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연구목적
2. 문헌고찰
Ⅱ.연구기간 및 방법
Ⅲ. 간호과정
[1]간호사정
1.대상자의 건강양상
2. 대상자의 건강력
3. 신체 검진
4. 진단검사
5. 약물
[2]간호과정 적용
◈Problem list
간호진단 : #1.혈액 응고장애와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2.소양증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3.분비물 정체와 관련된 비효율적인호흡
Ⅳ. 결과
1. 연구결과 총정리
1. 연구목적
2. 문헌고찰
Ⅱ.연구기간 및 방법
Ⅲ. 간호과정
[1]간호사정
1.대상자의 건강양상
2. 대상자의 건강력
3. 신체 검진
4. 진단검사
5. 약물
[2]간호과정 적용
◈Problem list
간호진단 : #1.혈액 응고장애와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2.소양증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3.분비물 정체와 관련된 비효율적인호흡
Ⅳ. 결과
1. 연구결과 총정리
본문내용
는 팽창되있고 하지에 요흔성부종이 심하심
3. 신체 검진
키 - 156cm 체중 - 43.2kg 비만도 -
활력소견(v/s) - 혈압 : 156/96mmHg 체온 :37.5 맥박:107회/분 호흡:28회/분
일반적 외모 - 황달이 심하고 복부는 팽창되어 있고 하지에 요흔성 부종이 심함
부 위
사정결과
피부
색깔 - 노란색
윤기 - 없음
탄력성 - 없음 (요흔성부종 손가락으로 눌렀을때 10초후에 복귀됨)
손톱 - 정상
머리
머리카락 - 푸석푸석함
형태 - 이상없음
압통 - 없음
얼굴
균형 - 정상
형태 - 정상
압통 - 없음
눈
사시 - 없음
시력 - 이상없음
공막 - 색깔에 굉장히 노란색임
동공 - 크기 : 정상
빛에대한 반응 (+)
조정력 - 정상
대칭성 - 대칭적임
시야 - 정상
결막 - 정상
안구 - 정상
귀
청력,외이 - 이상없음
이도분비물 - 적당함
고막 - 이상없음
이개 - 이상없음
구강
입술 - 부르 트심
치아 - 정상
잇몸 - 이상없음
점막 - 이상없음
혀 - 약간의 백태낌
유방
외형 - 이상없음
유두 - 이상없음
림프절
이상없음
호흡기
호흡 - 횟수 : 28회 얕은숨
폐 - 호흡곤란 있으심
순환기
맥박수 - 107회 (BP: 159/96mmHg)
복부
형태 - 팽창되 있음
상태 - 제왕절개 상처 있음
복수, 탈장 - 복수 있음
압통 - 있음
생식기
이상없음
항문
변 - 1회/1일 치질 - 없음
사지
부종- 있음
청색증-없음
궤양-없음
관절
기형,부종,압통 - 없음
운동기능 -정상
척추- 정상
<각 기관별 신체 검진 소견>
4. 진단검사
1) 일반 혈액 검사
결과
정상치
의 의
WBC
25.5↑ 10^3/㎣
4.8~10.8
증가 : 세균감염, 백혈병
감소 : 재생불량성 빈혈
RBC
2.80↓10^6/㎣
4.2~6.1
증가 : 다혈구증
감소 : 적혈구 생산부족
Hb
8.5g/dl↓
11.2~18.0
증가 : 철분결핍성 빈혈, 겸상세포성빈혈
Hct
24.8%↓
33.3~52.8
증가 : 다혈구 혈증, 출혈 탈수증
감소 : 심한 빈혈, 급성 대량출혈시
Platelet
59↓10^3/㎣
127~307
감소:골수억제, 재생불량성빈혈
MCHC
34.3g/dl
33.0~35.0
평균적혈구 혈색 고농도
RDW-cv
12.7
11.2~14.0
적혈구 분포면적 변이계수상승
PDW
18.7%↑
14.5~16.1
혈소판의 광범위한 분포
MCH
30.4pg
27.4~33.4
평균혈구내 혈색소
MCV
88.5fl
81.8~97.0
평균적혈구 용적
MPV
10.4
6.0~11.2
평균 혈소판양 알아오기!!
