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링과 리더십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멘토링과 리더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동기와 목적
2. 연구의 받법 및 범위

Ⅱ. 느헤미야의 리더십
1. 느헤미야서의 역사적 개관
2. 느헤미야 프로필
3. 느헤미야의 리더십
(1) 지도자와 사랑
(2) 지도자돠 기도 및 하나님과의 관계
(3) 기도와 계획있는 균형
(4) 지도자와 조직
(5) 지도자와 반대 세력
(6) 지도자와 권한 위임
4. 느헤미야 리더십의 특성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술관원으로 호의 호식하며 아무 근심 없이 살 수 있는 처지였지만 그는 이스라엘 백성의 고난의 소식을 듣고 수일 동안 울며 슬퍼하였다. 그는 예루살렘의 비참한 형편을 놓고 하나님께 기도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그가 하나님과 예루살렘과 그의 백성들을 사랑했기 때문이었다.
(2)지도자와 기도 및 하나님과의 관계
느헤미야서에는 열 두 번의 기도가 나온다(느 1:5-10; 2:4; 4:4, 9; 5:19; 6:9, 14; 9:5; 13:14, 22, 29, 31). 느헤미야는 예루살렘과 자신의 동포들을 위해서 우는 데서 그친 것이 아니라 울고 난 다음에 기도 했다. 그는 왕에게 호소하지 않고 먼저 하나님께 나아간 것이다.
느헤니야의 기도늬 방법을 살펴보면 첫째, 느헤미야느 기도의 대상을 알고 기도했다. 이동원, 「역사에 새벽을 가지고 온 사람 - 느헤미야」, (서울: 나침반, 1997), p. 17.
그의 기도는 자기가 다가가는 하나님께 시선을 고정시키는 것으로부터 시작하고 있으며 John White, 이석철 역, 「탁월한 지도력」,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96), p.23.
하나님의 위대함에 초좀을 맞초고 이에 집중하느 기도였다. J. Stuart Avery, 김태복권태헌 역, 「느헤미야를 통해본 참 지도자로」, (서울: 기독교 문화사, 1995), p.41.
둘째, 느헤미야는 먼저 자기의 죄를 자백했다. 느헤미야는 예루살렘의 문제와 관련하여 자신의 잘못도 있음을 자백하였다. Ibid., p. 43.
그는 다른 이들의 죄를 마치 자신의 죄처럼 고백하고 있다. 그는 자기가 위해서 기도해 주는 그 백성들과 자기를 동일시하였다(느 1:6-7).
셋째, 느헤미야는 하나님의 약속에 근거하여 기도했다. 느헤미야는 하나님께 그의 약속을 상기시키며 기도했다(느1:8-9). Ibid., p. 43.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하여 드리는 기도는 힘이 있다. 그 기도는 확신 있게 드릴 수 있는 것이다.
넷째, 느헤미야는 하나님께 구체적인 도움을 요청하였다(느1:11). Ibid., p. 45.
그는 하나님만이 그를 예루살렘으로 갈 수 있게 마련하실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느헤미야는 하나님이 자신에게 맡기신 이 사명, 즉 예루살렘 재건을 이루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하나님께 기도한 것이다.
(3) 기도와 계획의 균형
느헤미야는 기도하는 가운에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기뢰를 주시면 왕에게 무엇을 말해야 할지 계획했을 것임에 틀림없다. 즉 그는 기도하는 동안 자신이 예루살렘으로 가서 예루살렘성을 어떻게 중건할 것인가에 대해 계획을 세우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아닥사스다 왕이 무엇을 원하느냐고 그에게 물었을 때 그는 잠시 하나님께 묵도하고 그 동안 자신이 계획해 놓았던 것들을 왕에게 막힘없이 이야기 한 것이다. 그리고 그는 거기에 덧붙여서 자신의 필요를 왕에게 말한다(느2:7-8). 느헤미야는 무엇을 원하느냐는 말이 떨어지자마자 일목요연하게 자신이 계획한 청사진을 왕에게 제시한 것이다.
지도자는 먼저 하나님께 기도하되 자신이 할 수 있는 부분에서 철저한 계획을 세워햐 한다. 우리가 믿음으로 기도하며 하나님을 신뢰하는 삶을 산다는 것은 무계획적으로 살아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믿음의 생활이 계획을 도외시하는 것이 아니다. 신앙으로 산다는 것은 결코 계획 없이 혼란 둥에 살아가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동원, op. cit., p. 36.
느헤미야는 이미 그러한 문제들에 대한 준비를 해오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왕이 알고자 할 때 즉시 대답할 수 있었다.
(4) 지도자와 조직
1) 목표의 설정
느헤미야의 목표는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하여 그 곳 거민을 보호하고 이스라엘 백성이 이웃 나라들로부터 수치를 받지 않게 하는 것이었으며 궁극적으로는 예루살렘성을 건축함으로써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하나님의 이름을 영화롭게 하는 것이었다.
2)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 계획 수립
느헤미야는 예루살렘에 도착한 후 삼일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그러나 우리는 성경세거 삼일 후에 하나님이 느헤미야의 마음을 감화시켰다(느2:12)는 구절을 통해 그가 그 동안 하나님께 기도했다는 사실을 짐작할수 있다. 그는 예루살렘에 온 적이 없었기 때문에 그는 예루살렘의 분위기를 보고, 느끼고, 체험하는 시간을 필요로 했다. 그는 그곳 사람들의 행동과 태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J. Stuart Avery, op. cit., p.65.
그래서 그는 조용한 시간을 보낸 후에 아무에게도 말하지 아니하고 밤에 두어 사람과 함께 예루살렘 성벽을 탐사하러 나갔다. 느헤미야는 자기 앞에 놓인 문제의 본질을 정확히 알아보고자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그는 모든 사실을 알고 난 후에야 비로소 최종적인 계획을 세웠다.
느헤미야가 밤중에 비밀리에 성벽소사를 한 이유는 그 당시 예루살렘 유대인들의 사기는 저조하였다. 그런 상황에서 느헤미야가 모든 사실을 수집하기 전에 성벽 재건 문제를 꺼내는 것은 지혜롭지 못한 일이었을 것이다. John White, op. cit., p. 51.
그는 제기될 수 있는 반대 의견에 대응하기 위한 모든 자료를 먼저 수집하고 파악했던 것이다. 훌륭한 지도자는 모든 사실들을 입수하여 파악한 뒤에 판단을 내린다. 그리고 나서 그는 계획을 입안하고 그것을 실행에 옮기는 것이다. 조사하는 일, 사실을 수집하여 파악하는 일, 열심히 연구하는 일은 효과적인 지도력의 필수 요소인 것이다. Ibid., pp. 67-68.
3) 동기유발
존 화이트는 느헤미야의 동기유발에 세 가지 의미가 들어있다고 말한다. Ibid., p. 53.
첫째는, 연설 전반에 흐르는 그의 동료 의식이다(느2:17).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함에 있어서 참 지도자가 취해야 할 행동은 그들과 같아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들의 문제 가운데 스스로 들어가서 그들이 필요로 하는 바를 직접 느끼고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박정기, op.cit., p. 24.
둘째는, 느헤미야가 그들이 처한 곤경의 심각성을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 참 지도자가 취하는 행동은 정직하게 사실을 밝히는 것이다. 느헤미야는 그들에게 그들이 처해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3.17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58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