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사상가들을 시기별로 정리. 교육철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양 사상가들을 시기별로 정리. 교육철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그리스의 교육 사상가
① 소크라테스(Socrates, B.C. 469~369)
☞ 소크라테스는 아테네 출신 소피스트라고 할 수 있다.
1) 인간 중심의 철학
2) 인간 : 보편적 理性을 지닌 존재
3) 보편적, 절대적 진리 : 이성을 통한 인식
4) 이성주의 철학의 선구⇒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5) 보편적, 절대적, 객관적 윤리관·진리관
6) "惡法도 法이다.” : 진리의 객관적 실재 몸소 실천
7) 지행합일설 (知行合一說)과 지덕복 (知德福) 합일설
* 보편적 이성에 의해 객관적으로 실재하는 진리와 지식을 발견하고 실행할 때 선하고 행복한 삶이 실현됨
* 理性⇒眞理 발견과 실천⇒幸福, 善
* 행복 : 참된 앎(眞知)을 통해 덕(德)을 쌓아갈 때
* "不德은 無知에서 생긴다.”: 無知⇒惡⇒不幸
* 주지주의적 윤리관의 입장
8)“너 자신을 알라.(Know yourself)” : 자신의 무지를 자각(自覺)하라는 뜻
9) 대화법 (문답법) : 반어법 (反語法)과 산파술(産婆術)
10)임종전 최후의 말 - "크리톤, 나는 아스클레오피스에게 닭 한마리를 빚졌네. 자네가 잊지말고 이 빚을 갚아 주겠나?"

② 플라톤(Platon, B.C. 427~342)
1)진리관 : 이데아 (Idea)론 : 2원론, 관념론, 이상주의
* 현상 (現象)세계 : 이데아 세계의 불완전한 模像
* 善의 이데아 : 우주 통괄지배의 궁극적 본질
* 버클리, 칸트, 헤겔로 이어지는 관념론 (idealism)의 선구
현상계현실 세계이데아 세계의 불완전한 모상 (模像)거짓(그림자)의 세계감각적 파악이데아계이상 세계현상세계의 궁극적 본질참(실재)의 세계이성적 인식
2) 인간관 : 이성적 인간
* 참된 삶 : 선의 이데아를 모방해서 이를 실현해 감. (자신의 잠재능력 계발을 통한 자아 실현)
* 자아 실현 : 지혜,용기,절제가 조화를 이루어 정의를 실현할 때 가능함.
* 3영혼과 4주덕 (四主德) - <국가론>에서

목차 1. 그리스의 교육

2. 로마의 교육

3. 중세(5-15C)의 교육

4. 문예부흥기(15-16C)와 종교개혁기의 교육

5. 실학주의

6. 계몽주의 교육(18C)

7. 자연주의

8. 범애주의

9. 신인문주의(19C)

