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과거사 청산의 의미
2. 본 보고서의 목적
Ⅱ. 본 론
1. 독일의 과거사 청산 사례
(1) 독일의 과거
(2) 독일의 과거에 대한 인식
(3) 독일의 과거사 극복 노력
2. 일본의 과거사 청산 사례
(1) 일본의 과거
(2) 일본의 과거에 대한 인식
(3) 일본의 과거사 극복 노력
Ⅲ. 결 론
1. 타국 과거사 청산과정의 시사점
2. 타국 과거사 청산을 바라보는 관점 및 한국의 역할
3. 올바른 역사의식의 필요성
붙 임 #1. 참고문헌
1. 과거사 청산의 의미
2. 본 보고서의 목적
Ⅱ. 본 론
1. 독일의 과거사 청산 사례
(1) 독일의 과거
(2) 독일의 과거에 대한 인식
(3) 독일의 과거사 극복 노력
2. 일본의 과거사 청산 사례
(1) 일본의 과거
(2) 일본의 과거에 대한 인식
(3) 일본의 과거사 극복 노력
Ⅲ. 결 론
1. 타국 과거사 청산과정의 시사점
2. 타국 과거사 청산을 바라보는 관점 및 한국의 역할
3. 올바른 역사의식의 필요성
붙 임 #1. 참고문헌
본문내용
본 론
1. 독일의 과거사 청산 사례
(1) 독일의 과거
제2차 세계대전은 이미 알려진바 1939년 독일이 폴란드를 공격함으로서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소련의 대외침략이 가속화되고 독일이 영국, 프랑스, 소련을 공격하여 세계전쟁의 의미를 띄었다. 이 전쟁은 결국 독일과 일본의 항복으로 결말을 지었고, 전쟁의 결과 국제경합이 창설되고 경제협력이 추진되었다. 또한 북대서양 조약기구가 창설되고 아시아 아프리카 국가들의 독립이 이루어 졌다. 독일은 1938년부터 1944년까지 백만 명이 넘는 유대인을 학살하기도 하였다.
분명 제2차 세계대전과 유대인 학살은 독일의 역사적 과오이다. 두 사건의 구체적인 원인과 배경을 알아볼 필요도 없이 제2차 세계대전의 시발점이자 유대인 학살의 주체자이었던 독일은 역사적으로 큰 과오를 남겼다.
(2) 독일의 과거에 대한 인식
제2차 세계 대전 패망 이후 독일은 피해자라는 의식이 강했다고 한다. 1950년대 초까지만 해도 독일은 과거사에 대한 인식이 미약했다. 1960년대에 이르러 서독이 동독 및 외국으로부터 과거사 처리에 대한 문제의식과 요구를 수용하면서부터 과거사 문제를 전향적으로 대처하기 시작했다. 1970년대에는 민주주의 교육을 받고 인권 의식을 갖춘 새로운 시민 사회의 성숙으로 인해서 과거사에 대한 많은 자각이 일어났으며 1980년대에는 역사학계와 문학계에서의 과거사에 대한 진지한 반성과 성찰, 평가가 이루어 졌다. 1990년대는 동독과 서독이 통일된 이후 과거사에 대한 논쟁이 끊임없이 지속된 시기였으며 2000년대 이후 현재까지 과거사에 대해서 단지 독일뿐만 아니라 상호 협력을 통한 전 유럽 공통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식되어 지고 있는 추세이다.
