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고구려, 고구려시대, 백제, 백제시대, 신라시대]고구려(고구려시대)의 불교, 백제(백제시대)의 불교, 신라(신라시대)의 불교, 통일신라(통일신라시대)의 불교, 고려(고려시대)의 불교, 당(당나라)의 불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교, 고구려, 고구려시대, 백제, 백제시대, 신라시대]고구려(고구려시대)의 불교, 백제(백제시대)의 불교, 신라(신라시대)의 불교, 통일신라(통일신라시대)의 불교, 고려(고려시대)의 불교, 당(당나라)의 불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구려(고구려시대)의 불교

Ⅱ. 백제(백제시대)의 불교
1. 부여계와 고구려계의 통합
2. 불교 수용과 승가의 구성
3. 불교 수용기 사상적 내용

Ⅲ. 신라(신라시대)의 불교

Ⅳ. 통일신라(통일신라시대)의 불교

Ⅴ. 고려(고려시대)의 불교
1. 고려 초기 불교정책과 왕실기복불교
2. 귀족불교의 부패와 유교의 등장
3. 광종의 왕권강화정책과 불교
4. 왕실의 기복불교와 승려의 타락
5. 천태종의 개창과 시대적 흐름
6. 호국불교와 풍수도참사상
7. 서경 천도운동과 서북 민중의 봉기
8. 무신 정권 아래서의 불교
9. 지눌과 요세의 결사운동
10. 민중불교 항쟁과 귀족불교
11. 원 지배하의 불교와 사회
12. 고려의 미륵신앙운동

