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시대상황과 신소설
1) 한말의 시대 상황
2) 신소설 개관
3) 이인직과 정치소설
2. 이인직 연보
3. 이인직의 작품 분석
1) 혈의 누
(1) 문장의 특징
① 문장의 표현구조
② 주제와 근대화 사상
(2) 「혈의 누」에 드러난 ‘친일사상’
① 창작동기와 주제의 설정
② 친일사상과 민족의식
③ 한일합방과 정치적 배경
2) 귀의 성
(1) 구소설로 퇴보의 길을 걷는 이인직
(2)「귀의 성」에서 나타난 근대적 인물
(3)「귀의 성」의 성과와 한계
3)「은세계」
(1)「은세계」 이념성의 고찰
(2) 이인직 작품의 종합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Ⅱ. 본 론
1. 시대상황과 신소설
1) 한말의 시대 상황
2) 신소설 개관
3) 이인직과 정치소설
2. 이인직 연보
3. 이인직의 작품 분석
1) 혈의 누
(1) 문장의 특징
① 문장의 표현구조
② 주제와 근대화 사상
(2) 「혈의 누」에 드러난 ‘친일사상’
① 창작동기와 주제의 설정
② 친일사상과 민족의식
③ 한일합방과 정치적 배경
2) 귀의 성
(1) 구소설로 퇴보의 길을 걷는 이인직
(2)「귀의 성」에서 나타난 근대적 인물
(3)「귀의 성」의 성과와 한계
3)「은세계」
(1)「은세계」 이념성의 고찰
(2) 이인직 작품의 종합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견습기자로 활동한 경력은 그의 문학 작품을 이해하는 데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사실이 될 것이다.
이인직은 러일전쟁 당시 일본 육군성의 한국어 통역관으로 임명되어 종군하였으며, 그 후 송병준, 이용구 등이 중심이 되었던 친일단체 일진회와 연결되면서 자신이 꿈꾸어 왔던 신문 사업에 관여하게 된다. 그 당시 일진회는 일본과의 보호조약의 필요성을 선전하기 위해 904년 8월20일에 만들어진 것인데, 사회적 활동을 확대하기 위해 자체 기관지로서 신문을 만들 계획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신문과 정치의 상관성을 파악하던 이인직은 신문사 주필을 하면서 「혈의 누」「귀의 성」을 연재하였고, 자신의 정치적 야심을 펴나가기 위해 정치와 신문의 관계를 이용하기 시작한다.
「혈의 누」가 발표된 당시는 1906년으로 일본이 청일전쟁에 이어 러일전쟁에서도 전승한 뒤, 한국에 대해 보다 강력한 식민화 정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을사조약을 체결하고, 서울에 통감부를 두고, 한국에 외교뿐만 아니라 모든 내정까지 관장, 실질적인 식민정치로 들어가게 된 시기다. 이 시기에 이인직은 「혈의 누」의 ‘김관일’과 ‘구완서’를 통해서 자신의 정치적 생각을 나타내고 있다.
《구씨의목적은 공부를심써야 귀국뒤에 우리라를 독일국갓치연방도을삼으되 일본과 쥬를
합야 문명한 국을 맨들고(비)갓한마음이오》 - 「혈의 누」 일부 -
위의 말에서 표명하듯 ‘구완서’의 이상은 마치 비스마르크가 프로이센을 맹주로 독일을 통일하였듯이 한국, 일본, 만주를 통합하여 하나의 연방국을 만드는 것이다. 허나 ‘구완서’의 정치적 이상은, 내용은 일제의 대동합방론이면서 그 주체는 한국인 ‘구완서’가 된, 엉뚱한 유토피아적 미래상이 되어 버린다. 이것은 아마도 대다수 한국인들이 지지함직한 김관일의 자강론적 개화주의 이데올로기보다는 ‘구완서’의 급진적 개화주의 이데올로기를 강조하여, 그 당시 대두된 대동합방론에 대한 지지와 전달을 소설의 의도로 한 것으로 보인다.
즉, 이인직은 신문을 통해 정치소설을 연재했다고 볼 수 있다. 단, 그가 가지고 있는 계몽주의의 한계와 당시 사회의 상황, 그리고 그의 후반기 작품 경향들을 살펴볼 때 그의 소설은 ‘정치소설’이라기보다 ‘신소설’, 그리고 다르게는 ‘준정치소설’로 불릴 수밖에 없었다.
