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성일탈, 원조교제 문제에 대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성일탈, 원조교제 문제에 대해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성(性)의 의미
2. 일탈의 개념
3. 청소년 성 일탈의 부정적인 영향

본론
4. 원조교제의 정의와 대상
5. 원조교제의 원인
6. 원조교제의 실태와 사례

결론
7. 원조교제 근절을 위한 대책과 방안

본문내용

소년의 건전한 문화육성을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청소년간의 건전한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은 곧 원조교제를 없애는 발판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④ 성인들의 각성이 필요합니다. 청소년은 성인들의 성적인 욕구를 채우는 대상이 절대로 될 수 없음을 인식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성인들이 높은 성의식을 가지고 청소년을 앞서 보호하고 지도 할 수 있도록 해야 됩니다.
⑤ 올바른 성문화의 정착입니다. 성은 아름다운 것이며, 생명의 창조와도 관련된 것임을 우리 사회모두가 인정하고 가꾸도록 하여야 할 것입니다. 성을 상품화하지 않고 올바른 가치로 청소년이 바라볼 수 있도록 사회의 올바른 성문화 정착이 무엇보다도 필요할 것입니다.
4) 청소년들의 재활교육이 필요하다.
청소년기는 한마디로 걸어다니는 시한폭탄이라고 합니다. 그만큼 정신적인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충동적이며 감정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특성으로 원조교제라는 한때의 실수를 범할 수 있습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그들이 그 한때의 실수를 뉘우치고 그들의 자리로 돌아왔을 때 사회의 시선입니다. 물론 사회의 시선이 좋게 받아들이지 않을 것은 분명하지만 그 들의 실수를 감싸주고 올바른 가치관과 인격형성을 심어주고 더 나은 사회의 일꾼으로 만드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5) 가정 , 학교, 사회의 가출청소년에 대한 시각이 변화하여야 한다.
원조교제에 빠져드는 청소년의 환경을 살펴보면, 가정의 무관심과 편애, 부모의 가출과 이혼 등, 학교에서의 따돌림과 부적응, 상실감, 교사로부터의 소외감을 경험하고 잇다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① 가출청소년들은 비(非)가출청소년에 비해 깊은 심리적 상처를 지니고 있습니다. 가출청소년들은 낮은 자존감, 자신감 및 침착성의 결여를 비롯한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지적인 상담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② 가출 청소년들이 당면한 환경적 문제를 해결해 주어야 합니다. 의식주 문제, 질병, 금전적 문제 등은 우선 해결해 주어 환경적 압력에서부터 자유롭게 해 주어야 합니다.
③ 가족간의 대화가 있어야 합니다. 가족구성원 간에 의사소통이 충분히 이루어져 문제를 규명해야 합니다. 그리하여 구성원들 간의 정서적 유대감을 키워나가야 합니다.
④ 가출청소년이 매춘의 길로 접어들지 않게끔 청소년 쉼터를 작은 규모로 여러 지역에 마련되어야 합니다. 가출청소년 의 80%가 충동적으로 가출을 한다고 합니다. 가출아들이 유해환경에 접촉하지 않고 가정 학교 그리고 사회에 잘 적응하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 참고문헌
<(문제줌심으로 접근한) 청소년 복지론>, 김나정, 이룸, 2007
<미성년자 원조교제의 사회문화적 구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지영, 한국심리학회지 논문, 2002
<원조교제의 발생원인과 방지대책>, 정완, 형사정책연구소식 논문, 2002
<청소년 매매춘과 원조교제의 사회심리적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시업, 한국심리학회지 논문, 2000
<성(性)과 현대사회>, 우리사회연구회, 파란나라, 1994 등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3.18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60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