구에 영향을 준 철학자 중 로크(John Locke)와 루소(Jean Jacques Rousseau)에 대...
나의 교육철학 및 교육 사상
교육철학 정리 - 임용고시 대비 {교육철학,피터스와 허스트,동양 교육철학,진보주의,본질주의...
아동발달 연구에 영향을 준 철학자 중 로크와 루소에 대해 이들의 철학 및 교육사상 그리고 ...
칸트의 교육사상,칸트의 철학,칸트의 종교철학,칸트의 생애,인식론,윤리학,칸트 철학의 영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