Ⅵ. 당(당나라)의 불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발전시키고 체계화시켰으며, 자신의 종파를 중국불교에서 主流의 하나로 확립시키는데 성공했다. 당시에 직면하였던 정치적 상황 때문에 불교의 새로운 전통이 요구되던 시점에 있어서, 法藏은 그 이전시대의 智와 마찬가지로 그 기회를 잘 이용하였다. 智가 南北朝 불교에서 본질적으로 전혀 다른 경향을 잘 융합시키려고 하는 隋의 이념에 영향을 받았던 것과 마찬가지로, 法藏은 周王朝와 일체화되어 버리는 새로운 종파를 창시한 인물로서, 이미 앞선 100여 년 동안에 등장되었던 사상의 主流들, 즉 隋의 天台宗, 唐初期의 法相宗, 새로 생긴 周의 華嚴宗을 통합하게 되었다.
法藏은 불교교리를 5개로 분류(5敎)하는 것을 고안함으로써 이러한 통합을 달성하였다. 그가 나눈 첫 번째이면서 가장 낮은 범주로서는, 智와 마찬가지로, 소승교(小乘敎)로 이루어져 있다. 두 번째 범주는 “대승불교의 기초적 가르침”(大乘始敎)인데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이미 쇠락하여 버린 三論宗에 해당하며, 다른 하나는 法相宗에 해당한다. 세 번째 범주는 “대승불교의 진보된 가르침”(大乘終敎)으로서, 이미 소멸하여 버린 地論宗과 攝論宗의 가르침을 받은 唯識교리와 관련되어진다. 이들 地論과 攝論은 玄 이전에 이미 중국에 도입되었었다. 네 번째 범주는 “갑작스런 가르침”(頓敎)이라고 불리는 것으로서, 모든 종교적 체험의 형언할 수 없는 특징과 종교적 깨달음을 얻게 되는 것의 돌연함에 관한 維摩經에 나타나는 교리를 내포하고 있다. 이 두 가지는 모두 禪宗의 기본요소이다. 다섯 번째로 가장 높은 범주로서는 “완전한 가르침”(圓敎)으로 표현되는데, 모든 衆生을 구원한다는 절대적인 약속을 하는 一乘 개념을 내포하고 있었다. 완전한 가르침(圓敎)은 다음의 2가지 형태로 세분되어 있다. 즉 하나는 天台宗의 法華經으로서, 이것은 一乘에 찬성하는 대신에 三乘의 개념을 부인한다는 점에서, 소극적으로 배제하는 개념에 그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열세하였다. 다른 하나는 華嚴經인데, 이것은 모든 현상이 상호 관통되어 있다는 원칙에 따르는 一乘의 교리를 직접적으로 顯示하는 데에 바탕하므로, 상대적으로 우세하였다.
불교의 주요 종파들에 대한 法藏의 분류가 그 창시자들의 정치성향과 얼마나 교묘하게 연관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예를 들어 唐왕조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던 法相宗은 밑에서 두 번째로 가장 낮은 가르침의 범주에 속하여서 심지어 이미 쇠퇴해버린 地論宗과 攝論宗보다도 아래에 놓이게 되었다. 반면에, 아직 형성기에 머물러 있었던 禪宗을 두 번째로 최고로 높은 범주에 두고 있는데, 아마도 이는 則天이 수도로 초빙하였던 여러 禪僧들에게 대단한 존경심을 보였던 것에 따른 것이리라. 唐王朝가 일시적으로 사라짐에 따라서, 거의 1세기동안 무시되어 오던 天台宗은 그 불명예를 씻고 갑자기 “완전한 가르침”의 상태로 격상되었던 것이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唐代 불교의 3대 敎理的 종파가 형성되는데 있어서, 황실의 후원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밝혔다. 당시 불교의 저명한 승려들 사이에서 이 종파들은 각각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던 것도, 각 종파가 내면적으로 교리가 발전되었다는 요소가 있기도 하였지만, 그 종파의 실질적인 창시자와 황실과의 사이에 존재하였던 긴밀한 연관관계 때문이기도 하였다. 비록 天台宗,法相宗,華嚴宗 모두는 각각 고도의 복합적이며 형이상학적인 체계를 가지고 있었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들 각각은 모두 명확하게 한정할 수 있는 정치적 목적을 위하여 기여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정치상황의 갑작스러운 변화는 곧바로 이들 종파의 입장에 영향을 끼쳤다. 이 철학적인 종파들을 자신들만의 독자적인 실재성을 유지하고 그 종파가 발전하여 온 사회와 전혀 무관하였던 것처럼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한 면에서, 이 종파들은 “대중적인” 종파인 淨土宗이나 禪宗과 자주 대비되었다. 그러나 사실은 이들 교학적 종파들이 격리된 사찰에서 두문불출하던 승려들에 의하여 만들어졌던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심오한 불교용어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수준에 이르기까지 황실 후원자의 정치적 필요성을 반영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 뒤에 8,9세기의 唐代 종파가 어떻게 전개되는지에 대하여 여기서 추적할 여유는 없지만, 불교사상의 발달에 있어서 황실의 후원이 계속 매우 핵심적인 역할을 해내고 있었다는 점은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안록산의 난 이후에는 지방 군벌들과 지역의 유력자들에 의하여 후원받기도 하였다. 玄宗이 도교의 마술에 흥미를 느꼈기 때문에 그 당시 密敎가 갑자기 대두되었던 적이 있었던 것을 이미 언급하였었다. 이와 비슷한 것으로서, 華嚴宗의 제4대 敎祖인 澄觀(737-838)과 제5대 敎祖인 宗密(780-841)이 禪사상을 華嚴宗에 도입한 것도, 禪사상에 매우 심취된 軍閥들로부터 이들이 후원을 받고 있었던 탓이었다. 안록산의 난으로 인하여, 황실의 권위가 추락하게 되었던 것은, 승려들로 하여금 보다 믿을 만한 후원자를 찾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으며, 이로 말미암아, 그 이후 불교의 전개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평민이나 하급관료, 무관들 사이에서 점차적으로 信徒를 확보하여 나아가고 있었던 淨土宗과 禪宗도, 그 사상이 한때 귀족적이었던 종파에 혼합되어짐으로써, 결국 지도급 승려들을 지원하는 후원자들이 출현하였다. 안록산 난에 의하여, 황실의 권위가 쇠약하여지자, 중국불교 역사상 독창성과 창의성이 있었던 전례없던 시기는 그 막을 내렸다. 이 시기는 중국인들이 불교사상에서 파악하고 있는 모든 복잡한 문제들을 의심할 나위 없이 전개하여 주는 새롭고도 고도의 통합적인 종파의 출현이 두드러진 시기였다.
참고문헌
김복순(2005), 신라 불교의 연구현황과 과제,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김창식(1971), 고려불교에 대한 소고, 상주대학교
강문호(2009), 당 전기의 불교정책과 유·불·도 선후론, 동국대학교사학회
박광연(2010), 통일신라의 법화신앙과 불교 문화, 한국사연구회
오경후(2011), 고구려 불교 : 격의불교, 국가 불교적 성격, 선학원
조경철(2010), 백제 불교의 중국 영향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사상사학회
  • 가격7,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7.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28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