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카이로
* 피라미드
* 스핑크스
* 룩소
* 수에즈운하
* 피라미드
* 스핑크스
* 룩소
* 수에즈운하
본문내용
이 운하건설에 대한 집념을 품어 왔었다.
삽이 떠진 후 10년동안 드 레셉스는 오로지 7460만 입방미터의 흙을 파내는 대규모 토목공사의 감독에만 전념했다. 드 레셉스는 먼저 건설기지로서 포트사이드에 인공 항구를 만들고, 2만명의 노동자들에게 신선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나일강에서 수에즈 지협까지 수로를 팠다. 북에서 남으로 공사를 진행시켜 나간 드 레셉스는 육지에 깊이 7m의 수로를 파서 도중에 있는 호수들을 연결해 나갔다. 그리하여 남부의 대비터호 (Great Vitter Lakes)와 소(小) 비터호가 홍해와 연결되어 호수가 바닷물로 가득 차게 되었다. 수로를 파서 이들 호수를 다시 침사호와 연결 시켰다.
3,000마리의 낙타가 노동자들의 음료수를 싣고 사막을 지나 맨잘라호 까지 나르고, 거기서 다시 거룻배로 음료수를 포트사이드로 운반했다. 지방어민들이 징용되어 얕은 호수 위에 손으로 수로를 팠으며, 이들은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뗏목 위에서 잤다. 공사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는 약 8만명의 농민들이 고용되었는데, 그들의 일급은 3 피아스터 (약 3센트)밖에 되지 않았다.
1863년부터 운하가 개통된 1869년 까지 노동자수는 차츰 줄어들고 대신 준설기와 굴착기가 등장했다. 1869년 10월, 프랑스 기선 루이즈에 마리호가 이 운하를 통과하여 외해로 나간 최초의 선박이 되었다. 유럽의 거의 모든 왕가의 대표들이 운하의 개통을 기념하는 식전에 참석했다.
개통일 자정 조금 전에 불행한 사고가 일어났다. 이집트의 프리기트함 한 척이 포트사이드 밖 30km 지점에서 좌초했던 것이다. 개통식에는 프랑스, 러시아,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영국, 미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의 선박이 새 운하를 통과하게 되어 있었는데, 이것이 불가능하게 될지도 몰랐다. 파리에서 날아온 급전들은 개통식이 연기되어야 할 것이라는 뉴스를 전했다. 다음날 드 레셉스가 , 운하를 통과할 수 있게 되었다는 보고를 받았을 때 각국의 선박들은 사고현장에서 불과 5분 거리밖에 안되는 곳에 육박하고 있었다.1952년 군사혁명으로 집권한 대통령 압델 나세르는 1956년 7월 수에즈 운하 회사를 국유화하였고, 기득권을 상실한 영국과 불란서는 군대를 동원하여 강점 하는 등 분쟁이 그치지 않았다. 그 후 1967년 6일 전쟁으로 운하가 폐쇄되었다가, 1973년 사다트 대통령의 시나이 반도 탈환과 더불어, 이 운하는 이집트 정부의 관리하에 폐쇄 8년만인 1975년 재개통 되었다.
하루 평균 100여 척의 선박이 이용하고 있으며 전세계 물동량의 14%가 이 운하를 통과하고 있으며, 통과 소요시간은 약 15시간이 걸린다. 운하의 폭은 200 미터, 평균 수심은 20 미터인데, 교통량이 늘어남에 따라 꾸준한 준설 확장을 계속하고 있고, 현재 운하의 길이는 173 Km에 달한다. 이 운하를 건너 시나이 반도로 들어가는 연결 지점은 4곳의 나루터와 한 개의 해저 터널이 있는데 이 터널은 진입로를 포함하여 총 연장 4.5 Km이다. 운하의 항구는 홍해쪽이 수에즈 이고 지중해 쪽에는 포트사이드이다.
삽이 떠진 후 10년동안 드 레셉스는 오로지 7460만 입방미터의 흙을 파내는 대규모 토목공사의 감독에만 전념했다. 드 레셉스는 먼저 건설기지로서 포트사이드에 인공 항구를 만들고, 2만명의 노동자들에게 신선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나일강에서 수에즈 지협까지 수로를 팠다. 북에서 남으로 공사를 진행시켜 나간 드 레셉스는 육지에 깊이 7m의 수로를 파서 도중에 있는 호수들을 연결해 나갔다. 그리하여 남부의 대비터호 (Great Vitter Lakes)와 소(小) 비터호가 홍해와 연결되어 호수가 바닷물로 가득 차게 되었다. 수로를 파서 이들 호수를 다시 침사호와 연결 시켰다.