seg.neutro
70.3↑
50~70
증가: 급성 염증, 심근경색증
lymphocyte
13.6%↓
20~44
백혈구수의 25%를 이루고 있지만 감염에 대한 반응으로 인해 증가한다
monocyte
12.4%↑
2~9
증가: 만성염증시 증가
eosinophil
0.1↓
1~5
증가:
감소:
PT
20.3 초↑
12~15
지연 : 항응고제 사용, 응고인자결핍, 간질환 시
aPTT
47.5 초↑
26~41
지연 : 항응고제 사용, 응고인자결핍, 간질환 시
※종합의의 및 분석 - WBC가 증가한 것으로 보아 수술 부위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의심해보고 혈소판 수의 감소와 PT의 지연은 환자가 혈액응고장애 질환을 가지고 있고 또 환자의 간기능의 부전과도 관련됨을 알수 있다. 환자에게 출혈을 예방하는 간호를 실시해야 겠음.
2)Blood Gas Analysis(ABGA)
성분
결과
단위
정상치
의의
pH
7.375
pH
7.35~7.45
7.35↓:산증 7.45↑:알카리증
정상범위는 완충제인 탄산과 중탄산에 의해 유지
(H₂c0₃:Hco₃=1:20)
Pco₂
45
mmHg
35~45
45↑ 호흡성 산증이나 대사성 알칼리증
Po₂
94
mmHg
83~108
100↑ 고농도 산소의 장기투여
80↓저산소혈증을 초래하는 질환
Hco₃-
22.5
meq/L
22~26
26↑ 대사성 알칼리증
22↓ 대사성 산증
BE(염기초과)
0.2
meq/L
-2.0~+3.0
-2↓ 대사성산증
+3↑ 대사성 알칼리증
Sao₂
98
%
95~98
혈액소에 의해 운반되는 산소의 농도
※종합의의 및 분석 - 정상
3)Blood chemistry
결과
정상치
의의
BUN
110.2mg/dl
6~23
신배설기능의지표, 혈중요소질소농도는 신체의 요생성과 요의양에 좌우, 단백질섭취 조직의 파괴등에 의한 영향
Creatinine
2.7mg/dl
0.5~1.2
증가: 신질환, 만성사구체신염, 신우신염
Total Protein
6.0g/dl↓
6.7~8.3
단백 흡수 및 합성 장애
Albumin
2.8g/dl↓
3.8~5.2
만성간질환, 단백섭취불안정
SGOT(AST)
118U/L
5~31
감염, 만성간질환기능장애, 간암
SGPT(ALT)
46U/L
5~31
감염, 만성간질환기능장애, 간암
ALP
163
48~120
Total bilirubin
40.2mg/dl
0.22~1.2
증가:담관폐쇄성 질환, 동맥경화증
감소: 간질환, 갑상선 기능항진증, 결핵, 고열
chloride
115Eq/l
98~106
고염소증 : 설사
저염소증 : 구토, 위액상실
Osmolarity
404mOsm/kg
280~295
고칼륨혈증: 수분섭취부족
저칼륨혈증:칼륨섭취저하, 구토
sodium(Na+)
151Eq/l
136~146
고나트륨혈증: 수분섭취부족
저나트륨혈증: 탈수, 전해질상실
Potassium(K+)
4.1Eq/l
3.5~5.1
고칼륨혈증: 수분섭취부족
저칼륨혈증:칼륨섭취저하, 구토
ca
4.6Eq/l
4.2~5.1
