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의 언어사용실태와 문제점, 개선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드라마의 언어사용실태와 문제점,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드라마에서의 언어사용 실태
1. 방송언어의 개념 및 기준
2. 드라마 별 언어사용 실태
1) 음운
(1)음가의 혼동
(2)음운의 탈락 및 첨가
2)어휘
(1) 비속어, 유행어 등의 사용
(2) 외국어, 외래어의 남용
(3) 사투리의 사용
3)문장
(1) 사회적 관계에서의 언어사용
(2) 여성 비하적 표현
(3) 기타
3. 언어사용의 문제점
1) 발음면
2) 어휘면
3) 문장면

Ⅲ.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어져야 한다.
(1) 음가의 혼동
발음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모음이 제 음가대로 발음되지 않고 혼동되는 경우이다.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음운의 혼동 중에서도 특히 ‘ㅓ/ㅡ혼동’과 ‘ㅗ/ ㅜ 혼동’이 많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드라마 <궁>에서는 아즈씨->아저씨, 어뜨케->어떠케 등 채경역을 맡은 배우의 발음에서 특히 ‘ㅓ/ㅡ혼동’이 많이 발견되었다. 또 물어부자->물어보자, 밥 잘 먹꾸->밥 잘 먹꼬 와 같은 ‘ㅗ/ㅜ 혼동’ 역시 다수 발견되었으며, 공내관 역할로 나오는 중견 배우도 아프로두->아프로도 와 같이 잘못 발음 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왜 일케 아포->왜 이러케 아포 와 같은 비표준 발음들도 상당 수 발견 되었다.
<거침없이 하이킥>에서도 마찬가지로 이르케, 그르차나, 내르가여, 꽃피믄 과 같은 ‘ㅓ/ㅡ 혼동’과 알려주구, 그르구보니까, 친구두 와 같은 ‘ㅗ/ ㅜ 혼동’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이 밖에도 써야데->써야되 와 같이 이중모음을 단모음으로 발음하는 현상과 가테서->가타서, 짜장면->자장면 과 같은 비표준 발음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쩐의 전쟁> 에서도 역시 들어주든가->들어주던가, 드러워서->더러워서, 증말->정말 과 같은 ‘ㅓ/ㅡ 혼’동과 알구시퍼?->알고시퍼?, 내구->내고, 할 수 없꾸->할 수 없꼬, 와 같은 ‘ㅗ/ ㅜ 혼동’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 외에도 모하는 거야->뭐하는 거야, 모야->뭐야 와 같이 이중모음을 단모음으로 발음하는 경우라던가 각뚜기->깍뚜기와 같은 비표준 발음도 발견되었다.
<커피프린스 1호점> 에서도 아즈씨->아저씨, 누구보구->누구보고 와 같은 ‘ㅓ/ㅡ 혼’동과 ‘ㅗ/ ㅜ 혼동’이 대부분을 차지했는데 드라마가 진행되는 내내 은찬 역을 맡은 배우는 아저씨를 “아즈씨”로 잘못 발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외에도 줬때며->줬따며, 준대믄->준다면 과 같은 ‘ㅏ/ㅐ혼동’도 종종 발견되었다.
(2) 음운의 탈락 및 첨가
음운의 탈락 및 첨가는 음가의 혼동 못지않게 빈번히 발생하는 오류이다. 음운이 잘못 첨가되는 경우는 어미 \'-려고\'가 연결되는 경우에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때에는 거의 대부분 \'ㄹ\'이 첨가되고 있으며. 반대로 \'ㄹ\'이 탈락하는 경우도 있다.
<궁>에서는 해주께->해줄께와 같은 ‘ㄹ의 탈락 현상’이 일어났으며, <쩐의 전쟁>에서는 가께->갈께, 하까요?->할까요? 와 같은 ‘ㄹ탈락현상’과 볼려고요->보려고요, 잘려면->자려면, 때릴려고->때리려고 와 같은 ‘ㄹ첨가 현상’이 다수 발견되었다.
<커피프린스 1호점>에서도 역시 까려구->깔려구, 선보까->선볼까, 하까->할까, 마시꺼야->마실꺼야, 전화하께->전화할께 와 같은 ‘ㄹ탈락현상’이 다수 발견되었고, 이 외에도 ☏때며->☏따며, 가테->가타, 짜장면->자장면과 같은 비표준발음도 발견되었다.
2) 어휘
최근 들어 방송 언어 오염의 심각성 문제가 자주 대두되고 있는데, 특히 오락 프로그램의 언어 오용 정도는 도를 넘어서 비속어, 선정적 표현, 유행어, 국적 불명 외국어, 심지어는 욕설까지 여과 장치 없이 그대로 내보내고 있다. 드라마 역시 이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드라마라는 장르가 현실을 반영하고, 드라마는 다시 우리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생각 해 보면 결코 그냥 넘어가서는 안 되는 문제이다. 국민들의 바른 언어생활을 이끌어가기 위해 방송에서 품위 있고 바른 언어를 써야 함에도 불구하고 방송 언어의 오염도는 날이 갈수록 더해 가고 있다. 오용의 유형별 실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비속어, 유행어 등의 사용
<궁>에서는 졸, 쌩난리, 졸라, 싸가지, 쌩까다, 미친년과 같은 비속어들과, 초난감,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3.17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56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