3,000마리의 낙타가 노동자들의 음료수를 싣고 사막을 지나 맨잘라호 까지 나르고, 거기서 다시 거룻배로 음료수를 포트사이드로 운반했다. 지방어민들이 징용되어 얕은 호수 위에 손으로 수로를 팠으며, 이들은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뗏목 위에서 잤다. 공사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는 약 8만명의 농민들이 고용되었는데, 그들의 일급은 3 피아스터 (약 3센트)밖에 되지 않았다.
1863년부터 운하가 개통된 1869년 까지 노동자수는 차츰 줄어들고 대신 준설기와 굴착기가 등장했다. 1869년 10월, 프랑스 기선 루이즈에 마리호가 이 운하를 통과하여 외해로 나간 최초의 선박이 되었다. 유럽의 거의 모든 왕가의 대표들이 운하의 개통을 기념하는 식전에 참석했다.
개통일 자정 조금 전에 불행한 사고가 일어났다. 이집트의 프리기트함 한 척이 포트사이드 밖 30km 지점에서 좌초했던 것이다. 개통식에는 프랑스, 러시아,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영국, 미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의 선박이 새 운하를 통과하게 되어 있었는데, 이것이 불가능하게 될지도 몰랐다. 파리에서 날아온 급전들은 개통식이 연기되어야 할 것이라는 뉴스를 전했다. 다음날 드 레셉스가 , 운하를 통과할 수 있게 되었다는 보고를 받았을 때 각국의 선박들은 사고현장에서 불과 5분 거리밖에 안되는 곳에 육박하고 있었다.1952년 군사혁명으로 집권한 대통령 압델 나세르는 1956년 7월 수에즈 운하 회사를 국유화하였고, 기득권을 상실한 영국과 불란서는 군대를 동원하여 강점 하는 등 분쟁이 그치지 않았다. 그 후 1967년 6일 전쟁으로 운하가 폐쇄되었다가, 1973년 사다트 대통령의 시나이 반도 탈환과 더불어, 이 운하는 이집트 정부의 관리하에 폐쇄 8년만인 1975년 재개통 되었다.
하루 평균 100여 척의 선박이 이용하고 있으며 전세계 물동량의 14%가 이 운하를 통과하고 있으며, 통과 소요시간은 약 15시간이 걸린다. 운하의 폭은 200 미터, 평균 수심은 20 미터인데, 교통량이 늘어남에 따라 꾸준한 준설 확장을 계속하고 있고, 현재 운하의 길이는 173 Km에 달한다. 이 운하를 건너 시나이 반도로 들어가는 연결 지점은 4곳의 나루터와 한 개의 해저 터널이 있는데 이 터널은 진입로를 포함하여 총 연장 4.5 Km이다. 운하의 항구는 홍해쪽이 수에즈 이고 지중해 쪽에는 포트사이드이다.
추천자료
생태관광지의 개발과 키르키즈스탄의 생태관광지로서의 가능성 모색
관광공간의 이중적특성과 체험관광이 지향해야항 시간적 전략(관광지와지역주민)
[관광과 이벤트 연출] 관광연출의 의의, 이벤트 연출과 관광지
(A+자료) 관광지,관광단지,관광특구의 현황과 문제점 개선방안 조사분석
관광지 개발 사례, 유후인 마을, 일본, 보라카이, 필리핀, 관광지 개발개념, 개발효과, 특징,...
관광특구 관광단지 관광지
국내관광지 활성화 방안, 국내와 국외 관광지
[경상남도][경남][고성군][식생][관광지][고성오광대][공룡박물관]경상남도(경남) 고성군의 ...
[러시아, 지리, 정치, 천연자원, 관광지, 시인(알렉산데르 푸슈킨), 회화]러시아의 연혁, 러...
[관광지 조사방법] 관광지 조사순서 <절차> (조사목적의 확인, 조사지역의 설정, 조사의 준비...
[관광지의 구조]관광지의 개념(정의)과 구성요소, 구조, 발달(발전), 종류(유형)
[환경친화적 관광개발] 환경친화적 관광개발의 개념, 환경친화적 관광지개발의 등장배경과 이념
관광자원 및 관광지 중 1곳을 선정하여 관광콘텐츠의 현황분석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