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사례연구입니다(case study)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사례연구입니다(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문헌고찰

2.사례연구

3.간호사정

4.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나 별진전이 없어 의사의 처방에 따라 낮은 농도의 산소를 주입하고 진 정제를 투여하여 심호흡을 하도록 지지하였더니 많이 낳아졌고 편안하게 호흡할수 있는 정도로 진전 되었다.
#2.발열과 관련된 안위의 변화
S: “열이 나요... 머리가 무겁고 아파요..”
“볼이 빨갛고 식은 땀도 흘러요...”
O: 열을 재어보니 39도였고 얼굴이 붉었으며 식은 땀도 이마에 맺혀 있었다.
A: 발열과 관련된 안위의 변화
P: 환아는 24시간 이내에 체온이 37도 정도로 될 것이다.
1) 적어도 4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한다.
2)옷을 얇게 입히고 침구를 가볍게 덮어준다.
3)방안 공기를 차게한다.(선풍기를 사용할 경우 환아에게 직접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4)오한이 나면 선풍기를 끄고 일단 담요를 덮어주며 오한이 그치면 다시 시원하게 하는 조치를 취한다.
5)39도 이상일 경우 얼음주머니를 이마에 대어준다.
6)진전이 없을 경우 의사의 처방에 따라 해열제를 투여한다.
I/E: 얼음 주머니를 환아의 머리에 대어주고 방안의 공기를 차게 하기 위해 간 이 선풍기를 틀어 주었고 2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하였다. 진전이 없어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해열제를 투여하였고 그후 많이 진전되고 열이 37도 정도로 내렸다.
#3. 환기- 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S: “숨쉬기가 힘들어요...”
“꼭 나쁜일이 일어날 것 같아요..., 졸리기도 하고...”
O: 환아의 정서 상태가 불안정해 보이고 분비물을 잘 배출 못하고 있고 혼동 스러워 한다.
pulse가 빈맥을 보였고 CBC검사 결과 적혈구가 증가하였다.
A: 환기- 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P: 호흡수와 리듬, 동맥혈 가스분압이 2일 이내에 정상수준으로 돌아와서 효과적으로 기침하고 객담을 배출 시킬것이다.
1)활력증후를 측정한다.
2)호흡양상을 사정한다.
3)필요시 산소를 투여하고 동백혈 가스분압결과를 관찰한다.
4)필요시 기도 흡인을 한다.
5)반좌위를 취해주고 안정을 취해 가급적 말하는 것을 줄이도록 한다.
6)진전이 없다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기관지 확장제, 부 신호르몬제, 항생제, 거담제, 헤파린등)
7)알러지 물질이나 먼지가 없는 환경을 유지한다.
I/E: 활력증후를 측정하고 호흡양상을 사정하여 반좌위를 취해주고 안정을 취할 수있도록 지지하였더니 괜찮아지기는 하였지만 그래도 많은 진전이 없는 관 계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을 투여한후 많이 진전되었고 좋아졌다.
#4. 분비물의 부적절한 배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S: “목에 뭔가 걸려 있는 듯한 느낌이 들어요... 숨쉬기도 불편하고 안편해요..”
“숨쉬기가 답답하고 불편해요..”
O: 청진했을 때 비효과적인 호흡음이 들렸고 호흡수와 깊이에 변화가 있었고 호흡도 빈호흡 보였다. 객담배출이 용이하게 잘 되지 않고 있는 모습 보인 다.
A: 분비물의 부적절한 배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P: 환아는 퇴원시 까지 효율적인 기침과 객담 배출로 정상 호흡음을 유지 하고 호흡곤란 증상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1)활력증후를 측정한다.
2)호흡양상을 사정한다.
3)기침과 심호흡을 자주 하도록한다.
4)기침시 흉부를 지지해준다.
5)구강으로 수분을 섭취하도록 격려하고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6)구강간호를 실시한다.
7)산소 요구도, 기도 흡인의 필요성을 사정한다.
8)호흡기 분비물의 배출이 용이 하도록 2시간 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I/E: 활력증후를 측정하고 기침과 심호흡을 자주 하도록 하고 구강을 수분을 섭 취하도록 격려하고 I/O체크도 하였고 기침시 흉부를 지지해 주었다.
호흡기 분비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2시간 마다 체위를 변경하였더니 환아 는 더 이상의 답답함과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았고 퇴원이 가까워질수록 정상적으로 객담을 배출 할수 있게 되었다.
#5. 힘든 호흡 및 익숙하지 않은 환경과 관련된 불안, 두려움
S: “집에 가고 싶어요... ”
“여기 너무 싫고 무서워요... 너무 심심해요 하루종일..”
“아빠랑 동생이랑 집에 있는 우리집 강아지도 보고 싶고, 학교가서 선생님 이랑 친구들도 보고 싶어요...간호사 언니들은 항상 아프게만 하고...”
O: 많이 심심해하고 권태로움 보이며 낯선 환경인 병원에 대해서 불안해하고 간호사 선생님이 다가가기만 해도 겁먹고 두려워하는 모습 보인다.
숨쉬기 곤란해 하는 모습 가끔 보이고 빨리 퇴원하길 원하는 모습 보인다.
A: 힘든 호흡 및 익숙하지 않은 환경과 관련된 불안, 두려움
P: 환아의 불안과 공포가 퇴원시 까지 감소될 것이다.
1)익숙하지 않은 진행과정과 장비에 관해 환아의 수준에 맞는 용어로 설 명한다.
2)환아와 부모와의 친밀한 관계를 확립한다.
3)진행과정 동안 환아와 함께 있어준다.
4)조용하고 확신감을 주는 태도를 유지한다.
5)질병의 급성기 동안 지속적으로 관심을 표현해준다.
6)인형이나 담요등 안정감을 주는 물건을 집에서 가져 오도록 한다.
7)간호활동 계획시 환아의 휴식과 수면 양상이 방해받지 않도록한다.
8)처방에 따라 환기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약물(기관지 확장제, 거담제)등 을 제공한다.
I/E: 환아와 어머니에게 조용하고 확신감을 주는 태도로 대하였고 인형이나 담 요등 가정에서 환아가 주로 가지고 놀던 안정감을 주는 물건들을 집에서 가져 오도록 하였다. 지속적으로 관심을 표현해주었고 간호 활동 계획시 환아의 휴식과 수면 양상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였더니 환아의 감정이 많이 안정되었고 친밀한 관계가 유지되어 예전만큼 두려워 하지는 않게 되었다.
4.참고 문헌
간호진단과 중재 대한 간호협회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편 서울대 출판사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최정신 편역 현문사
간호진단 프로토콜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 병원 편 서울대 출판부
임상 및 진단 검사와 간호편람 오송자 민순 편저
병리검사 매뉴얼 이규범 감수 고문사
최신 임상 검사 진단학 김순호 편저 계축문화사
소아과학 홍창의 外 편저 대한교과서
아동간호학 각론 이화자外 편저 정담출판사
아동건강간호학 이화자外 편저 정담출판사
http:// www.koreanurse.or.kr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8.04.08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03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