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화와 텔레비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문화와 텔레비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0강 한국 문화와 텔레비전

1. 한국 문화와 텔레비전

2. 각 나라별 텔레비전의 영향

1) 유럽에서의 텔레비전

2) 미국에서의 텔레비전

3) 한국에서의 텔레비전 1

4) 한국의 텔레비전 2

5) 생각하기: 텔레비전의 절대 권력

6) 텔레비전: 그 오락성의 이데올로기

3. 영화에 대한 기본 지식

1) 영화에 대한 기본 지식 1

2) 영화에 대한 기본 지식 2

4. 영화와 텔레비전의 차이

1)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의 형식적 차이

2)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의 다른 차이들

3) 정리

5. 텔레비전 드라마의 내용

1) 텔레비전 드라마의 주제와 내용

2) 텔레비전 드라마의 기본 구조

3) 텔레비전 드라마의 캐릭터들

4) 텔레비전의 드라마의 캐릭터들의 내포적 의미

6. 드라마의 이데올로기 문제

1) 이데올로기의 문제

2) 이데올로기의 문제 2: 효와 충

7. 추천 영화

본문내용

보는 대신 다른 것을 하지 말고 텔레비전을 시청해야 한다고 설득할 필요가 없는 데서 기인 한다>는 것이다. 즉, 텔레비전이 시청할 것에 대해 설득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렇게 유일한 문화 오락기(유일하다는 것이 아쉽다)로서 한국 텔레비전의 위력은 그 어느 나라보다도 막강해졌다.(ex> 대학교 기숙사 식당, 사우나실 등. 없는 곳이 없다.) 즉 한국에서 텔레비전은 대중문화 자체를 좌지우지하는 위치에 서게 되었고 더 나아가서는 한국 현대 사회의 신적인 존재로 군림하기 시작한 것이다.(ex> 유명 연예인이 어떤 드라마에서 예쁜 핀을 하고 나왔다. 그러면 다음날 백화점과 동대문일대에 그 머리핀 불티나게 팔린다.) 만약 한국에서 TV가 갑자기 사라진다면 그 파장은 웬만한 원자폭탄보다 클 것이다.
4) 한국의 텔레비전 2
심지어 이제는 텔레비전을 이야기하고 스스로에 대한 찬사를 아끼지 않으며, 이미 방영되고 있거나 제작 단계에 있는 프로그램과 연기자들의<수고>를 주제로 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단계에 이르렀다.(ex> \'연예가 중계\', \'TV는 내 친구\') 언어학적으로 말하자면 이는 <메타언어적 기능> 으로서 통상적으로 언어라는 인간의 고유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갖는 특징 중 하나였다.(언어가 언어를 위해 봉사하는 것. 여기서는 텔레비전이 텔레비전을 생각하는 것.) 국내에서 이 정도의 영예스러운 위치 서기 위해서는 아마도 노벨상 이상은 받아야 할 것이다. 어쨌든 한국에서의 텔레비전은 <바보상자>로 간주되기는커녕 예수, 모하메드, 부처를 다 합쳐 놓은 것보다도 더 강한 정신적 지주가 되어 버렸다.
5) 생각하기: 텔레비전의 절대 권력
1. 오락의 역사: 한국에서는 현대적 오락물 (텔레비전과 라디오)가 거의 동시에 들어오 게 된다.
2. 문화의 빈곤: 경제력과 문화 수준
한국에서 텔레비전은 기존의 오락을 점령했는가, 아니면 그 자체가 오 락의 모델로 자리매김했는가?
우리는 1960년대부터 경제발전을 위해 정부와 국민들 모두의 노력이 있 었다. 후에 경제발전을 이룩했지만 문화적 수준이 뒷받침 되지 않았 다. 그렇기에 현재의 한국 사람들이 돈은 있는데 쓸데가 없게 되었고 그것이 외양적 소비의 형태를 가져왔다,
♬ 아노미현상 : 물질적 발전을 정신이 못 따라 갈 때.
3. 국가의 지원/통제: 대중의 통제 수단으로서 텔레비전의 역할
텔레비전과 권력의 문제 참고
6) 텔레비전: 그 오락성의 이데올로기
한국 사회에 텔레비전이 그토록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 이유는 그것이 제공하는 오락에 있다는 전제 하에 이제부터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생리를 중점적으로 분석해 보기로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동영상 제작물에 대한 기초 지식을 소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텔레비전 드라마와 동영상 광고 제작에 토대가 되는 영화의 기초 지식을 살펴 본 다음 드라마에 기저하는 이데올로기를 분석하기로 한다.
영화 언어에 대한 기본 지식은 11주차에 다루게 될 광고를 이해하는 데에도 필요하다는 사실도 강조 할 수 있다.
3. 영화에 대한 기본 지식
1) 영화에 대한 기본 지식 1
영화는 뤼미레르 형제가 1895년에 몇 분짜리 동영상 제작물을 선보이면서 이 세상에 등장한다.
영화는 기본적으로 스토리 - 디에제스를 전달하기 위해 영상/언어/음향이라는 세 가지의 코드로 구성된다.
영화역시 분절 체계로서 분석 될 수 있다.
영화를 이해하기 위한 몇 가지 개념:
* 스토리: 서사의 내용, 또는 영화 전체의 시니피에이다.
* 디에제스: 스토리를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일련의 지식을 가리킨다.
(영화의 배경지식, 시대적 배경, 문화적 배경)
* 플롯: 스토리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의 서사 단위, 플롯은 시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3.31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91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