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 례
Ⅰ 문헌고찰 … 1
Ⅱ 간호사정 … 5
Ⅲ 진단적 검사 … 8
Ⅳ 약물요법 … 13
Ⅴ 대상자의 간호진단 … 17
Ⅵ 대상자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 계획, 수행 및 평가 … 19
Ⅶ 결론 및 제언 … 24
Ⅷ 참고문헌 … 24
Ⅰ 문헌고찰 … 1
Ⅱ 간호사정 … 5
Ⅲ 진단적 검사 … 8
Ⅳ 약물요법 … 13
Ⅴ 대상자의 간호진단 … 17
Ⅵ 대상자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 계획, 수행 및 평가 … 19
Ⅶ 결론 및 제언 … 24
Ⅷ 참고문헌 … 24
본문내용
을 실시한다.(고체온을 떨어뜨림)
③ 대상자에게 ice bag을 실시한다.
④ 대상자에게 tepid massage를 실시한다.
수행
① 실천)활력징후를 1시간 마다 측정하여 호전되는지 관찰하였다. (38.7℃→38.0℃→37.2℃)
② 실천 못함)목욕할 수 있는 환경이 없다.
③ 실천)고체온을 떨어뜨리기 위하여 대상자에게 양쪽 액와에 ice bag을 수건에 감싸 넣어드렸다. 또한 수건에 미지근한 물을 적셔 배위에, 이마에 올려드렸다. 그리고 발한에 대한 수액공급도 하였다.
④ 실천)고체온을 떨어뜨리기 위하여 대상자에게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목→등→겨드랑이→사타구니 순서로 tepid massage를 시행하였다. ice bag, tepid massage을 하여도 체온변화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때에는 B/C 검사를 위한 채혈을 하였고, prn처방에 의해 해열제 투여 denogan 1.0g을 주사하여 고체온을 떨어뜨렸다. 그리고 체온을 재측정 하여 체온감소를 확인하였다.
평가
☞ 대상자에게 ice bag, tepid massage를 실시함에 따라 대상자의 체온은 36.8℃로 정상온도가 되었다.
#2.환경변화와 관련된 급성혼돈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저 사람이 나를 죽이려고 해요. 빨리 손과 발을 풀어주세요.”
- “여기에 있으면 나는 죽습니다. 자동차를 가져와 주세요”
- “내가 여기에 있으면 전쟁이 나서 다 죽습니다. 제발 풀어주세요”
객관적 자료
persecutory delusion(+)
면담 시 불안한 모습임
혼자 이야기 할 때 감정을 표현하며 큰소리로 우신다.
깨어있는 동안 계속 환시와 환청 증상보임
안절부절못해하는 모습을 모임
주먹을 꽉 쥐고 있음.
말을 더듬증이 있다.
알코올 남용의 과거력 있다
간호진단
환경변화와 관련된 급성혼돈
간호계획
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1시간 이내에 불안의 심리적 징후와 행동표현이 감소하여 안정된 모습을 보인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대상자의 감정을 말로 표현할 것이다.
계획
① 대상자에게 병원은 안전한 공간임을 설명하여 안심할 수 있도록 한다.
② 환자의 행동, 스트레스원, 평가적 요인, 대처자원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한다.
③ 과잉 행동, 공격적 행동을 모니터 하였다.
수행
① 실천)현재 있는 곳에 대해 안전한 공간이고, 신체적/심리적으로 안정을 취하여 한다고 설명하였다.
② 실천)대상자가 큰소리를 내실 때 마다 피드백을 제공해 드렸다. 대상자에게 지속적인 간호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과잉 행동이 심해질 때에는 억제대를 추가적용하거나 약물을 통해(주로 Midazolam 사용) 진정시켰다.
③ 실천)대상자의 과잉행동과 공격정 행동에 대해 비 위협적인 태도를 취하며 처치 시 대상자와 함께 있는 동안 소란스럽지 않게 하였다. 또한 과잉 행동자제를 설명하여 대상자를 진정시켰다.
평가
☞ 대상자에게 병원은 안전한 공간임을 설명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며, 비 위협적인 태도로 소란스럽지 않게 태도를 취함에 따라 대상자는 1시간 이내에 감정을 말로 표현하게 되었다.
#4.억제대 사용으로 인한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이거좀 풀어줘. 손아파”
객관적 자료
사지의 움직임이 많아 사지에 억제대가 적용됨
- position change 할 때를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억제대를 적용하고 있음
사지 억제대와 가슴억제대를 적용중임
억제대 적용중이지만 심한몸부림으로 억제대 적용부위가 발갛게 도드라짐.
간호진단
억제대 사용으로 인한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계획
목표
대상자는 피부압박으로 인한 발적 징후가 감소 될 것이다.
계획
① 대상자의 피부손상위험이 있는 부위의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② 대상자에게 억제대를 적용하는 이유에 대해 교육한다.
수행
① 실천)대상자에게 억제대가 적용되있는 부위의 발적 상태를 관찰하고 때때로 억제대가 side rail에 묶여 있을 경우에는 침대 틀에 고정하여 대상자의 안전유지를 도모하였다.