10. 계발주의

11. 국가주의

본문내용

있는 것이 아니라 삶 을 살아가는 지혜를 가지도록 하는 데 있다고 주장. (지식의 가치를 부정하거나 경시한 것은 아님.)
2) 세상 : 가장 훌륭한 교과서
3) 여행 강조 : 우리로 하여금 판단을 할 기회를 풍부하게 제공하며, 우리 자신 의 의견, 습관, 가치관, 지식 등의 불완정성과 약점을 인식하도록 판단을 도야.
4) 역사 공부 강조.
5) 학생의 인격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의 일반적 방법에 관한 원리
모든 학습자에게 동일하게 적합한 교유방법은 없다.
폭력과 강압이 용납되어서는 안된다.
아이로 하여금 지식을 자기 것으로 만들게 하는 최선의 방법은 공부가 학생 자신의 판단력을 행사하는 기회가 되게 하는 것이다.
[감각적 실학주의]
① 베이컨
1) ‘지식은 감각경험을 귀납적으로 일반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2) 영국의 정치가이며 철학자이고 문학자이며 철학사상가.
3) 경험주의를 주장하고, 감각적 실학주의 교육학설을 주장하여, 교육개혁과 아 울러 경험적 교육사상의 토대를 확립.
② 코메니우스(J. A. Comenius, 1592~1635)
1) 실학주의 최고의 교육사상가
2) 주 저서 ‘대교수학’ - 교육사상은 한마디로 매우 복합적
3) 개신교파의 성직자로서 교육사상은 기독교 신앙을 기본으로 하고 있음.
4) 교육 목적 : 지식을 쌓고 도덕을 함양하며 신앙심을 길러 완전한 삶을 준비
5) 모든 사람이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 -마틴 루터의 후계자
6) 교육방법 : 베이컨의 경험론 철학에 의존
중요한 것은 세계에 관한 사실이며, 언어는 그것을 표현하는 불완전한 수단일 뿐이라고 생각. - 베이컨의 영향
베이컨의 경험론 철학은 감각주의적 입장이므로 기독교 신앙과는 모순.
7) 코메니우스의 사상 속에는 관념주의와 감각주의라는 이질적인 요소가 동시에 자리 잡음. - 신비주의 철학과 과학적 실재론을 결합한 지오르다노 브루노, 토 마소 캄파넬라 등 이탈리아 철학자들의 영향
8) 인간의 영혼과 자연세계가 신성(神性)의 이중적 표현으로서 서로 긴밀하게 관 련되어 있다고 봄.
9) 자연의 방법 : 자연의 움직임을 관찰함으로써 수업의 올바른 순서와 효과적인 교육의 방법을 얻어냄
모든 자연현상에는 원인이 있고 순서가 있으므로 학습에도 순서가 중요하다.
식물은 줄기가 먼저 자라고 그 다음에 가지가 자라므로, 학습에 있어서도 보 편적 원리를 먼저 가르치고 구체적이고 특수한 것은 나중에 가르쳐야 한다.
자연에서는 재료가 먼저 준비되고 형태는 나중에 부여되므로, 학습에서도 실 물에 대한 지식을 먼저 가르치고 논리적 분류는 나중에, 언어를 먼저 가르치 고 문법은 나중에 가르쳐야 한다.
10) 교육의 과정
어머니학교(가정) : 태어나서 6세 - 자연의 사물을 바르게 지각할 수 있는 외 적 감각을 개발
모국어학교(마을) : 6세에서 12세 - 상상과 기억이라는 내적 감각을 발달
라틴어학교(도시) : 이해와 판단 능력을 기르는 것
대학(왕국) : 앞 단계에서 길러진 모든 능력들을 조화롭게 하는 의지를 개발.
11)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모든 사람을 위한 교육’ 루터의 교육적 이상을 다시 강조. → 후일 보통의무 교육제도의 성립을 촉진
사실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강조함으로써 교과서와 교육방법의 혁신을 가져 옴.
어머니학교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조기교육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킴. →
프뢰벨에게 영향.
효과적인 교육 방법과 원리를 자연에 대한 과학적 관찰에서 얻으려는 거의 노력은 후일 자연주의교육사상을 출현하게 함.
18,19세기에 전개될 교육방법론의 기초를 마려함으로써 ‘근대교육의 아버 지’라는 평가를 받음.
③ 멀캐스터(R. Mulcaster, 1530~1611)
④ 라트케(W. Ratke, 1571~1635)
6. 계몽주의 교육(18C)
① 로크(John Locke, 1632~1704)
1) \'교육론‘ 저술 : 강인한 신체를 단련하는 방법, 자기 통제를 원칙으로 하는 훈 련방식 그리고 젊은 신사를 양성하기 위한 여러 가지 교육 내용
2)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 : 건전한 인격을 형성하는 일
3) 인격 : 이성에 의해 자기를 통제할 수 있는 사람
자진 복종, 명예 존중, 세련된 예의 등을 갖춘 사람
4) 로크가 말하는 교육 : 신체적, 도덕적, 지적으로 균형 잡힌 유용한 신사를 양 성하는 일(유용한 신사라 함은 경험을 통해 외부 세계를 배우고 행복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
5) 구체적 교육목표
◇ 덕 : 마음의 완성을 뜻하며. 자신으 욕망을 부정하고 본능적 경향을 억제하 며서 이성이 지시하는 최선의 방향을 추구하는 능력을 말함.
◇ 지혜 : 세상사를 잘 예견하고 처리할 수 있는 실제적 능력을 말함.
◇ 품위 : 사회적 관계에서 남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처신을 잘 하는 능력을 말 함.
◇ 학식 : 지식을 습득하는 것
☞ 로크는 네 가지 교육목표 중에서 덕과 지혜와 품위는 강조하면서, 상대적으 로 학식은 덜 강조했다(사회적 실학주의자인 몽테뉴의 생각과 비슷)
6) ‘인간오성론’ 저술 : 인간의 타고난 마음이 백지와 같다고 주장.
7) 지식의 기원 : 감각인상(감각을 통해 받아들인 자료), 반성(능동적인 작용)
8) 백지설 : 인간의 마음이 결국 후천적으로 학습되고 형성된다는 의미(환경결정 론적 생각)
9) 능력심리학 : 인간의 마음은 본래 백지지만, 그것은 그냥 아무것도 없는 백지 가 아니라 감각인상을 받아들이고 처리할 수 있는 몇 가지 능력들(감각인상을 지각하는 능력, 파지하는 능력, 재생하는 능력, 연상하고 추리하는 능력, 판단 하는 능력)
② 그 밖에, 그로티우스(Grotius, 1585~1645), 몽테스키외(Montesqieu, 1689~1755), 볼테르(Voltaire, 1694~1778), 디드로(Diderot), 달랑베르 (Dalembert)
7. 자연주의
① 루소(Jean Jacques Rousseau, 1712~1778)
1) 루소는 교육소설 ‘에밀’을 통해 자신의 교육에 관한 견해를 본격적으로 밝 혔다.
2) 인간의 ‘자연적 본성을 따르는 교육’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교육은 ‘인간의 유전적 특징’, ‘성별의 차이’, ‘연령별 차이’, 개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06.04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8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