2. 이인직 연보
◎ 이인직(李人稙,1862 ~ 1916)
신소설작가·신극운동가·언론인이며 호는 국초(菊初), 경기도 이천출생이다. 40세 가까운 나이에 들어서 1900년 2월 대한제국 정부의 관비유학생으로 선발되어 도쿄(東京)정치학교 청강생으로 공부하고, 1903년 일본정치학교 졸업 후 일본 육군성 한국어 통역에 임명되어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일본 육군성 조선어통역관으로 종군했다.
1906년 일진회 기관지인〈국민신보>주필을 거쳐 천도교의 <만세보(萬歲報)>의 주필을 지냈는데 이때 대표적 신소설인「혈(血)의 누(淚)」,「귀(鬼)의 성(聲)」을 발표했다. 1907년 <만세보>가 운영난에 빠지자 이완용(李完用)의 도움을 받아 친일내각의 기관지인 <대한신문>을 창간하여 사장이 되었다. 이완용은 친일적인 정치 노선을 지지하도록 국민의 여론을 호도하기 위해, <만세보>가 문을 닫게 되자 그 시설을 이인직에게 인수하도록 했던 것이다. <대한신문>은 이완용 내각의 사설 기관지로서, 구한말 대표적인 친일신문이 되었다.
이인직이 <대한신문>의 사장이 된 뒤 신소설「치악산」,「은세계」를 잇달아 발간하였다. 또, 연극 개량에도 관심을 가져 1908년 자신의 소설 은세계를 원각사(圓覺社)무대에 올려 최초의 신극을 공연하였다. 신극운동의 선구자로 계속 작품을 발표하여 당시 신소설작가 중 제1인자의 위치에 올랐다. 그 뒤 선릉참봉(宣陵參奉), 중추원 부찬의 등을 지내고 이완용의 비서로서 그의 정치노선에 동조하고 친일행동을 하였다. 1910년 이완용의 심복으로서 통감부 외사국장 고마쓰(小松綠)와 비밀리에 만나 한일합병이 체결되는 매개역할을 했다. 매국노 이완용의 앞잡이가 되어 한일합병의 숨은 공로자로서 한일합병 이후, 배후의 공로자임에도 불구하고 흔한 작위도 받지 못하고 경학원 사성(經學院司成)이라는 말직에 보임되었다.
1916년 신경통으로 사망했으며, 장례는 일본 총독부에서 보내온 공로금으로 치러졌다. 장례식은 일본의 천리교의식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시신도 화장하였다. 이러한 친일행적에도 불구하고 개화기 근대소설작가로서 그의 문학사적 공적은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구소설과 근대소설로 이어지는 소설의 전통적 연결을 시도확립했으며, 문장에서 입말체와 묘사체 시도의 효시를 보였다. 또한 객관묘사와 심리묘사에서 뛰어난 기량을 발휘했다. 대개 장편이 많고 근대 소설의 다소 접근한 면모들을 보여 주는 한편 작품의 구성과 등장인물들의 성격 묘사, 그리고 현실적 제재에 의한 사실적 묘사 수법 등에서 개척자적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친일의식과 세태에 대한 작가로서의 안목이 투철하지 못한 점에서 약점이 지적되고 있다. 작품에 주요 작품으로 혈(血)의 누(淚)(상편), 모란봉(1913,혈의 누의 하편), 귀(鬼)의 성(聲)(1906), 치악산(상편,1908), 은세계(상편,1908) 「모란봉(牡丹峰)」,「빈선랑(貧鮮郎)의 일미인(日美人)」등이 있다.
3. 이인직의 작품 분석
1) 혈의 누
(1) 문장의 특징
① 문장의 표현구조
신소설 「혈의 누」의 여러 요소들을 검토해보면,
첫째, 언문일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갑오경장 이후, 이른바 근대적 학문연구의 발흥과 함께 일련의 성과를 거둔, 국어운동에 힘입어, 신소설의 문체 면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오게 했는데, 이를 종합해 보면, 대체로 언문일치로 귀결된다. 전대문학에는 일상적인 국어와 공용의 문어 사이에는 쉽게 깨뜨릴 수 없는 벽이 가로놓였으나, 우리말의 명실상부한 국어화 운동과, 서구적 산문정신의 새 기운은 미흡하나마, 이러한 두꺼운 벽을 「혈의 누」에서 무너뜨리는 계기를 이루었다.