(3) 독일의 과거사 극복 노력
<참고1 - 독일 과거사 극복 노력>
구 분
내 용
외부인에 의한 과거 청산
1945년 5월 나치 독일 항복
독일을 점령한 연합군에 의해 독일의 과거 청산 시작
사법적 청산 사법적청산(뉘른베르크 재판) : 1945년 11월 20일 뉘른베르크의 재판소에서 전범재판이 열렸다. 나치 체제와 모든 관련 기구들을 범죄조직으로 규정하자는 각서를 만들고, 국제재판소가 그러한 범죄조직에 가담한 나치 수괴들의 명단을 작성함으로 재판에 기소를 하였다. 후속 채판들이 계속 이어져서 1949년까지 나치의 주요 인물들에 대한 심판이 있었으며 주모자급 이외에도 강제 수용소 관리 등 대량 학살을 집행한 일선 책임자를 상대로한
1. 독일의 과거사 청산 사례
(1) 독일의 과거
제2차 세계대전은 이미 알려진바 1939년 독일이 폴란드를 공격함으로서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소련의 대외침략이 가속화되고 독일이 영국, 프랑스, 소련을 공격하여 세계전쟁의 의미를 띄었다. 이 전쟁은 결국 독일과 일본의 항복으로 결말을 지었고, 전쟁의 결과 국제경합이 창설되고 경제협력이 추진되었다. 또한 북대서양 조약기구가 창설되고 아시아 아프리카 국가들의 독립이 이루어 졌다. 독일은 1938년부터 1944년까지 백만 명이 넘는 유대인을 학살하기도 하였다.
분명 제2차 세계대전과 유대인 학살은 독일의 역사적 과오이다. 두 사건의 구체적인 원인과 배경을 알아볼 필요도 없이 제2차 세계대전의 시발점이자 유대인 학살의 주체자이었던 독일은 역사적으로 큰 과오를 남겼다.
(2) 독일의 과거에 대한 인식
제2차 세계 대전 패망 이후 독일은 피해자라는 의식이 강했다고 한다. 1950년대 초까지만 해도 독일은 과거사에 대한 인식이 미약했다. 1960년대에 이르러 서독이 동독 및 외국으로부터 과거사 처리에 대한 문제의식과 요구를 수용하면서부터 과거사 문제를 전향적으로 대처하기 시작했다. 1970년대에는 민주주의 교육을 받고 인권 의식을 갖춘 새로운 시민 사회의 성숙으로 인해서 과거사에 대한 많은 자각이 일어났으며 1980년대에는 역사학계와 문학계에서의 과거사에 대한 진지한 반성과 성찰, 평가가 이루어 졌다. 1990년대는 동독과 서독이 통일된 이후 과거사에 대한 논쟁이 끊임없이 지속된 시기였으며 2000년대 이후 현재까지 과거사에 대해서 단지 독일뿐만 아니라 상호 협력을 통한 전 유럽 공통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식되어 지고 있는 추세이다.
(3) 독일의 과거사 극복 노력
<참고1 - 독일 과거사 극복 노력>
구 분
내 용
외부인에 의한 과거 청산
1945년 5월 나치 독일 항복
독일을 점령한 연합군에 의해 독일의 과거 청산 시작
사법적 청산 사법적청산(뉘른베르크 재판) : 1945년 11월 20일 뉘른베르크의 재판소에서 전범재판이 열렸다. 나치 체제와 모든 관련 기구들을 범죄조직으로 규정하자는 각서를 만들고, 국제재판소가 그러한 범죄조직에 가담한 나치 수괴들의 명단을 작성함으로 재판에 기소를 하였다. 후속 채판들이 계속 이어져서 1949년까지 나치의 주요 인물들에 대한 심판이 있었으며 주모자급 이외에도 강제 수용소 관리 등 대량 학살을 집행한 일선 책임자를 상대로한
키워드
추천자료
일본교과서 역사왜곡과 21세기 아시아 평화
6. 25전쟁의 기원과 교훈
[사회과학]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 사례 분석과 역사 인식 문제
오늘날 본 친일파 문제와 개선 방향
20세기사 성찰을 위한 노트
[희곡론]오태석의 자전거 - 거꾸로 흐른 시간, 진실을 찾아서
오태석의 현실 인식과 미래 지향
우토로 마을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 사례 분석과 역사 인식 문제
한국의대일외교정책
일본군 위안부(한국근현대사)
한승조교수의 글 비판하기
한일 협정(韓日協定) - 한일협정의 체결 배경,한·일 협정 체결 내용,일제하 강제동원 피해자 ...
YS와 DJ의 역사 속 리더쉽[김영삼, 김대중 정부 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