또한 뼈 돌출부위에는 패드를 대어주어 피부손상을 예방하였다. 사지 억제대는 손가락 두 개 정도가 들어갈 수 있는 여유가 있도록 하여 억제대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나 조직의 마찰이나 욕창을 감소하였고 피부의 발적정도를 감소시켰다.
또한 두시간마다 억제대를 풀어줌으로 써 혈액순환상태를 사정하고, 가슴 억제대또한 호흡에 영향을 주는지 사정하여 대상자의 심신안정을 도모하였다.
② 실천)대상자에게 간결하고 분명한 어조로 억제대를 적용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하여 교육하고 뿐만 아니라 가족들에게도 억제대를 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하였다.
평가
☞ 사지 억제대와 가슴 억제대를 사용하는 대상자의 피부상태와 혈액순환상태를 사정하고 억제대의 올바른 사용과 간호를 함으로써 대상자의 억제대 부위의 발적이 감소되었다.
Ⅶ 결론 및 제언
이상의 간호사례 연구를 통하여 중환자실에서도 내과계 중환자실에서 전반적으로 수행해야 되는 간호의 내용을 학습하고, 그에 따른 여러 가지 간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나름대로의 간호계획을 세우고 실천하였다. 그 결과 외적으로는 내과계 중환자실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간호에 대해 보다 자세하고 실직적으로 배울 수 있었고, 내적으로는 지식 이외에 간호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인격과 정도에 대해 조금이나마 근원적으로 접근이 가능하였다.
첫 성인 실습에 있어 2주라는 실습기간 동안, 환자를 얼마나 이해하고 내가 그 환자에 대해 얼마나 실질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을까 하는가에 대해 걱정과 기대 속에서 학생간호사로서 본분을 지키며 실습에 임했었다. 학기 중에 배운 여러 간호술기와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임상에서 적용함에 있어 실제적인 차이점을 볼 수 있어서 좀더 자극적으로 피부에 와닿아서 훨씬 체계적인 학습을 통한 공부를 하게 되어 뿌듯하였다.
Ⅷ 참고문헌
성미혜 외(2011) / 간호과정 과학적, 체계적 문제 접근- / 정문각
김금순 외(2012) / 성인 간호학Ⅰ / 수문사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 현문사
병원 EMR기록지
www.naver.com/ 네이버 백과사전
대한의학회 홈페이지
www.kimsonline.co.kr 킴스 온라인 (약물조사)
성인 간호학 실습 지침서, 현문사 , 2005
③ 대상자에게 ice bag을 실시한다.
④ 대상자에게 tepid massage를 실시한다.
수행
① 실천)활력징후를 1시간 마다 측정하여 호전되는지 관찰하였다. (38.7℃→38.0℃→37.2℃)
② 실천 못함)목욕할 수 있는 환경이 없다.
③ 실천)고체온을 떨어뜨리기 위하여 대상자에게 양쪽 액와에 ice bag을 수건에 감싸 넣어드렸다. 또한 수건에 미지근한 물을 적셔 배위에, 이마에 올려드렸다. 그리고 발한에 대한 수액공급도 하였다.
④ 실천)고체온을 떨어뜨리기 위하여 대상자에게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목→등→겨드랑이→사타구니 순서로 tepid massage를 시행하였다. ice bag, tepid massage을 하여도 체온변화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때에는 B/C 검사를 위한 채혈을 하였고, prn처방에 의해 해열제 투여 denogan 1.0g을 주사하여 고체온을 떨어뜨렸다. 그리고 체온을 재측정 하여 체온감소를 확인하였다.
평가
☞ 대상자에게 ice bag, tepid massage를 실시함에 따라 대상자의 체온은 36.8℃로 정상온도가 되었다.
#2.환경변화와 관련된 급성혼돈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저 사람이 나를 죽이려고 해요. 빨리 손과 발을 풀어주세요.”
- “여기에 있으면 나는 죽습니다. 자동차를 가져와 주세요”
- “내가 여기에 있으면 전쟁이 나서 다 죽습니다. 제발 풀어주세요”
객관적 자료
persecutory delusion(+)
면담 시 불안한 모습임
혼자 이야기 할 때 감정을 표현하며 큰소리로 우신다.
깨어있는 동안 계속 환시와 환청 증상보임
안절부절못해하는 모습을 모임
주먹을 꽉 쥐고 있음.
말을 더듬증이 있다.
알코올 남용의 과거력 있다
간호진단
환경변화와 관련된 급성혼돈
간호계획
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1시간 이내에 불안의 심리적 징후와 행동표현이 감소하여 안정된 모습을 보인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대상자의 감정을 말로 표현할 것이다.
계획
① 대상자에게 병원은 안전한 공간임을 설명하여 안심할 수 있도록 한다.
② 환자의 행동, 스트레스원, 평가적 요인, 대처자원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한다.
③ 과잉 행동, 공격적 행동을 모니터 하였다.
수행
① 실천)현재 있는 곳에 대해 안전한 공간이고, 신체적/심리적으로 안정을 취하여 한다고 설명하였다.
