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지도 방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지도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단원 설정의 이유

Ⅱ.단원 목표

Ⅲ.본시 학습 목표

Ⅳ.아동의 실태 및 선수 학습 정도

Ⅴ.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지도 방법시 유의점

Ⅵ.교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

본문내용

고 줄기를 올림
ex) 바랭이류, 버뮤다풀(C4식물 - 광합성 효율이 좋아 번식 용이)
(2) 무수정생식 - 무성의 종자
무수정생식apomixis : 정자와 난자 핵의 결합없이 무성적으로 생성하는 식물에서의 무성생식 형태
대포자모세포는 감수분열을 실행하지 못하고 2배체 상태를 유지하여 배가 웅성배우체의
중개없이 발생 시작(새로운 배는 양친 포자체와 동일한 염색체와 유전적 특징을 갖는다
→ 무수정생식 계열의 모든 후손은 본질적으로 클론임)
ex) 켄터키새포아풀, 산사나무, 검은딸기
이 종들은 유리한 경우 무성경로로 가나, 그들의 주된 진화적 유성적 방식은 항상 유지
자연선택과 무수정생식
무수정생식 종의 개체군 : 유전자의 100%가 자손에 전달.
유리한 유전자형이 번식지를 통해 빠르게 퍼짐
유성생물체 : 유전자 재조합을 통한 다양성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이점을 갖는다.
● 꽃의 구조
-강낭콩: 엽액에서 꽃송이가 나와 몇 개의 꽃이 달리는데 5장의 꽃잎으로 이루어져 있고, 맨 위에 큰 꽃잎 1장과 아래로 2장씩의 꽃잎이 2쌍 대칭으로 마주보고 있으며 뒤로 젖혀져 있다. 꽃잎의 모양은 나비모양(접형화)으로 꽃의 크기는 콩꽃보다는 훨씬 크며, 색깔은 흰색, 연한 자주색, 분홍색 등이 있다. 수술은 10개인데 9개는 같이 붙어있고 1개는 따로 떨어져 있다. 개화수는 넝쿨성이 80~200개, 왜성은 30~80개 정도 핀다.
[1] 꽃은 어떤 구조로 되어 있을까?
가. 꽃의 기본구조 및 기능
▶ 꽃은 식물의 생식 기관으로 종자를 만들어 자손을 퍼뜨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꽃은 암술, 수술, 꽃잎, 꽃받침을 기본구조로 하고 있다.
1) 암술 : 암술머리, 암술대, 씨방으로 구성된다.
① 암술머리 : 꽃가루(화분)가 붙는 곳으로 철쭉꽃처럼 둥글고 끈적거리는 것도 있고,
민들레처럼 두 갈래로 나뉘어진 것도 있다.
② 암술대 : 암술머리와 씨방을 연결해 준다.
③ 씨방 : 밑씨가 들어 있는 곳
2) 수술 : 꽃밥과 수술대로 구성된다.
① 꽃밥 : 꽃가루(화분)가 만들어지는 곳
② 수술대 : 꽃밥을 지탱하는 가늘고 긴 대
3) 꽃잎 : 암술과 수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곤충을 유인하여 수분이 잘 이루어지게 함.
4) 꽃받침 : 꽃의 가장 바깥 부분으로 꽃을 감싸서 보호하고, 꽃을 받쳐준다.
나. 꽃의 분류
1) 꽃의 구조에 의해 갖춘꽃과 안갖춘꽃으로 분류
① 갖춘꽃 : 암술, 수술, 꽃잎, 꽃받침을 모두 가진 꽃(철쭉꽃, 무궁화꽃, 민들레꽃, 벚꽃 등)
② 안갖춘꽃 : 암술, 수술, 꽃잎, 꽃받침 중 한가지라도 없는 꽃(소나무꽃, 보리꽃, 호박꽃 등)
2) 암술과 수술의 유무에 따라 양성화와 단성화로 분류
① 양성화 : 한 꽃 속에 암술과 수술이 모두 들어 있는 꽃(목련꽃, 장미꽃, 복숭아꽃 등)
② 단성화 : 한 꽃 속에 암술과 수술 중 한가지만 있는 꽃(소나무꽃, 호박꽃, 오이꽃, 은행나무꽃 등)