고칼슘혈증:산독증, 뇨배설저하, 부갑상선기능항진등
저칼슘혈증 : 알카리증, 급성췌장염, 지방변등
CRP
5.4
2.5~8.0
상승 : 염증반응 시 증가
암모니아
107
19~60
FDP
16.8ug/ml
0~5
섬유소 분해산물로써 항응고작용을 함
D-dimer
0.76mg/ml
0~0.3
증가 : 패색전증,DVT,DIC
※종합의의 및 분석 - 급성신부전으로 인해서 BUN수치가 상승되어 있고 나트륨의 수치가 높고 삼투질의 농도가 높아서 전해질 불균형을 보이고 있다. 빌리루빈 수치와 AST, ALT의 증가로 간기능이 저하
3. 신체 검진
키 - 156cm 체중 - 43.2kg 비만도 -
활력소견(v/s) - 혈압 : 156/96mmHg 체온 :37.5 맥박:107회/분 호흡:28회/분
일반적 외모 - 황달이 심하고 복부는 팽창되어 있고 하지에 요흔성 부종이 심함
부 위
사정결과
피부
색깔 - 노란색
윤기 - 없음
탄력성 - 없음 (요흔성부종 손가락으로 눌렀을때 10초후에 복귀됨)
손톱 - 정상
머리
머리카락 - 푸석푸석함
형태 - 이상없음
압통 - 없음
얼굴
균형 - 정상
형태 - 정상
압통 - 없음
눈
사시 - 없음
시력 - 이상없음
공막 - 색깔에 굉장히 노란색임
동공 - 크기 : 정상
빛에대한 반응 (+)
조정력 - 정상
대칭성 - 대칭적임
시야 - 정상
결막 - 정상
안구 - 정상
귀
청력,외이 - 이상없음
이도분비물 - 적당함
고막 - 이상없음
이개 - 이상없음
구강
입술 - 부르 트심
치아 - 정상
잇몸 - 이상없음
점막 - 이상없음
혀 - 약간의 백태낌
유방
외형 - 이상없음
유두 - 이상없음
림프절
이상없음
호흡기
호흡 - 횟수 : 28회 얕은숨
폐 - 호흡곤란 있으심
순환기
맥박수 - 107회 (BP: 159/96mmHg)
복부
형태 - 팽창되 있음
상태 - 제왕절개 상처 있음
복수, 탈장 - 복수 있음
압통 - 있음
생식기
이상없음
항문
변 - 1회/1일 치질 - 없음
사지
부종- 있음
청색증-없음
궤양-없음
관절
기형,부종,압통 - 없음
운동기능 -정상
척추- 정상
<각 기관별 신체 검진 소견>
4. 진단검사
1) 일반 혈액 검사
결과
정상치
의 의
WBC
25.5↑ 10^3/㎣
4.8~10.8
증가 : 세균감염, 백혈병
감소 : 재생불량성 빈혈
RBC
2.80↓10^6/㎣
4.2~6.1
증가 : 다혈구증
감소 : 적혈구 생산부족
Hb
8.5g/dl↓
11.2~18.0
증가 : 철분결핍성 빈혈, 겸상세포성빈혈
Hct
24.8%↓
33.3~52.8
증가 : 다혈구 혈증, 출혈 탈수증
감소 : 심한 빈혈, 급성 대량출혈시
Platelet
59↓10^3/㎣
127~307
감소:골수억제, 재생불량성빈혈
MCHC
34.3g/dl
33.0~35.0
평균적혈구 혈색 고농도
RDW-cv
12.7
11.2~14.0
적혈구 분포면적 변이계수상승
PDW
18.7%↑
14.5~16.1
혈소판의 광범위한 분포
MCH
30.4pg
27.4~33.4
평균혈구내 혈색소
MCV
88.5fl
81.8~97.0
평균적혈구 용적
MPV
10.4
6.0~11.2
평균 혈소판양 알아오기!!