② 실천)대상자가 큰소리를 내실 때 마다 피드백을 제공해 드렸다. 대상자에게 지속적인 간호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과잉 행동이 심해질 때에는 억제대를 추가적용하거나 약물을 통해(주로 Midazolam 사용) 진정시켰다.
③ 실천)대상자의 과잉행동과 공격정 행동에 대해 비 위협적인 태도를 취하며 처치 시 대상자와 함께 있는 동안 소란스럽지 않게 하였다. 또한 과잉 행동자제를 설명하여 대상자를 진정시켰다.
평가
☞ 대상자에게 병원은 안전한 공간임을 설명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며, 비 위협적인 태도로 소란스럽지 않게 태도를 취함에 따라 대상자는 1시간 이내에 감정을 말로 표현하게 되었다.
#4.억제대 사용으로 인한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이거좀 풀어줘. 손아파”
객관적 자료
사지의 움직임이 많아 사지에 억제대가 적용됨
- position change 할 때를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억제대를 적용하고 있음
사지 억제대와 가슴억제대를 적용중임
억제대 적용중이지만 심한몸부림으로 억제대 적용부위가 발갛게 도드라짐.
간호진단
억제대 사용으로 인한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계획
목표
대상자는 피부압박으로 인한 발적 징후가 감소 될 것이다.
계획
① 대상자의 피부손상위험이 있는 부위의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② 대상자에게 억제대를 적용하는 이유에 대해 교육한다.
수행
① 실천)대상자에게 억제대가 적용되있는 부위의 발적 상태를 관찰하고 때때로 억제대가 side rail에 묶여 있을 경우에는 침대 틀에 고정하여 대상자의 안전유지를 도모하였다.
또한 뼈 돌출부위에는 패드를 대어주어 피부손상을 예방하였다. 사지 억제대는 손가락 두 개 정도가 들어갈 수 있는 여유가 있도록 하여 억제대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나 조직의 마찰이나 욕창을 감소하였고 피부의 발적정도를 감소시켰다.
또한 두시간마다 억제대를 풀어줌으로 써 혈액순환상태를 사정하고, 가슴 억제대또한 호흡에 영향을 주는지 사정하여 대상자의 심신안정을 도모하였다.
② 실천)대상자에게 간결하고 분명한 어조로 억제대를 적용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하여 교육하고 뿐만 아니라 가족들에게도 억제대를 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하였다.
평가
☞ 사지 억제대와 가슴 억제대를 사용하는 대상자의 피부상태와 혈액순환상태를 사정하고 억제대의 올바른 사용과 간호를 함으로써 대상자의 억제대 부위의 발적이 감소되었다.
Ⅶ 결론 및 제언
이상의 간호사례 연구를 통하여 중환자실에서도 내과계 중환자실에서 전반적으로 수행해야 되는 간호의 내용을 학습하고, 그에 따른 여러 가지 간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나름대로의 간호계획을 세우고 실천하였다. 그 결과 외적으로는 내과계 중환자실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간호에 대해 보다 자세하고 실직적으로 배울 수 있었고, 내적으로는 지식 이외에 간호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인격과 정도에 대해 조금이나마 근원적으로 접근이 가능하였다.
첫 성인 실습에 있어 2주라는 실습기간 동안, 환자를 얼마나 이해하고 내가 그 환자에 대해 얼마나 실질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을까 하는가에 대해 걱정과 기대 속에서 학생간호사로서 본분을 지키며 실습에 임했었다. 학기 중에 배운 여러 간호술기와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임상에서 적용함에 있어 실제적인 차이점을 볼 수 있어서 좀더 자극적으로 피부에 와닿아서 훨씬 체계적인 학습을 통한 공부를 하게 되어 뿌듯하였다.
Ⅷ 참고문헌
성미혜 외(2011) / 간호과정 과학적, 체계적 문제 접근- / 정문각
김금순 외(2012) / 성인 간호학Ⅰ / 수문사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 현문사
병원 EMR기록지
www.naver.com/ 네이버 백과사전
대한의학회 홈페이지
www.kimsonline.co.kr 킴스 온라인 (약물조사)
성인 간호학 실습 지침서, 현문사 , 2005
추천자료
급성신부전 [ARF] 사례연구
[ER case study]급성담낭염 Acute Cholecystitis
급성림프성백혈병
급성림프구성백혈병 case study
급성 호흡성 증후군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진단중재 Case Study
ARF(Acute Renal Failure, 급성신부전)
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 2017 생활과건강 2.제2형 당뇨병 환자를 위...
생활과건강 2017년+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 생활과건강 제2형 당뇨병...
2017년 생활과건강>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 제2형 당뇨병 환자를 위...
<기초간호과학 2017>급성염증과 만성염증의 특징적인 차이 염증 형태적 분류 예 염증 국소적...
2017 기초간호과학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의 특징적인 차이 염증의 형태적분류와 그 예를 제시 ...
<기초간호과학 공통형 2017년>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의 특징적인 차이를 제시, 염증의 형태적...
급성호흡곤란증후군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hronic pancreatitis 만성췌장염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