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의 개념과 특징 분류 및 민요의 현재와 미래 작품감상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요의 개념과 특징 분류 및 민요의 현재와 미래 작품감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민요의 개념과 특징

2. 민요의 역사적 전개

3. 민요의 분류

4. 민요의 가창 방식

5. 민요의 율격

6. 민요의 구비시적 특성과 내용

7. 민요의 현재와 미래

8. 작품감상

본문내용

려 시대에도 민요는 계속해서 민중들의 사랑을 받으며 다양하게 전승되어 왔다. 이 시대를 흔히, 한문학, 특히 한시가 발달함으로써 우리 고유시가가 위축된 시기였다고 주장하는 연구자도 있다. 그러나 면면히 이어온 구비문학, 특히 민요는 오히려 기록문학으로 발돋움한 본격적인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노래의 내용과 전승 양상으로 볼 때 그 근원이 민요임에 틀림없는 당시의 속가들, 특히 「서경별곡」「청산별곡」「동동」「가시리」「사모곡」「만전춘」「쌍화점」따위는 이러한 형편을 가늠케 하는 좋은 예이다.
4) 조선민요
조선시대 민요는 세속적인 것이 별로 없으며 특히 초기 민요는 고려의 영향을 매우 많이 받았다. 이 시대의 민요는 모두 한문학으로 기록했기 때문에 정확한 민요의 실체를 파악 할 수 없다. 후기로 접어들면서 민요의 자료는 매우 풍부해진다. 많은 문인들이 민요에 관심을 나타냈고 이를 한시로 옮겨 놓았다. 이중에서도 특히 이학규라는 사람의 업적이 주목되는데 그는 단순히 노래의 가사만을 옮겨 놓는 것이 아니라 그 노래가 부려지는 방식과 방향 그리고 그 느낌을 서술해 놓아 민요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또한 한글이 창제되어 서민 문학으로도 진출하게 되어 민요의 정착을 가능하게 된 시기이다. 이 시대의 민요는 당시의 유교사상에 영향을 많이 받아 유교사상을 소재로 한 민요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고된 농사일이나 부모 공경 같은 내용들이 상당히 많다는 것이 그 예이다. 또한 실학사상이나 샤머니즘의 영향도 받았다.
3. 민요의 분류
1) 민요의 분류 국문학개론, 김광순 외, 새문社, 2003, p228-229
(1) 기능별 분류
노동요 : 농업노동요, 수산업노동요, 임업노동요, 수공업노동요, 토건업노동요, 운반노동요, 가사노동요
의식요 : 세시의식요, 통과의식요, 신앙의식요
유희요 : 무용유희요, 경기유희요, 도구유희요, 언어유희요, 희롱유희요, 조형유 희요
(2) 장르별 분류 : 서정민요, 서사민요, 희곡민요, 교술민요
(3) 시대별 분류 : 상고시대민요, 삼국시대민요, 고려시대민요, 조선시대민요, 근대 민요, 현대민요
(4) 지역별 분류 : 각 도별 분류
(5) 창자별 분류 : 남요(男謠), 부요(婦謠), 동요(童謠)
(6) 율격별 분류 : 1음보격, 2음보격, 3음보격, 4음보격민요, 분련체민요, 연속체민 요
(7) 가창방식별 분류 : 독창, 제창, 선후창, 교환창, 복창
(8) 창곡별 분류 : 가창민요, 음영민요
2) 민요의 기능별 분류 민요무가탈춤 연구, 태학, 국어국문학회, 1998, p76-98
(1) 기능요(機能謠)
생활상의 일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불려지는 민요를 기능요라 한다.
노동요(勞動謠)
