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삼국의 공복제도
Ⅲ. 고려의 공복제도
Ⅳ. 결론
Ⅴ. 참고문헌
Ⅱ. 삼국의 공복제도
Ⅲ. 고려의 공복제도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927∼989)는 성종에게 치국(治國)의 이념으로 유교를 적극적으로 정치에 활용할 것을 건의하였다. 치국의 이념으로 제시된 유교는 광종대의 과거제 실시와 현종대의 설총·최치원의 문묘 종향 등을 거쳐 발전해갔다. 이렇게 고려는 유교 경전과 당·송의 예제(禮制)를 수용하여 예제를 정비하여 나가는 상황에서 문종 이후 예제를 강조하면서 정치와 사회질서의 회복을 도모하였다. 의종 때의 ≪상정고금례 詳定古今禮≫의 편찬으로 집대성되어 성종대 이래 3색이었던 복색으로 공복제가 정리된 것이다. 3색의 구별은 제 17대 인종(1122-1145)원년 이래로 공복 형태는 송제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고려에 온 서긍의 《고려도경》에 지적되어 있다.
Ⅳ. 결론
고려시대에는 여전히 삼국의 유제가 남아있었지만, 956년 후주의 사신 설문우(薛文遇)가 고려를 방문했을 때, 후주의 세종이 고려의 공복을 중국식으로 정비하라고 요구했었다. 하지만 이는 이루어지지 못했고, 과거제 실시 2년 후인 960년 광종이 관복제도를 확립했다. 그것은 일련의 개혁정책으로 호족들의 힘이 약화되었기 때문에 가능했으며, 이 시기에 조광윤이 송을 일으키는 반면 후주는 몰락의 길을 걷고 있었다. 중국에서의 혼란이 가속화되자 광종은 노비안건법과 과거제를 도입하는 등 호족의 세력을 약화시킨 것이다. 공복제도를 확정한 것은 959년 광종이 후주의 쌍기의 부친 쌍철과 귀화인들을 조정에 들인 이듬해 3월이었다. 당시 관복은 신라의 제도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지만, 계속되는 통일 전쟁과 호족들의 영향력 증대로 서열에 따른 관복은 확정되지 못했던 것이다. 광종은 무질서한 공복제도가 조정의 기강에 위해가 된다고 판단하여 지위에 따라 공복의 색깔이 달리하게 한 것이다. 관료들의 공복을 제정하여 품계별로 옷을 달리한 것은 왕과 신하의 관계를 분명히 하여 관리의 상하를 쉽게 판별 할 수 있도록 하는 광종의 왕권강화책이었다. 관복의 4가지 색으로 구분한 것이 곧 새로운 관료체제의 탄생과 왕 중심의 조정 체계의 확립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복제정이 왕권국가의의 기틀을 다져나가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했던 것을 알 수 있다.
Ⅴ. 참고문헌
<논문>
김보광. 고려전기 公服制의 정비 과정에 대한 연구.2016
<단행본>
역사학연구소 저. 바로 보는 우리 역사. 서해문집. 2004
조법종. 이야기 한국고대사. 청아출판사. 2007
정성희. 고려왕조사 이야기. 청아출판사. 2007
Ⅳ. 결론
고려시대에는 여전히 삼국의 유제가 남아있었지만, 956년 후주의 사신 설문우(薛文遇)가 고려를 방문했을 때, 후주의 세종이 고려의 공복을 중국식으로 정비하라고 요구했었다. 하지만 이는 이루어지지 못했고, 과거제 실시 2년 후인 960년 광종이 관복제도를 확립했다. 그것은 일련의 개혁정책으로 호족들의 힘이 약화되었기 때문에 가능했으며, 이 시기에 조광윤이 송을 일으키는 반면 후주는 몰락의 길을 걷고 있었다. 중국에서의 혼란이 가속화되자 광종은 노비안건법과 과거제를 도입하는 등 호족의 세력을 약화시킨 것이다. 공복제도를 확정한 것은 959년 광종이 후주의 쌍기의 부친 쌍철과 귀화인들을 조정에 들인 이듬해 3월이었다. 당시 관복은 신라의 제도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지만, 계속되는 통일 전쟁과 호족들의 영향력 증대로 서열에 따른 관복은 확정되지 못했던 것이다. 광종은 무질서한 공복제도가 조정의 기강에 위해가 된다고 판단하여 지위에 따라 공복의 색깔이 달리하게 한 것이다. 관료들의 공복을 제정하여 품계별로 옷을 달리한 것은 왕과 신하의 관계를 분명히 하여 관리의 상하를 쉽게 판별 할 수 있도록 하는 광종의 왕권강화책이었다. 관복의 4가지 색으로 구분한 것이 곧 새로운 관료체제의 탄생과 왕 중심의 조정 체계의 확립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복제정이 왕권국가의의 기틀을 다져나가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했던 것을 알 수 있다.
Ⅴ. 참고문헌
<논문>
김보광. 고려전기 公服制의 정비 과정에 대한 연구.2016
<단행본>
역사학연구소 저. 바로 보는 우리 역사. 서해문집. 2004
조법종. 이야기 한국고대사. 청아출판사. 2007
정성희. 고려왕조사 이야기. 청아출판사. 2007
추천자료
- 대중문화와 스타, 한국의 스타시스템-스타, 대중문화의 중핵-
- [일본 문화의 이해]한국과 일본의 다도문화 비교
- [A+평가 레포트]통일 한국의 바람직한 보훈제도 통합방향에 관한 연구 - 이론적 고찰, 통합사...
- [한국어교사론]한국어 교사양성제도의 현황과 체계화 방향
- 한국의 음주문화와 그 속에 담겨있는 윤리, 문화적 의미에 대하여
- [병영 문화] 한국,일본,미국의 군대문화 비교 분석 및 사례와 나의 견해
- <문화와교육-완벽정리> 다른나라의 교육제도를 다룬 문헌 읽고 우리나라 교육제도와 다른점, ...
- 일본의 의식주문화와 한국의 의식주문화
- [호주제도]한국 가족제도의 분석적 고찰 및 근본원리
- 동양의 음식문화 - 중국과 한국의 음식문화를 중심으로
- (A+ 레포트, 정보회계제도의 변화) ※ 한국의 정부회계제도의 변화에 대해서 설명하라.
- [한국사회문제D형] 서로 다른 사회적·문화적 가치가 한 지역 내에서 공존하는 문제가 왜 어렵...
- [관광법규] 문화관광해설사 제도의 도입배경, 양성교육과정, 선발 및 활용에 대해 설명하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