seg.neutro
70.3↑
50~70
증가: 급성 염증, 심근경색증
lymphocyte
13.6%↓
20~44
백혈구수의 25%를 이루고 있지만 감염에 대한 반응으로 인해 증가한다
monocyte
12.4%↑
2~9
증가: 만성염증시 증가
eosinophil
0.1↓
1~5
증가:
감소:
PT
20.3 초↑
12~15
지연 : 항응고제 사용, 응고인자결핍, 간질환 시
aPTT
47.5 초↑
26~41
지연 : 항응고제 사용, 응고인자결핍, 간질환 시
※종합의의 및 분석 - WBC가 증가한 것으로 보아 수술 부위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의심해보고 혈소판 수의 감소와 PT의 지연은 환자가 혈액응고장애 질환을 가지고 있고 또 환자의 간기능의 부전과도 관련됨을 알수 있다. 환자에게 출혈을 예방하는 간호를 실시해야 겠음.
2)Blood Gas Analysis(ABGA)
성분
결과
단위
정상치
의의
pH
7.375
pH
7.35~7.45
7.35↓:산증 7.45↑:알카리증
정상범위는 완충제인 탄산과 중탄산에 의해 유지
(H₂c0₃:Hco₃=1:20)
Pco₂
45
mmHg
35~45
45↑ 호흡성 산증이나 대사성 알칼리증
Po₂
94
mmHg
83~108
100↑ 고농도 산소의 장기투여
80↓저산소혈증을 초래하는 질환
Hco₃-
22.5
meq/L
22~26
26↑ 대사성 알칼리증
22↓ 대사성 산증
BE(염기초과)
0.2
meq/L
-2.0~+3.0
-2↓ 대사성산증
+3↑ 대사성 알칼리증
Sao₂
98
%
95~98
혈액소에 의해 운반되는 산소의 농도
※종합의의 및 분석 - 정상
3)Blood chemistry
결과
정상치
의의
BUN
110.2mg/dl
6~23
신배설기능의지표, 혈중요소질소농도는 신체의 요생성과 요의양에 좌우, 단백질섭취 조직의 파괴등에 의한 영향
Creatinine
2.7mg/dl
0.5~1.2
증가: 신질환, 만성사구체신염, 신우신염
Total Protein
6.0g/dl↓
6.7~8.3
단백 흡수 및 합성 장애
Albumin
2.8g/dl↓
3.8~5.2
만성간질환, 단백섭취불안정
SGOT(AST)
118U/L
5~31
감염, 만성간질환기능장애, 간암
SGPT(ALT)
46U/L
5~31
감염, 만성간질환기능장애, 간암
ALP
163
48~120
Total bilirubin
40.2mg/dl
0.22~1.2
증가:담관폐쇄성 질환, 동맥경화증
감소: 간질환, 갑상선 기능항진증, 결핵, 고열
chloride
115Eq/l
98~106
고염소증 : 설사
저염소증 : 구토, 위액상실
Osmolarity
404mOsm/kg
280~295
고칼륨혈증: 수분섭취부족
저칼륨혈증:칼륨섭취저하, 구토
sodium(Na+)
151Eq/l
136~146
고나트륨혈증: 수분섭취부족
저나트륨혈증: 탈수, 전해질상실
Potassium(K+)
4.1Eq/l
3.5~5.1
고칼륨혈증: 수분섭취부족
저칼륨혈증:칼륨섭취저하, 구토
ca
4.6Eq/l
4.2~5.1
고칼슘혈증:산독증, 뇨배설저하, 부갑상선기능항진등
저칼슘혈증 : 알카리증, 급성췌장염, 지방변등
CRP
5.4
2.5~8.0
상승 : 염증반응 시 증가
암모니아
107
19~60
FDP
16.8ug/ml
0~5
섬유소 분해산물로써 항응고작용을 함
D-dimer
0.76mg/ml
0~0.3
증가 : 패색전증,DVT,DIC
※종합의의 및 분석 - 급성신부전으로 인해서 BUN수치가 상승되어 있고 나트륨의 수치가 높고 삼투질의 농도가 높아서 전해질 불균형을 보이고 있다. 빌리루빈 수치와 AST, ALT의 증가로 간기능이 저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