노동요는 작업의 능률화를 위해 부르는 민요이다. 민요는 노동요에서 비롯되었 다 할 만큼, 노동요는 민요의 기본이 되며 주종을 이룬다. 노동을 할 때, 일정한 리듬에 동작을 맞추어 힘을 적게 들이고 흥을 내어 일하기 위해서, 또는 공동노 동을 하는 경우 행동통일을 유지하여 능률적으로 일을 진행하기 위해 이에 알맞 은 노래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동요는 노동에 리듬과 활력을 주는 요긴한 구실을 하면서, 일하는 사람의 이런 저런 생각을 다양하게 표현한다. 노동요는 처 음에 조흥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여음이 위자가 된 단순한 형식이었으나, 점차 여 음에 의미 있는 사설이 붙어져서 문학적 내용이 풍부해지고 형식도 다채로워졌 다.
노동요는 노동의 종류와 그 성격에 따라 실로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렇게 다양한 노동요를 우선 유형별로 크게 나누어 본다면, 전래의 생활에서 대다수의 사람이 참가하는 주요한 생계의 수단이 되는 노동에서 불려지는 노래와 이에 비해 부차적으로 또는 방계적이라 할 노동에서 불려지는 노래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각각 ‘주요노동요’와 ‘잡역노동요’라 하자. 주요노동요는 다시 ‘농업노동요’, ‘어업노동요’, ‘벌채노동요’, ‘길쌈노동요’, ‘제분노동요’로 그 성격에 따라 구분할 수 있겠는데, 이들 민요는 노동요의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비교적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잡역노동요는 노동 자체의 성격이 규칙적으로 지속되거나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노동에 참가하는 대상도 제한적이란 점에서, 특정한 지역에서 또는 드물게 전승된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잡역노동요에는 운반노동요, 토목노동요, 수공노동요, 관망노동요, 제염노동요, 가사노동요가 포함될 수 있겠으며, 마소를 몰거나 새를 쫓는 몰이노동요, 물건을 헤아리는 산술노동요도 잡역노동요로 처리 될 수 있겠다.
㉠ 농업 노동요
-논농사요 : 논 가는 노래, 논 삶는 노래, 모찌기 노래, 모내기 노래, 논매기 노래, 벼베기 노래, 볏단 나르는 노래, 벼타작 노래
-밭농사요 : 밭 일구는 노래, 밭갈이 노래, 밭 곰방메질 노래, 밭 밟는 노래, 밭매기 노래, 보리 훑는 노래, 보리타작 노래, 곡식 나비질 노래
㉡어업노동요
-어부어업요 : 배 올리는 노래, 배 닦는 노래, 그물 싣는 노래, 배 띄우는 노래, 닻 감는 노래, 노젓는 노래, 그물 내리는 노래, 고기잡이 노래, 고기 낚시 노래, 고기 푸는 노래, 고기 터는 노래, 시선뱃노래, 배치기 노래
-해녀어업요 : 해녀노래
㉢벌채노동요
-벌목노동요 : 나무꾼 노래, 나무 찍는 노래, 나무 켜는 노래, 나무 쪼개는 노래, 나무 깎는 노래
-채취노동요 : 풀베기 노래, 풀썰기 노래, 나물 캐는 노래, 목화 따는 노래, 열매 따는 노래, 송피 벗기는 노래, 해물 채취 노래
㉣길쌈노동요
-길쌈 노래, 삼삼기 노래, 물레질 노래, 베짜기 노래
㉤제분노동요
-방아노동요 : 방아 노래, 절구방아 노래, 디딜방아 노래, 불방아 노래, 연자방아 노래, 맷돌노동요 : 맷돌 노래
㉥잡역노동요
-운반노동요 : 목도메기 노래, 가마메기 노래, 등짐노래, 방앗돌 굴리는 노래, 물 푸는 노래
-토목노동요 : 흙뜨기 노래, 땅다지기 노래, 말뚝박기 노래, 다리놓기 노래, 상량얹 는 노래
-수공노동요 : 풀무질 노래, 낫 가는 노래, 흙덩이 바수는 노래, 흙 이기며 두드리 는 노래, 짚 두드리는 노래, 집줄 놓는 노래
-관망노동요 : 망건 노래, 탕건 노래, 양태 노래
-가사노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8.03.17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53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