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발해인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신라시대의 신라인들의 발해인식

2. 高麗時代의 발해 인식

3. 朝鮮時代의 발해 인식
1) 인접국로의 인식 단계
2) 고구려 계승국으로의 인식 단계

본문내용

정치적 예속뿐만 아니라 시간적 계승도 포함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되었던 나라로 취급하여 발해사를『고구려세가』에 붙여서 서술하였다. 위와 같이 허목도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하였던 것으로 이해하였을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서문에서 말갈이 강대해져 발해를 칭하였다고 하였고, 靺鞨强大 後稱渤海『東史』序 본문도 말갈열전으로 설정하였다. 그런데 우리나라 영역을 논하면서는 북쪽으로 말갈에 이어졌다고 하여, 朝鮮力域之地 在燕齊外東南 西際大海 北連靺鞨『東史』卷4 결과적으로 말갈이 조선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결국 허목은 東國史 안에 말갈열전을 설정하기는 하였지만, 아직 발해가 우리 역사에 포함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발해사 인식은 역시 이익의『星胡僿說』과 그의 제자인 안정복의『東史綱目』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그러나 안정복의『동사강목』傳授之圖에서 신라 다음이 아니라 고구려 다음에 부여국과 발해국을 부기하여 놓은 데에서는 다른 면을 보여 준다. 따라서 이 책은 비록 시기는 늦지만 인식 면에서는 앞 단계와 둘째 단계의 과도기적 모습을 보여준다. ② 영토 및 주민의 계승 인식 단계 후기에서는 발해가 고구려 영토를 계승하였다는 점과
  • 가격1,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2.22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17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