《밤은 깊어 사람의 자취도 없고, 사면에서 닭은 홰를 치며 울고, 개는 여염집 평대문 개구멍으로 주둥이만 내어놓고 짖는다. 닭소리 개소리에 부인의 발이 땅에 떨어지지 못하여 질음을 멈추고
이인직은 러일전쟁 당시 일본 육군성의 한국어 통역관으로 임명되어 종군하였으며, 그 후 송병준, 이용구 등이 중심이 되었던 친일단체 일진회와 연결되면서 자신이 꿈꾸어 왔던 신문 사업에 관여하게 된다. 그 당시 일진회는 일본과의 보호조약의 필요성을 선전하기 위해 904년 8월20일에 만들어진 것인데, 사회적 활동을 확대하기 위해 자체 기관지로서 신문을 만들 계획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신문과 정치의 상관성을 파악하던 이인직은 신문사 주필을 하면서 「혈의 누」「귀의 성」을 연재하였고, 자신의 정치적 야심을 펴나가기 위해 정치와 신문의 관계를 이용하기 시작한다.
「혈의 누」가 발표된 당시는 1906년으로 일본이 청일전쟁에 이어 러일전쟁에서도 전승한 뒤, 한국에 대해 보다 강력한 식민화 정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을사조약을 체결하고, 서울에 통감부를 두고, 한국에 외교뿐만 아니라 모든 내정까지 관장, 실질적인 식민정치로 들어가게 된 시기다. 이 시기에 이인직은 「혈의 누」의 ‘김관일’과 ‘구완서’를 통해서 자신의 정치적 생각을 나타내고 있다.
《구씨의목적은 공부를심써야 귀국뒤에 우리라를 독일국갓치연방도을삼으되 일본과 쥬를
합야 문명한 국을 맨들고(비)갓한마음이오》 - 「혈의 누」 일부 -
위의 말에서 표명하듯 ‘구완서’의 이상은 마치 비스마르크가 프로이센을 맹주로 독일을 통일하였듯이 한국, 일본, 만주를 통합하여 하나의 연방국을 만드는 것이다. 허나 ‘구완서’의 정치적 이상은, 내용은 일제의 대동합방론이면서 그 주체는 한국인 ‘구완서’가 된, 엉뚱한 유토피아적 미래상이 되어 버린다. 이것은 아마도 대다수 한국인들이 지지함직한 김관일의 자강론적 개화주의 이데올로기보다는 ‘구완서’의 급진적 개화주의 이데올로기를 강조하여, 그 당시 대두된 대동합방론에 대한 지지와 전달을 소설의 의도로 한 것으로 보인다.
즉, 이인직은 신문을 통해 정치소설을 연재했다고 볼 수 있다. 단, 그가 가지고 있는 계몽주의의 한계와 당시 사회의 상황, 그리고 그의 후반기 작품 경향들을 살펴볼 때 그의 소설은 ‘정치소설’이라기보다 ‘신소설’, 그리고 다르게는 ‘준정치소설’로 불릴 수밖에 없었다.
2. 이인직 연보
◎ 이인직(李人稙,1862 ~ 1916)
신소설작가·신극운동가·언론인이며 호는 국초(菊初), 경기도 이천출생이다. 40세 가까운 나이에 들어서 1900년 2월 대한제국 정부의 관비유학생으로 선발되어 도쿄(東京)정치학교 청강생으로 공부하고, 1903년 일본정치학교 졸업 후 일본 육군성 한국어 통역에 임명되어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일본 육군성 조선어통역관으로 종군했다.
1906년 일진회 기관지인〈국민신보>주필을 거쳐 천도교의 <만세보(萬歲報)>의 주필을 지냈는데 이때 대표적 신소설인「혈(血)의 누(淚)」,「귀(鬼)의 성(聲)」을 발표했다. 1907년 <만세보>가 운영난에 빠지자 이완용(李完用)의 도움을 받아 친일내각의 기관지인 <대한신문>을 창간하여 사장이 되었다. 이완용은 친일적인 정치 노선을 지지하도록 국민의 여론을 호도하기 위해, <만세보>가 문을 닫게 되자 그 시설을 이인직에게 인수하도록 했던 것이다. <대한신문>은 이완용 내각의 사설 기관지로서, 구한말 대표적인 친일신문이 되었다.