3) 꽃잎의 모양에 따라 통꽃과 갈래꽃으로 분류
① 통꽃 : 꽃잎의 밑부분이 붙어서 통 모양으로 된 꽃(나팔꽃, 진달래꽃, 민들레꽃, 호박꽃 등)
② 갈래꽃 : 꽃잎이 서로 떨러져 있는 꽃(벚꽃, 목련꽃, 복숭아꽃, 장미꽃 등)
4) 꽃의 수에 따라 홑꽃과 겹꽃으로 분류
① 홑꽃 : 한 개의 꽃자루에 한 개의 꽃이 붙어 있는 꽃(나팔꽃, 복숭아꽃, 호박꽃, 장미꽃, 벚꽃 등)
② 겹꽃 : 한 개의 꽃자루에 여러 개의 꽃이 붙어 있는 꽃(민들레꽃, 보리꽃, 국화꽃 등)
5) 수분(화분이 암술머리에 옮겨지는 과정)에 의해 충매화, 풍매화, 수매화, 조매화로 분류
① 충매화 : 벌이나 나비 등의 곤충에 의해 화분이 옮겨지는 꽃(복숭아꽃, 호박꽃, 개나리꽃 등)
② 풍매화 : 바람에 의해 화분이 옮겨지는 꽃(소나무꽃, 옥수수꽃, 벼꽃, 보리꽃 등)
③ 수매화 : 물에 의해 화분이 옮겨지는 꽃(수련, 개구리밥 등)
④ 조매화 : 새에 의해 화분이 옮겨지는 꽃(동백꽃, 브러쉬꽃 등)
[2] 씨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가. 수분 : 화분(꽃가루)이 암술머리로 옮겨지는 현상
☞ 자화수분과 타화수분 : 자화수분은 한 꽃안에서 수분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타화수분은
화분이 다른 꽃의 암술머리에 붙는 것이다. 한 꽃에 암수과 수술이 같이 있으면 자화수분이
일어날 것 같지만 암술과 수술이 성숙하는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타화수분이 많이 일어난다.
이는 식물도 동물처럼 다른 개체끼리 결합하는 경우에 유전적으로 우수한 자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나. 수정 : 화분의 정핵이 밑씨의 난세포와 결합하는 현상이다. 수정 후 밑씨는 씨가 되고,
씨방은 자라서 열매가 된다.
1) 화분의 발아 : 화분이 발아하여 화분관이 자라고, 화분관에는 한 개의 화분관핵과 두 개의 정핵이 생긴다. 화분관핵은 화분관이 자라는데 관여하고 정핵은 수정에 참여하게 된다.
2) 밑씨의 수정 준비 : 씨방 속의 밑씨는 분열하여 난세포와 극핵을 형성한다.
3) 수정 : 하나의 정핵은 밑씨 속의 난세포와 합쳐 배가 되고, 다른 하나의 정핵은 밑씨 속의 극핵과 합쳐 배젖이 된다.(속씨식물의 중복수정
[3] 열매의 속구조는 어떻게 생겼을까?
가. 열매의 종류
1) 참열매 : 씨방 부분이 자라서 된 열매(감, 복숭아, 귤, 토마토, 호박 등)
2) 헛열매 : 씨방 이외의 꽃받기나 꽃받침 등이 자라서 된 열매
① 꽃받기로 이루어지는 열매 : 수정후 씨방은 거의 자라지 않고 꽃받기가 비대해져 된 열매
(사과, 배, 딸기 등)
② 꽃받침으로 이루어지는 열매 : 꽃받침과 그 이외의 부분이 함께 자라서 된 열매(석류 등)
③ 꽃대로 이루어지는 열매 : 작은 꽃이 많이 붙어 있는 꽃대가 비대해져서 된 열매
(파인애플, 무화과 등)
나. 열매의 구조
1) 과피 : 외과피, 중과피, 내과피로 구성된다.
① 외과피 : 열매의 겉껍질 부분을 외과피라고 한다. 사과나 감의 껍질, 귤이나 레몬의 노란
껍질은 모두 외과피이다.
② 중과피 : 우리가 주고 먹는 부분이 중과피이다. 그러나 귤의 경우는 외과피 안쪽의
흰 부분이 중과피에 해당한다.
③ 내과피 : 열매의 속껍질 부분으로 감은 씨를 둘러싸고 있는 연한 것, 사과는 씨방을 싸고
있는 것,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08.04.01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91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