이인직이 <대한신문>의 사장이 된 뒤 신소설「치악산」,「은세계」를 잇달아 발간하였다. 또, 연극 개량에도 관심을 가져 1908년 자신의 소설 은세계를 원각사(圓覺社)무대에 올려 최초의 신극을 공연하였다. 신극운동의 선구자로 계속 작품을 발표하여 당시 신소설작가 중 제1인자의 위치에 올랐다. 그 뒤 선릉참봉(宣陵參奉), 중추원 부찬의 등을 지내고 이완용의 비서로서 그의 정치노선에 동조하고 친일행동을 하였다. 1910년 이완용의 심복으로서 통감부 외사국장 고마쓰(小松綠)와 비밀리에 만나 한일합병이 체결되는 매개역할을 했다. 매국노 이완용의 앞잡이가 되어 한일합병의 숨은 공로자로서 한일합병 이후, 배후의 공로자임에도 불구하고 흔한 작위도 받지 못하고 경학원 사성(經學院司成)이라는 말직에 보임되었다.
1916년 신경통으로 사망했으며, 장례는 일본 총독부에서 보내온 공로금으로 치러졌다. 장례식은 일본의 천리교의식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시신도 화장하였다. 이러한 친일행적에도 불구하고 개화기 근대소설작가로서 그의 문학사적 공적은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구소설과 근대소설로 이어지는 소설의 전통적 연결을 시도확립했으며, 문장에서 입말체와 묘사체 시도의 효시를 보였다. 또한 객관묘사와 심리묘사에서 뛰어난 기량을 발휘했다. 대개 장편이 많고 근대 소설의 다소 접근한 면모들을 보여 주는 한편 작품의 구성과 등장인물들의 성격 묘사, 그리고 현실적 제재에 의한 사실적 묘사 수법 등에서 개척자적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친일의식과 세태에 대한 작가로서의 안목이 투철하지 못한 점에서 약점이 지적되고 있다. 작품에 주요 작품으로 혈(血)의 누(淚)(상편), 모란봉(1913,혈의 누의 하편), 귀(鬼)의 성(聲)(1906), 치악산(상편,1908), 은세계(상편,1908) 「모란봉(牡丹峰)」,「빈선랑(貧鮮郎)의 일미인(日美人)」등이 있다.
3. 이인직의 작품 분석
1) 혈의 누
(1) 문장의 특징
① 문장의 표현구조
신소설 「혈의 누」의 여러 요소들을 검토해보면,
첫째, 언문일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갑오경장 이후, 이른바 근대적 학문연구의 발흥과 함께 일련의 성과를 거둔, 국어운동에 힘입어, 신소설의 문체 면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오게 했는데, 이를 종합해 보면, 대체로 언문일치로 귀결된다. 전대문학에는 일상적인 국어와 공용의 문어 사이에는 쉽게 깨뜨릴 수 없는 벽이 가로놓였으나, 우리말의 명실상부한 국어화 운동과, 서구적 산문정신의 새 기운은 미흡하나마, 이러한 두꺼운 벽을 「혈의 누」에서 무너뜨리는 계기를 이루었다.
《밤은 깊어 사람의 자취도 없고, 사면에서 닭은 홰를 치며 울고, 개는 여염집 평대문 개구멍으로 주둥이만 내어놓고 짖는다. 닭소리 개소리에 부인의 발이 땅에 떨어지지 못하여 질음을 멈추고
추천자료
신소설에 타나난 이인직의 개화사상과 그 한계
이인직과 신소설, 그의 작품세계
[국문학 감상문] 이인직의 신소설 은세계를 읽고
[신소설][신소설 작품][이인직][혈의 누]신소설과 신소설 작품 및 이인직(신소설의 주제상 특...
이인직 신소설 은세계 감상
(현대문학강독)이인직의 신소설 2편 혈의누, 은세계 분석 및 작가의 개화의식과 한계 분석
[현대문학강독]신소설 작품소개(두작품) 및 분석과 작가의 개화의식 분석(개화의식과 그 한계...
이인직과 신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 이광수와의 비교
[현대문학강독]신소설 이광수의 무정과 이인직의 혈의 누 줄거리 및 작가의 개화의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